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트 스타 코리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트 스타 코리아》(Art Star Korea, 약칭 '아스코’)는 현대예술을 소재로 한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슈퍼스타K>를 만들었던 CJ E&M이 제작했고, 2014년 3월 30일 스토리온에서 첫방송되었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Remove ads

개요

홈페이지에서는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아트스타! 이에 겁 없는 예술가 15인이 과감하게 도전장을 던졌다.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인생 단 한 번의 기회! 그리고 그들의 자존심을 건 치열한 아트 서바이벌! 과연 현대 예술계에 센세이션을 일으킬 단 한 명의 아트스타는 누가 될 것인가.'라고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1]

《아트 스타 코리아》같은 아트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미국과 영국에서 이미 방영된 적 있는 포맷이다. 미국에서는 《아트스타》, 《워크 오브 아트》가 방영된 적이 있고, 영국에서도 광고재벌 찰스 사치의 이름을 내건 《스쿨 오브 사치》가 BBC에서 방영된 바 있다.[2]

특징

예술 서바이벌 프로그램답게 전시회와 레지던시 기회를 우승 혜택으로 내걸고 있다.

2014년 3월 15일부터 4월 5일까지 신사동 가로수길에 있는 갤러리 <Fifty Fifty>에서 프리뷰전시를 가졌다.[3]

2014년 5월 30일 최종 후보 3인의 경쟁전이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세월호 침몰 사고로 한주가 결방되면서 6월 10일로 연기되었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3층에서 <은밀하게 위대하게>란 전시 제목으로 경쟁전이 개최된다.[4] 구혜영, 신제현, 유병서가 최종전에 진출하였으며, 8월 3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작품이 전시되었다.

서울옥션 강남점에서 아트스타코리아 출연자들의 작품을 경매하는 행사를 가졌다.[5] 출연자들이 아트스타코리아 미션에서 제작한 작품과 출연자들이 이전에 제작한 작품을 경매한 행사였다. 경매는 현장경매와 온라인 경매로 나눠서 진행되었다. 경매 결과 나온 낙찰금은 예술가 후원과 아이들의 미술교육에 기부하기로 하였다.[6]

  • 경매 장소: 서울옥션 강남점(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317 호림아트센터 1층)
  • 프리뷰 전시: 6월 24일 화요일 - 6월 26일 목요일
  • 현장 경매: 6월 27일 금요일 오후 5시
  • 온라인 경매: 6월 21일 토요일 - 6월 26일 목요일

최종 우승자에게는 창작지원금 1억원과 가나컨템포러리 개인전, 장흥아뜰리에 2년 입주, 해외 레지던시 연수 기회가 제공됐다. 가나컨템포러리와 장흥아뜰리에는 가나아트센터가 운영하는 공간으로 서울시립미술관과 함께 이번 프로그램의 협력 단체로 참여했다.[2]

Remove ads

출연자

요약
관점

심사위원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다.[7]

유진상
전시기획자,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과 교수로 재직중.
  • 경력
    • 2013 예술경영지원센터 이사
    • 2013 한국국제아트페어(KIAF) 운영위원
    • 2013 동아미술제 운영위원, 화랑협회 자문위원
    • 2013 국제갤러리 사외이사
    • 2013 대구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우주보다 더 좋은 Better than Universe」전시감독
    • 2013 KIAF Art Flash「내가 백남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전시감독
    • 2012 제 7회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총감독
    • 201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추상하라! Abstract it!」
    • 2008 제 1회 아시아프(ASYAAF) 총감독
  • 역서: 질 들뢰즈, '영화1: 운동-이미지'
홍경한
미술평론가, 경향 아티클 편집장
  • 경력
    • 現 국립현대미술관 발전정책자문위원
    • 現 경향신문에 칼럼 ‘홍경한의 한국 현대미술 명장면’ 연재
    • 現 KT&G 상상마당 아트크리틱 강사
    • 2014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공모 심사위원
    • 2013 네이버문화재단 「헬로! 아티스트」작가선정위원
    • 2013 KBS TV미술관 강사
    • 2013 서울문화재단 정기지원사업공모 심의위원
    • 2013 문화체육관광부 온라인미술관 구축사업 자문위원
    • 2012 서울시 미술관 승급 심의위원
    • 2012 두산그룹 두산연강예술상 심사위원
    • 2012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공모 심사위원
    • 2012 문화체육관광부 마을미술프로젝트 심의위원
  • 저서 '고함', '기전미술'
  • 홍경한 페이스북
우정아
미술사학자,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조교수
  • 경력
    • 2007~2011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과 초빙교수
    • 2006 미국 UCLA 미술사학 박사 (서양근현대미술사 전공)
    • 1999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 現 조선일보에 칼럼 '우정아의 아트스토리' 연재
    • Artforum International 한국전시리뷰어
    • Art Journal, Oxford Art Journal 등에 논문 게재

