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오지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오지루(일본어:

액체, 분말, 보충제 등의 형태로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단일 소재를 원재료로 한 것이나 복수의 소재를 혼합한 것, 과일을 포함하는 것 등 종류가 다양하다.[3] 개개 제품마다 원재료나 함유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제품마다 안전성이 다르다.[1] 비타민 K를 과잉 함유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항응고제 복용자는 주의가 필요하다.[1][4]
녹즙을 이용한 민간요법은 일본에 예로부터 존재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의서 『의심방』이나, 중국의 『본초강목』에도 생잎 즙이 나온다.[5] 그러나 지금과 같은 녹즙이 일본에 출현한 것은 전시 중 식량난을 겪던 1943년에 오사카여자의학전문학교 교수 엔도 니로가 구황식품으로 고안한 것이다. 엔도 교수는 그전까지 버려지던 녹색잎(무우, 고구마 등의 푸른 잎)을 건조시켜 식량으로 삼는 것을 제안했고,[6][7] 1944년부터 즙으로 만들어 먹는 형태를 만들어 엔도 부인이 “아오지루”라는 이름을 붙였다.[7][8][9] 1945년 쿠라사키중앙병원에 부임한 엔도가 환자들에게 아오지루를 권했으나 당초에는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 그러다 미국을 통해 들어온 하우저 식이요법에 녹즙의 효능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후로 일본에서도 녹즙 신봉자들이 증가했다.[5][10][11] 오늘날의 아오지루의 가장 흔한 재료인 케일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4년부터였다.[12][13]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