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포스티유 협약

헤이그국제사법회의가 제안한 국제 조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포스티유 협약
Remove ads

외국공문서에 대한 인증의 요구를 폐지하는 협약(Hague Convention Abolishing the Requirement of Legalisation for Foreign Public Documents), 아포스티유 협약(Apostille Convention), 아포스티유 조약(Apostille Treaty)은 헤이그국제사법회의가 제안한 국제 조약이다. 조인국들 중 한 곳에서 발행한 문서가 다른 모든 조인국들에서 합법적으로 인증하는 양상을 규정한다. 이 협약의 인증을 아포스티유(apostille)라고 부른다. 국가법의 공증과 비견할 만한 국제 인증이며 문서에 대한 지역적인 공증을 보충해 주는 것이 보통이다. 두 나라 사이에 협약이 적용되면 이 아포스티유만으로 문서의 유효성을 공증하기에 충분하며 이중 인증이 불필요하다.

Thumb
1961년 10월 5일 외국공문서의 인증 요구를 철폐하는 헤이그 협약.
  협약 당사국(HCCH의 회원국)
  협약 당사국(HCCH의 비회원국)
  협약이 발효되지 않은 당사국
Remove ads

정보

Thumb
노르웨이 기관이 발행한 아포스티유.

아포스티유 그 자체는 표준화된 10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인쇄된 양식과 도장으로 구성된다. 맨 위에는 "APOSTILLE"(아포스티유)라는 문구가 있으며 그 아래에 "Convention de La Haye du 5 octobre 1961"(1961년 10월 5일 헤이그 협약)이라는 문구가 배치된다. 이 제목은 아포스티유 발효를 위해 프랑스어로 작성되어야 한다.(협약 제4항) 번호로 된 칸의 경우 발행 기관의 공식 언어 또는 제2언어로 다음의 정보가 추가된다:

  1. 국가(Country) … [예: 중국, 홍콩 (Hong Kong, China)]
    이 공문서의(This public document)
  2. 서명자(has been signed by) [예: Henry Cho]
  3. 공증기관(acting in the capacity of) [예: Notary Public]
  4. 검인기관(bears the seal/stamp of) [예: High Court of Hong Kong]
    공증(Certified)
  5. 장소(at) [예: Hong Kong]
  6. 날짜(the) … [예: 16 April 2014]
  7. 수행기관(by) … [예: the Chief Executive of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Hong Kong]
  8. 번호(No) … [예: 2536218517]
  9. 도장(Seal/stamp) … [아포스티유 발급 기관(of the authority giving the apostille)]
  10. 서명(Signature)

이 정보는 문서 자체 또는 문서의 뒷면에 배치하거나 부전(附箋)으로서 문서에 부착될 수 있다.

Remove ads

적법한 문서

네 가지 유형의 문서들이 협약에 언급되어 있다:[1]

  • 법원 문서(court document)
  • 행정 문서(administrative document, 예: 호적 문서)
  • 공증(notarial act)
  • 공식 인증서(official certificate)

당사국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국가, 발효일 ...

사우디아라비아는 협약 당사국이 아니다.[5]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