저서 '명작, 역사를 만나다'

멘토[8]

김선정
전시기획자이다.

현재 국립 아시아 문화 전당 아시아 문화 정보원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 경력
    • 2012 광주비엔날레 예술총감독
    • 2010 제 6회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총감독
    • 2006 테이트미술관 아시아 퍼시픽 콜렉션 자문위원
    • 200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 2005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
    • 2004 아트선재센터 부관장
반이정
미술평론가이다.
  • 경력
    • 2014년 '9809 레슨'(송은아트스페이스) 공개 강좌 진행
    • 2013년 저서 '사물 판독기' 출간
    • 2005년-현재. 중앙미술대전, 동아미술제, 송은미술상, 에르메스미술상 등에 추천 및 심사위원
    • 2003년-현재. 중앙일보, 시사 IN, 씨네 21, 한겨레21, 경향신문 등에 칼럼 연재

dogstylist.com 운영 반이정 트위터

진행[9]

정려원
배우, 2013 서울시립미술관 후원회 홍보대사
  • 경력

드라마: 메디컬 탑팀, 드라마의 제왕, 샐러리맨초한지, 내 이름은 김삼순 등 영화: 네버엔딩 스토리, 통증, 김씨표류기 등 저서: 정려원의 스케치북

송경아
모델, 미술 작가, 웹툰 작가로 활동 중
  • 경력
    • 2013 예술나무 운동 홍보대사
    • 2013 청주 국제 공예 비엔날레 작품 출품
    • 2013「피카소에서 제프쿤스까지」 주얼리 아트콜라보 전시
    • 2012 아트 아시아 작품 출품

패션쇼: 크리스챤 디올, 조르지오 아르마니, 리바이스, 디젤과 협업 방송: 팔로우 미, 히어로는 슈트를 입는다, 생활의 발견 오감도 등 저서: TOP MODEL, 키스미 트래블, 패션모델 송경아, 뉴욕을 훔치다

