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안티오키아 총대주교(Patriarch of Antioch)는 안티오키아의 그리스도교 주교가 갖고 있는 전통적인 호칭으로, 안티오키아를 중심으로 성지 예루살렘팔레스타인 그리고 시나이 반도를 제외한 전 동방(중근동 지역)을 관장하는 총대주교를 말한다.

안티오키아 주교직은 비(非)유대인 그리스도교 공동체로서는 최초로 등장한 감독(그리스어: ἐπίσκοπος)으로, 그리스도교 발생 초기부터 사도 바울로 그리스도교 공동체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였다.

안티오키아 교구는 사도 교회 초기 주교들의 이름이 보존된 몇 안 되는 교구 가운데 하나이다. 현대에는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시리아 가톨릭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마론파 가톨릭 교회 등 5개 교회에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직을 칭하고 있다.

초기 교회 전승에 따르면, 이 고대 총대주교는 사도 성 베드로에 의해 세워졌다. 362년 멜레티우스 분열 시기와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칼케돈파 멜키트 교회와 비칼케돈파 교회가 각각 총대주교를 임명했다. 7세기에 멜키트 교회에서 일어난 후계 분쟁 이후 마론파도 따로 마론파 총대주교를 임명하기 시작했다.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를 임명하기 시작하였다(안티오키아 라틴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라틴 총대주교는 1268년 안티오키아가 함락된 뒤에는 형해화되었지만, 1964년에 주교좌가 완전히 폐지될 때까지는 임명이 이어졌다.

18세기에 이르러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시리아 정교회에서 일어난 총대주교좌 계승 분쟁으로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시리아 가톨릭 교회가 각각 분립하면서 이들 교단도 로마와 상통하는 총대주교를 임명하게 되었다.

Remove ads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 시리아 정교회 소속의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 현 총대주교는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아이와스 총대주교이다.

가톨릭(동방 가톨릭) 계열

이들은 모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직함을 사용하나 현재 터키의 안타키아인 안티오키아에 주재하는 총대주교는 아무도 없으며 동방 정교회와 시리아 정교회 그리고 멜키트-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총대주교좌는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으며 마론파 교회와 시리아 가톨릭교회의 경우, 각각 레바논의 브케르케와 베이루트에 총대주교좌를 두고 있다.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