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알부민 인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알부민 인화
Remove ads

알부민 인화, 알부민 프린트(albumen print) 또는 알부민 은염 인화, 알부민 실버 프린트(albumen silver print)는 달걀 흰자를 이용하여 사진을 인화하는 방식이다. 1847년 1월 루이 데지레 블랑카르-에브라르가 발표한[1] 이 방법은 네거티브 필름에서 종이 기반으로 사진을 인화하는 최초의 상업적 공정이었으며,[2] 이전 방식인 다게레오타이프틴 타입은 금속에 인화되었다. 1855년부터 20세기 초까지 사진 양화의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 1860년에서 1890년 사이에 절정에 달했다. 19세기 중반에는 카르트 드 비지트가 알부민 인화 방식의 인기 있는 용도 중 하나가 되었다. 19세기에는 E. & H. T. 앤서니 앤드 컴퍼니(E. & H. T. Anthony & Company)가 미국에서 알부민 사진 인화지와 인화물을 가장 크게 생산하고 유통하는 회사였다.[3]

Thumb
1869년 루이 데지레 블랑카르-에브라르의 알부민 인화 사진
Thumb
프랜시스 프리트가 1857년에 촬영한 필라이의 하이패스랄 사원; 매체: 알부민 인화, 원본 크기 38.2×49.0 cm;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 소장
Thumb
존 모란 (사진가)의 1871년 리몬 만, 밀물 알부민 인화 사진, 원본 크기 7 15/16 × 10 5/8인치 (20.2 × 27 cm), J. 폴 게티 미술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Remove ads

제작 과정

  1. 대개 100% 면으로 된 종이에 달걀 흰자(알부민)와 소금(염화 나트륨 또는 염화 암모늄)의 유제를 입힌 다음 건조시킨다. 알부민은 종이를 밀봉하고 감광제가 놓일 약간 광택 있는 표면을 만든다.
  2. 그런 다음 종이를 질산 은과 물 용액에 담가 표면을 자외선에 민감하게 만든다.
  3. 종이를 자외선이 없는 곳에서 건조시킨다.
  4. 건조된 준비된 종이를 네거티브 아래에 직접 접촉시켜 프레임에 넣는다. 네거티브는 전통적으로 콜로디온 유제가 있는 유리 네거티브이지만, 이 단계는 현대의 할로젠화 은 네거티브로도 수행할 수 있다. 네거티브가 있는 종이는 이미지가 원하는 어둡기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빛에 노출시키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최종 결과물보다 약간 더 밝다. 인화 과정은 인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빛에 노출되면서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노출 중에 확인할 수 있다. 오래전에는 직사광선을 사용했지만, 종이가 자외선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에 더 예측 가능한 자외선 노출 장치가 현대에는 자주 사용된다.
  5. 싸이오황산 나트륨 용액으로 인화물의 노출을 고정하여 더 이상 어두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6. 선택 사항인 또는 셀레늄 토닝은 사진의 톤을 개선하고 색바램에 대한 안정성을 높인다. 토너에 따라 토닝은 인화를 고정하기 전이나 후에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가 현상액의 도움 없이 빛에 노출된 직접적인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알부민 인화는 현상된 사진이라기보다는 인화된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알부민 유제에 포함된 식염(염화 나트륨)은 질산 은과 접촉하면 염화 은을 형성한다. 염화 은은 빛에 노출되면 불안정하여 은과 염소로 분해된다. 은 이온(Ag+)은 현상/인화 과정에서 전자를 추가하여 은(Ag)으로 환원되고, 남은 염화 은은 정착 과정에서 씻겨 나간다. 이미지의 검은 부분은 금속 은(Ag)으로 형성된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