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앤드리아 M. 게즈
미국의 천문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앤드리아 미아 게즈(영어: Andrea Mia Ghez, 1965년 6월 16일~)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물리학 및 천문학과 교수이자 로렌 B. 라이히트만 & 아서 E. 레빈 천체물리학 석좌교수이다.[1] 그의 연구는 우리 은하의 중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네 번째 여성이 되었으며, 수상의 절반을 라인하르트 겐첼과 공유했다(나머지 절반은 로저 펜로즈에게 수여되었다).[1][3] 노벨상은 우리 은하의 은하중심에 있는 블랙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초대질량의 밀집된 천체, 궁수자리 A*를 발견한 공로로 게즈와 겐첼에게 수여되었다.[4][5]
Remove ads
초기 생애
게즈는 뉴욕에서 태어났다.[1] 그녀는 쉬잔(성 Gayton)과 길버트 게즈의 딸이다.[6][7] 그녀의 아버지는 유대인 혈통으로, 원래 튀니지와 프랑크푸르트, 독일 출신의 가족으로부터 이탈리아, 로마에서 태어났다.[8][9] 그녀의 어머니는 매사추세츠주 노스 애틀버러 출신의 아일랜드계 가톨릭 가족이었다.[10]
1969년, 그의 아버지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마치고 시카고 대학교에 취직했으며, 게즈는 교수 자녀로서 연구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8][6][11]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은 게즈가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가 되려는 열망을 불러일으켰고 어머니는 망원경을 사주면서 그 목표를 격려했다.[12][13]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여성 롤모델은 고등학교 화학 선생님이었다.[14]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다가 물리학으로 전공을 바꿨다.[15] 그녀는 1987년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이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3][16] 그곳에 있는 동안 세인트 앤서니 홀 남학생 사교 클럽의 회원이었다.[17][18] 1992년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게리 노이게바워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19]
Remove ads
경력
요약
관점
게즈의 연구는 켁 망원경의 적응광학 시스템과 같은 고해상도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여 별 형성 지역과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궁수자리 A*로 알려진 초대질량 블랙홀을 연구한다.[20][21] 그는 우리 은하 중심 근처 별들의 운동학을 사용하여 이 지역을 탐사한다.[22] 켁 망원경의 고해상도[23]는 라인하르트 겐첼 그룹의 은하 중심 운동학에 대한 첫 번째 주요 연구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가져왔다.[24]
2004년에 게즈는 미국 국립과학원에 선출되었고, 2012년에는 미국철학학회에 선출되었다.[25][26] 2019년에는 미국 물리학회 (APS)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7]
게즈는 BBC, 디스커버리 채널, 히스토리 채널과 같은 방송사에서 제작한 많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 2006년에는 PBS 시리즈 노바의 한 에피소드에 출연했다.[28] 그녀는 마이 히어로 프로젝트에 의해 과학 영웅으로 선정되었다.[12] 2000년에 디스커버 잡지는 게즈를 각 분야에서 유망한 젊은 미국 과학자 20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2]
은하 중심의 블랙홀 (궁수자리 A*)
게즈와 그의 동료들은 적외선 파장으로 은하중심을 촬영하여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짙은 먼지를 뚫고 우리 은하 중심의 이미지를 드러낼 수 있었다. W.M. 켁 망원경의 10미터 구경과 대기의 난류를 보정하기 위한 적응광학 사용 덕분에 은하 중심의 이 이미지들은 매우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지며, 블랙홀 궁수자리 A* (Sgr A*) 주위를 도는 별들의 궤도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은하 중심의 블랙홀을 공전하는 많은 별들의 부분 궤도가 관측되었다. 그 별들 중 하나인 S2는 1995년 상세 관측이 시작된 이래 완전한 타원 궤도를 그렸다. 이 별들의 궤도를 완전히 기록하려면 수십 년이 더 걸릴 것이다. 이러한 측정은 일반 상대성이론의 시험을 제공할 수 있다. 2012년 10월, UCLA에 있는 그의 연구팀은 은하 중심을 공전하는 두 번째 별인 S0-102를 확인했다.[29] 케플러의 제3법칙을 사용하여, 게즈의 팀은 궤도 운동을 통해 궁수자리 A*의 질량이 4.1±0.6백만 태양질량임을 보였다.[30] 궁수자리 A*가 위치한 은하 중심은 다음으로 가까운 초대질량 블랙홀(M31*)이 있는 M31보다 100배 가깝기 때문에,[31] 초대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가장 잘 증명하는 사례 중 하나이다.[32][33]
