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프가니스탄-우즈베키스탄 관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프가니스탄-우즈베키스탄 관계
Remove ads

아프가니스탄우즈베키스탄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일부 문화적 유대를 공유한다.[1][2] 아프가니스탄 북부에는 약 370만 명에서 610만 명으로 추정되는 우즈베크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우즈베키스탄 다음으로 큰 우즈베크인 인구 집단이다. 아프가니스탄에는 우즈베크어의 토착 방언도 존재하는데, 서로 다른 알파벳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 사용되는 우즈베크어와 완전히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크인이 다수인 일부 주에서만 법적 지위를 가지며, 아프가니스탄의 어떤 중앙 정부도 우즈베크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한 적은 없다.

간략 정보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

탈레반이 집권한 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을 폐쇄하고 아프가니스탄인에게 난민 지위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으며, 아프간-우즈베크인을 포함한 아프가니스탄인이나 우즈베키스탄에 가족이 있는 아프가니스탄인의 입국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3] 그러나 비자가 만료된 후 우즈베키스탄에 체류 중인 아프가니스탄 국민은 추방되지 않을 것이라고 우즈베키스탄 내무부는 밝혔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역사적으로 아프가니스탄과 그 이웃 국가들 사이에는 국경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대 중앙아시아남아시아의 국경은 그레이트 게임 기간 동안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에 의해 그어졌다. 러시아 제국이나 대영 제국에 정복되지 않은 남은 영토는 후에 아프가니스탄으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불완전한 국경 설정은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 그리고 아프가니스탄과 남아시아 사이의 문화적 중첩을 낳게 되었다.[4] 러시아 제국이 소련으로 바뀌었을 때 이 지역에 처음으로 강력한 국경이 설정되었고, 그 결과 아프가니스탄의 타지크인, 우즈베크인, 투르크멘인은 북쪽에 있는 동족들과 분리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선 이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포함한 소련은 공산주의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침공하였다. 그러나 소련의 우즈베크인, 타지크인, 투르크멘인과 아프가니스탄 내 그들의 동족 사이의 민족적 유대 때문에 전쟁이 격화되자, 소련 중앙아시아 병력은 주로 슬라브계 병력으로 대체되었다.[5][6]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 6만 4천 명의 우즈베크인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싸웠으며, 최소 1,522명이 전사하고 2,5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어 장애를 남겼다.[7] 우즈베키스탄의 전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는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소련의 개입을 "중대한 실수"라고 표현하였다.[8]

샵카트 미르지요예프가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 된 이후, 우즈베키스탄과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는 상당히 개선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은 무역, 문화적 연결,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분쟁의 중재자 역할 등에서 더 큰 지역적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9][10][11] 2017년 두 나라는 40건이 넘는 수출 협정에 서명하였다.[12] 우즈베키스탄의 이웃 국가들과의 무역은 2016년 27억 달러에서 2021년 52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 중 거의 5분의 1이 아프가니스탄과의 무역이었다.[13] 2009년 아프가니스탄 정부 관계자들은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국가들과 협력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과하는 에너지 회랑을 구축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남아시아 국가들이 중앙아시아 국가들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14]

근대 역사 대부분에서 아프가니스탄은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이웃 국가들에 상대적으로 의존해 왔다. 2015년 아프가니스탄 전력의 73%는 이웃 국가들로부터 공급되었으며, 이 중 53%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공급되었다. 이러한 주변국 의존의 결과 아프가니스탄은 통합된 국가 전력망을 갖추지 못하고, 이웃 국가에서 뻗어나온 여러 개의 분리된 전력망을 가지고 있다.[14] 2021년 12월, 아프가니스탄 전력청 다 아프가니스탄 브레슈나 셔캇(DABS)은 우즈베키스탄이 202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전력 수출 계약을 연장했다고 발표했다.[15]

2023년 5월, 아프가니스탄에서 우즈베키스탄으로 수출된 석류 주스 선적에서 메스암페타민이 발견되었다.[16]

2024년 8월,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35건의 투자 및 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 협정들의 총 가치는 25억 달러에 달하며, 우즈베키스탄 투자·산업, 무역부 장관에 따르면 양국 간 무역 규모를 30억 달러로 확대하는 것이 현재 목표라고 밝혔다. 2024년 10월, 우즈베키스탄은 오이베크 우스모노프를 아프가니스탄 대사로 임명하였다.[17] 우스모노프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외무부 차관과 파키스탄이집트 대사를 역임한 바 있다.[18]

Remove ads

국경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영토는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티무르 왕조 시기에 단일한 통치 아래에 있었다. 1750년 아프가니스탄의 에미르 아흐마드 샤 두라니부하라 칸국의 칸 무함마드 무라드 베크 사이에 체결된 우호 조약으로 인해 아무다리야강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식 국경으로 확정되었다.[19]

1981년 소련 건설자들의 도움으로 아무다리야강을 가로지르는 길이 816m의 철도 교량인 우호의 다리가 건설되었다.[20]

2021년 5월, 우즈베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을 폐쇄하였다.[21]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