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시성 전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안시성 전투
Remove ads

안시성 전투(安市城 戰鬪,645년, 보장왕 4년)는 제 1차 고당 전쟁 중에 당 태종, 이세적[2]이 지휘하는 군대가 대규모로 고구려를 침공하여 2개월 가량 안시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끈질긴 항전으로 이를 물리치고 고구려가 승리한 싸움이다.

간략 정보 안시성 전투, 날짜 ...

전투 배경

644년 6월,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던 당태종은 마침내 고구려의 침략을 명령한 후 11월 수륙 양면으로 약 5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공격을 시작했다. 이때 당군은 각종 공성용(攻城用) 기구를 총동원했다와 석궁. 당 태종은 다음해 2월에 낙양(洛陽)을 출발하여 직접 원정길에 올랐다. 또한 돌궐거란으로 구성된 이민족의 군대도 다수 동원되었으며 대다수의 군대가 예전 수나라 때의 원정군과는 질적으로 다른 정예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세적이 이끄는 선발대와 당태종 이세민이 직접 지휘하는 친정군, 그리고 장량이 지휘하는 수군으로 크게 3갈래로 침입해 왔으며 당군은 효과적인 기만전술과 기습으로 고구려의 현도성,개모성,비사성,요동성, 백암성 등이 차례로 함락되었다. 당시 요동방면에서는 가장 북쪽의 신성, 그리고 남쪽의 안시성, 건안성 들이 격렬히 저항하고 있었고, 당태종의 당의 대군은 요동성에서 집결 한 후, 안시성 방면으로 진격하게 된다. 당 태종은 다음해 2월에 뤄양(洛陽)을 출발하여 직접 원정길에 올랐다. 요동에 진입한 이세적(李世勣)의 군대는 개모성(蓋牟城)을 함락시키고, 장량(張亮)의 수군은 비사성(卑沙城)을 함락시켰다. 태종이 직접 독려하는 가운데 645년 5월에는 요동성까지 함락시킨 뒤 백암성(白巖城)을 공격했다.

백암성이 6월에 함락되자 태종은 "안시성이 연개소문의 정변 때도 안시성 성주가 복종하지 않아 공격을 받았으나, 항복시키지 못했다고 들었다"라고 말하며 우회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보급로가 차단될 것을 염려한 이세적의 건의를 받아들여 안시성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고구려의 중앙정부에서는 고정의(高正義)·고연수(高延壽)·고혜진(高惠眞)의 지휘 아래 말갈군을 포함하여 15만 명의 군사를 내어 안시성 구원을 위해 출동시켰으나 초전에 당군의 유인 작전에 말려들어 패배하였고 고연수, 고혜진이 항복했다.

Remove ads

전투의 전개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