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인슈타인 십자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인슈타인 십자가
Remove ads

아인슈타인 십자가(영어: Einstein Cross, Q2237+030 또는 QSO 2237+0305)는 후크라의 렌즈라고 불리는 은하인 ZW 2237+030의 중심부 바로 뒤에 위치한 중력 렌즈 효과를 받는 퀘이사다. 강한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동일한 먼 퀘이사의 네 개의 상이 전경 은하의 중앙에 나타난다(중심부에 하나가 더 있으나 너무 흐려 보이지 않는다).[1][2] 이 시스템은 1985년 존 후크라와 동료 연구진이 발견했는데, 당시에는 서로 다른 적색 편이를 바탕으로 은하 뒤에 퀘이사가 있다는 사실만을 검출했을 뿐 퀘이사의 네 개의 개별 상은 분해하지 못했다.[3]

간략 정보 위치, 별자리 ...

중력렌즈 효과를 받는 광원이 흔히 아인슈타인 고리 형태로 나타나지만, 렌즈 역할을 하는 은하의 길쭉한 형태와 퀘이사가 중심에서 벗어나 있어 상들이 특이한 십자가 모양을 이루게 된다.[4]

다른 "아인슈타인 십자가"들도 발견 되었다(아래 이미지에서 그 중 하나를 볼 수 있다).[5][6]

Remove ads

상세 정보

퀘이사적색편이는 지구로부터 약 80억 광년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내며, 렌즈 역할을 하는 은하는 4억 광년 거리에 있다. 전경 은하의 겉보기 크기는 0.87 × 0.34각분이며,[7] 중심부의 십자가의 겉보기 크기는 단 1.6 × 1.6각초에 불과하다.

아인슈타인 십자는 페가수스자리의 적경 22시 40분 30.3초, 적위 +3도 21분 31초에서 찾을 수 있다.

아마추어 천문가들도 망원경을 사용하여 십자의 일부를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어두운 하늘과 지름 18인치(46cm) 이상의 반사경을 가진 망원경이 필요하다.[8]

개별 상들은 A부터 D까지 표시되며(예: QSO 2237+0305 A), 렌즈 역할을 하는 은하는 때때로 QSO 2237+0305 G로 지칭된다.

갤러리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