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톰케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톰케어
Remove ads

아톰케어(영어: AtomCARE)는 대한민국 방사선 사고시 원자력발전소의 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고, 방사선 영향피해지역, 그리고 필요한 대응조치 등을 예측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1996년부터 운영하는 통합 방사능 재난 대응 시스템이다.[1]

Thumb
대한민국 원자력 발전소 위치도

이름

아톰케어는 원자력 방사능 방재 시스템으로 “AtomCARE”는 CARE(Computerized technical Advisory system for a Radiological Emergency, 방사능방재대책기술지원전산시스템)에 Atom(원자)을 붙여 “원자력을 안전하게 관리한다”(Atomic Care)라는 뜻이다.[2]

특징

평시에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운영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3] 비상시에는 사고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해 방사선의 영향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 21개소 모든 원전의 안전상태에 관한 원자로 증기발생기내 온도 압력, 전원 공급상황, 발전소 주변 풍향 풍속 등 2,000~ 3,000 여 가지의 정보를 데이터 전용선을 통해 15초 마다 수집 분석하고,[4][5]비정상상태가 나타날 경우 원자력안전위원회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재대응 직원들에게 이동전화로 메시지가 전달된다. 또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방사성 물질의 외부 누출 가능성 진단이 이뤄지고 기상정보와 지리정보를 통해 피해예상 지역을 도출한다. 또 실제로 측정한 환경 방사능 감시값과 비교해 적절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도록 지원한다.[2]

Remove ads

기타

1993년 고안된[6]방재 시스템으로 국제원자력기구의 비상대응센터(IEC)에 관련 기술을 제공했다.[2] 측정소 방사선 자료를 분석해서 북한 핵실험 여부와 안전대책에 대한 분석을 한다.[7][8]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