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동 임계계회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안동 임계계회도(安東 壬癸契會圖)는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계회도이다. 한국국학진흥원 등에 보관되어 있다. 2017년 4월 24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01호로 지정되었다.[1]
지정 사유
임계계회도는 안동지역 양반 11명이 모여 계(契)를 구성하고 그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그린 것으로, 이 계는 안동 향내에 사는 壬子年(1552)과 癸丑年(1553)에 출생한 사람들이 도의의 교를 맺고 우의를 다지기 위해 만들었다. 원래 11점을 제작하여 각자가 나누어 가졌는데 현재 5점이 전해져오고 있다.[1]
계회도의 구성은 상단에 전서체로 ‘임계계회지도(壬癸契會之圖)’라는 제목을 쓰고 중단에는 그림과 8편의 시가 있고 하단에는 참석자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통상적인 계회도와 달리 시를 추가하여 모두 4단으로 구성하였다는 특이성이 있다.[1]
문화재로 지정 신청된 5점의 임계계회도는 17세기 안동지역 문중 소장 계회도 양식의 전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작품으로, 특히 17세기 초반 학가산 광흥사와 삼구정의 실경을 그려 당시의 화풍을 잘 알려주고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 및 그들이 지은 시가 함께 기재되어 있어 문화사적으로도 있으므로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1]
Remove ads
지정 내역
Remove ads
갤러리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