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알레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알레나 또는 쌍둥이자리 감마(γ Gem)는[10] 쌍둥이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으로 쌍둥이자리 내에서 세 번째로 밝게 보인다. 겉보기 등급은 +1.9로[3] 도심지에서도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시차 자료에 따르면 알레나는 대략 지구로부터 약 109 광년 떨어져 있다.[1]
Remove ads
특징
알레나는 중심핵에 있는 수소가 상당히 고갈되어 준거성 단계로 진화한 상태이다. 분광형상으로는 A0 IV로 분류된다.[11] 태양과 비교하면 질량은 2.8배,[7] 반지름은 3.3배 크다.[6] 광도는 태양의 123배 정도이며[6] 바깥쪽 대기층에서의 유효 온도는 약 9,260 켈빈이다.[8] 이 온도 때문에 알레나는 전형적 A형 항성의 특징인 흰 빛의 색조를 띤다.[12]
알레나는 분광쌍성으로 두 별은 높은 이심률의 케플러 궤도를 그리면서 12.6년(4614.51일)에 서로의 질량중심을 1회 공전한다.[13]
어원
쌍둥이자리 감마는 항성을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전통적인 애칭 알레나는 아랍어 الهنعة (‘알하나’, 낙타 목에 있는 낙인)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다른 애칭인 알메이산은 아랍어 المیسان (‘알마이산’, 빛나는 것)에서 온 것이다. ‘알하나’는 알레나, 쌍둥이자리 뮤(테자트 포스테리어), 누, 에타(테자트 프라이어), 크시(알지르) 별들을 하나로 묶어 부르는 이름이었다. 이 별들은 ‘알누하트’의 ‘곱절’ 의미를 지닌 ‘알 누하타이’로 불리기도 했는데 그 뜻은 ‘낙타의 혹’이다.[14] 2016년 국제천문연맹 내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는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공식 명칭으로 고시하였으며 알레나 역시 해당 목록에 포함되었다.[15][16]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책력’에 수록된 성표에는 ‘니르 알헤나트’로 수록되었으며 이는 라틴어로 번역하면 Prima του al Henat로 ‘알헤나트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이라는 뜻이다.[17]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알레나는 정수(井宿, Jǐng Su, ‘우물’)에 속해 있다. 정수를 구성하는 별들은 알레나, 쌍둥이자리 뮤, 누, 크시, 엡실론, 제타, 람다, 쌍둥이자리 36이 있다.[18] 알레나의 단독 명칭은 ‘정수삼’(井宿三, Jǐng Su sān)으로 ‘정수에서 세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9]
Remove ads
문화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