시즌 1 참가자

  • 구혜영: 설치, 퍼포먼스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원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했다.
예술을 소비되는 것, 죽음, 인생무상으로 보는 예술관을 가지고 있다.
노래, 악기연주, 춤, 연기에 탁월한 실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 김동형: 회화,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작가 어시스턴트로 일하였다.
테이프를 주재료로 사용한다.
종이학을 주테마로 삼는다.
예술가는 순수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 료니: 회화, 조소,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뉴욕시 예술대학(The Art Institute of New York City)을 자퇴했다.
대만계 혼혈로 사춘기 시절 국적과 관련된 정체성 혼란을 겪었다고 한다.
  • 림수미: 조소,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현재는 시카고 미술 대학원을 휴학중이라고 한다.
  • 서우탁: 회화, 조소,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계원예술대학교 졸업
JYP 비주얼 디렉터 일을 하였다.
철저하게 계획된 작업을 하는 완벽주의자라고 한다.
  • 송지은: 미디어아트,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계원예술대학교에 최우수로 입학해 전과 수석 졸업했다고 한다.
프랑스 유학원 홍대 아뜰리에뷰 강사 및 DJ로 일하였다.
예술은 주변의 모든것을 느끼고, 생각한 것을 시각화하는 것이라 보는 예술관을 가지고 있다.
  • 신제현: 설치, 미디어아트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성균관대 미술 대학원을 졸업했다.
야생지역 대마초를 맵핑해 찾아가는 작업, 정액으로 비누를 만들어서 판매한 작업 등 문제적인 작업을 했다고 한다.
  • 유병서: 설치, 퍼포먼스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을 전공했다.
전단지, 낙서, 손톱깎이 등 독특한 아이템을 수집하는 수집광이라고 한다.
실험정신을 가지는 것이 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본다.
  • 윤세화: 조소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홍익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이다.
빛과 그림자, 천문학과 물리학에 관심이 많다고 한다.
일상 속에서 아이디어를 수집해 즉흥적으로 작업하는 방식을 즐긴다고 한다고 한다.
  • 이국현: 회화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 이베르: 회화,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시각예술가, 음악디렉터, 패션디렉터, 아트디렉터로 활동했다.
아이들을 주 테마로 작업한다고 한다. 방치되고 버려진 감성에 연민을 가지고 작업한다고 한다.
  • 이현준: 조소,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첼시 예술대학교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쳤다.
김중만, 노홍철, 이효리가 이현준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 문화적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차지량: 미디어, 영상, 퍼포먼스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동시대 시스템의 고립을 겨냥하는 개인'에 초점을 맞춘 예술 작업을 해왔다.
뉴홈(2012), 일시적 기업(2011), 세대독립클럽(2010) 이동을 위한 회화(2008)등의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개인전과 단체전, 미디어아트, 실험예술, 영화제 등에서 수상 및 참여하였다.[10]
  • 최혜경: 회화,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시카고 예술대학(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학사후 과정(Post-baccalaureate) 졸업.
예술석사학위(Master of Fine Art) 휴학 중. (확인 필요)
본인의 가장 고통스럽고 힘든 부분을 소재로 작업한다고 한다.
국내에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였다.
  • 홍성용: 회화, 미디어, 설치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있다.
현직 대학 강사이다.
옻칠기법을 사용하여 작업한다고 한다.
Remove ads

각 에피소드별 미션

  • 에피소드 1: 예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라! (3월 30일)
초청 심사위원: 권오상(예술가)
우승: 김동형
탈락: 이국현
  • 에피소드 2: 당신에게 예술은 무엇인가? (4월 6일)
초청 심사위원: 임수정(배우)
우승: 홍성용
탈락: 송지은
  • 에피소드 3: 금기를 소재로 작품을 만들어라 (4월 13일)
초청 심사위원: 강홍구(예술가)
우승: 김동형
탈락: 림수미, 이베르
  • 에피소드 4: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주제로 작품을 제작하라 (4월 27일)[11]
초청 심사위원: 조윤행(토탈코스메틱 브랜드 상무)
우승: 신제현
탈락: 차지량
  • 에피소드 5: 철원 DMZ 지역에 설치할 공공예술 작품을 만들어라 (5월 4일)
초청 심사위원: 공성훈(예술가)
우승: 홍성용 팀(홍성용, 신제현, 이현준, 료니, 서우탁)[12]
탈락: 없음[13]
  • 에피소드 6: 가치가 낮은 소재를 활용해 예술 작품을 제작하라 (5월 11일)
초청 심사위원: 현태준(예술가)
우승: 홍성용 팀(홍성용, 신제현, 이현준, 료니, 서우탁)
탈락: 윤세화, 최혜경
  • 에피소드 7: 컬쳐 스토어의 스폐셜존을 예술작품으로 만들어라 (5월 18일)[14]
초청 심사위원: 에이드리안 마젤리스트(MCM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우승: 이현준
탈락: 서우탁
  • 에피소드 8: 대중문화 아이콘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작품을 제작하라 (5월 25일)
초청 심사위원: 없음
우승: 유병서
탈락: 김동형
  • 에피소드 9: BMW2시리즈 의 매력에 영감을 받아 작품으로 표현하라 (6월 1일)
초청 심사위원: 강원규(BMW 디자이너)
우승: 유병서
탈락: 료니
  • 에피소드 10: 현대 미술계를 비판하는 작품을 하라 (6월 8일)
초청 심사위원: 없음
우승: 신제현[15]
탈락: 이현준, 홍성용
  • 에피소드 11: 도전자 15인의 스페셜 토크 (6월 15일)
초청 심사위원: 없음
우승: 없음
탈락: 없음
  • 에피소드 12: 최종 : 우승자 발표 (6월 22일)
초청 심사위원: 김홍희(서울시립미술관장)
최종 우승: 신제현
Remove ads

최종 결과

자세한 정보 순위, 이름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