2020년, 게즈는 로저 펜로즈와 라인하르트 겐첼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블랙홀과 관련된 발견으로 공동 수상했다.[4] 게즈와 겐첼은 우리 은하 중심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이 별들의 궤도를 가장 likely 지배한다는 발견으로 상의 절반을 수상했다.[34] 게즈는 노벨 물리학상이 제정된 이래 네 번째 여성 수상자였으며, 마리 퀴리 (1903년),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1963년), 도나 스트릭랜드 (2018년)가 그 전이었다.[3]
Remove ads
수상 경력
- 애니 J. 캐넌 천문학상 (1994)[35]
- 패커드 펠로우십 상 (1996)[36]
- 슬론 리서치 펠로우십 상[37]
- 미국 천문학회의 뉴턴 레이시 피어스 천문학상 (1998)[35]
- 미국 물리학회의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상 (1999)[38]
- 새클러상 (2004)[39]
- 학술 우수 골드 실드 교수상 (2004)[40]
- 마크 애런슨 기념 강좌 (2007)
- 맥아더 펠로우십 (2008)[41]
- 크라포르드상 천문학 부문 (2012)[42]
- 스웨덴 왕립 과학한림원 (2012)[43]
- 왕립학회 베이커리안 메달 (2015)[44]
- 옥스퍼드 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2019)[45]
- 미국 물리학회 회원 (2019)[27]
- 미국 천문학회 레거시 펠로우로 선출 (2020)[46]
- 노벨 물리학상 (2020)[4]
선택된 출판물
논문
- Ghez, Andrea M.; Neugebauer, Gerry; Matthews, K. (1993). 《The Multiplicity of T Tauri Stars in the Taurus-Auriga & Ophiuchus-Scorpius Star Forming Regions: A 2.2 micron Imaging Survey》 (PDF). 《Astronomical Journal》 106. 2005–2023쪽. Bibcode:1993AJ....106.2005G. doi:10.1086/116782. S2CID 122568990.
- Ghez, Andrea M.; White, Russel J.; Simon, M. (1997). 《High Spatial Resolution Imaging of Pre-Main Sequence Binary Stars: Resol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ks and Close Companions》. 《Astrophysical Journal》 490. 353–367쪽. Bibcode:1997ApJ...490..353G. doi:10.1086/304856.
- Ghez, Andrea M.; Klein, B. L.; Morris, M.; Becklin, E.E. (1998). 《High Proper Motions in the Vicinity of Sgr A*: Evidence for a Massive Central Black Hole》. 《Astrophysical Journal》 509. 678–686쪽. arXiv:astro-ph/9807210. Bibcode:1998ApJ...509..678G. doi:10.1086/306528. S2CID 18243528.
- Ghez, A. M.; Morris, M.; Becklin, E. E.; Tanner, A.; Kremenek, T. (2000). 《The Accelerations of Stars Orbiting the Milky Way's Central Black Hole》. 《네이처》 407. 349–351쪽. arXiv:astro-ph/0009339. Bibcode:2000Natur.407..349G. doi:10.1038/35030032. PMID 11014184. S2CID 312384.
- Ghez, A. M.; Duchêne, G.; Matthews, K.; Hornstein, S. D.; Tanner, A.; Larkin, J.; Morris, M.; Becklin, E. E.; S. Salim (2003년 1월 1일). 《The First Measurement of Spectral Lines in a Short-Period Star Bound to the Galaxy's Central Black Hole: A Paradox of Youth》.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영어) 586. L127쪽. arXiv:astro-ph/0302299. Bibcode:2003ApJ...586L.127G. doi:10.1086/374804. S2CID 11388341.
- Ghez, A. M.; Salim, S.; Weinberg, N. N.; Lu, J. R.; Do, T.; Dunn, J. K.; Matthews, K.; Morris, M. R.; Yelda, S. (2008년 12월 20일). 《Measuring Distance and Properties of the Milky Way's Central Supermassive Black Hole with Stellar Orbits》. 《Astrophysical Journal》 (영어) 689. 1044–1062쪽. arXiv:0808.2870. Bibcode:2008ApJ...689.1044G. doi:10.1086/592738. S2CID 18335611.
책
- Ghez, Andrea Mia; Cohen, Judith Love (2006). 《You Can Be a Woman Astronomer》. Cascade Pass. ISBN 978-1-880599-78-5.[18]
Remove ads
개인 삶
게즈는 톰 라투레트와 결혼하여[47] 두 아들을 두고 있다.[48][49] 게즈는 UCLA 마스터스 수영 클럽에서 활발한 수영 활동을 하고 있다.[50][51][52]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