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미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안미생(1914년? 1919년? ~ 2008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미국의 화가이다. 그녀는 1938년에서부터 1939년까지 1년간 충칭 주재 영국 대사관 직원으로 근무하다가 1939년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40년 김구(金九)의 장남 김인(金仁)과 결혼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4월) |
Remove ads
생애
생애 초반
그녀는 1914년 안정근의 장녀로 중화민국 허베이 성 베이징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바로프스크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에서 성장하였다. 이후 가족을 따라 중국 각지를 전전하다가 해외 유학을 하였고 해외 유학을 마친 후 국민정부 시대 중화민국 대륙 본토 칭화 대학에 입학했다.
중국에서의 활동
칭화 대학에서 연극반 활동을 했으며 '뇌우(雷雨)' 연극에서 수녀 역으로 특별 출연하기도 했다. 대학을 나온 후 쿤밍 시난 연합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잠시 지내다가 그만두고 쓰촨 성 충칭의 국민정부 대륙 체제 중화민국 본토 충칭 주재 영국대사관에서 근무하다가 김구의 장남 김인을 만나 결혼하였다. 그 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재중경 애국부인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1945년 3월 29일 남편 김인이 사망하자 이후 안미생은 김구의 비서관으로 활동하였고, 1945년 11월 3일 임정 환국 제1진으로 귀국할 때 김구, 김규식 등과 함께 귀국하였다.
광복 이후에도 경교장에서 시부 김구 선생의 비서관으로 활동했다.
뒤에 미국으로 건너가서 2008년에 향년 95세로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거주했다.
학력
- 1922년 마카우 보스코 웨화 초등학교(前) → 1929년 홍콩 세인트 메리 캐노션 여학교(前) → 1930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캔터베리 여학교(前) → 1933년 홍콩 메리마운트 여학교 졸업
- 1938년 중화민국 칭화 대학교 법학과 학사
명예 졸업
- 1958년 홍콩 세인트 메리 캐노션 여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Remove ads
가족 및 친척 관계
- 아버지 : 안정근(安定根)
- 남동생 : 안진생
- 남편 : 김인(金仁, 1917년 ~ 1945년) 독립운동가. 중국 중앙군사정치학교 졸업. 前 대한독립군 감독관. 대한독립군 소령
- 딸 : 김효자(金孝子, 1943~)
- 외손녀 : 자넷(Jannet)
- 딸 : 김효자(金孝子, 1943~)
- 남편 : ?
- 아들 : 토마스
- 며느리 : 메이
- 손녀 : 올리비아
- 큰 아버지 : 안중근(安重根, 1879~1910)
- 작은 아버지 : 안공근(安恭根)
- 시아버지 : 김구(金九, 1876~1949)
- 친정 종숙부 : 안명근
- 친정 종숙부 : 안경근
- 친정 사촌 오빠 : 안준생
- 친정 사촌 오빠 : 안우생
- 친정 6촌 오빠 : 안봉생
- 친정 6촌 오빠 : 안춘생
Remove ads
문화에 나타난 안미생
TV 드라마
영화
같이 보기
![]() |
이 글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