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알유넥스트
JTBC에서 방영된 오디션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알유넥스트》(R U Next?)는 빌리프랩이 기획하고 하이브가 주최해 JTBC에서 방영된 대한민국의 걸 그룹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웨이브와 넷플릭스, 아메바 TV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2][3][4] 투표는 위버스와 토스에서 진행되었다.[5][6] 무대 촬영은 일산 JTBC 스튜디오에서 했다.[7][8]
원래는 《아이랜드》처럼 하이브와 엠넷이 같이 제작하는 《아이랜드2》로 2022년에 방영될 예정이었고[9] 2021년 9월 27일부터 지원자를 모집했다.[10] 그러나 엠넷은 2022년 7월 15일에 프로그램을 더 짜임새 있게 만들기 위해 《아이랜드2》 편성을 잠정 연기하겠다고 했다.[11] 이후 하이브와 엠넷의 공동 제작이 무산되었고[12] 2023년 6월 1일에 JTBC와 함께 《알유넥스트》를 제작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1] 제작진은 《알유넥스트》가 《아이랜드》와 전혀 다른 별개의 프로젝트라고 했다.[13] 엠넷도 2024년 상반기 방영을 목표로 《아이랜드2》 제작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알유넥스트》와 《아이랜드2》는 완전히 다른 프로그램이 되었다.[14]
2023년 6월 1일 JTBC와 빌리프랩은 《알유넥스트》 촬영에 돌입했다고 밝혔다.[1] 6월 7일 《알유넥스트》 티저 포스터가 공개되고[15] 참가 연습생들과 소통하고 투표할 수 있는 위버스 커뮤니티를 오픈했다.[5] 6월 12일 수지가 부른 《알유넥스트》 주제가 〈전속력으로〉가 공개되었다.[16]
2023년 9월 1일 파이널 생방송을 통해 데뷔 멤버로 결정된 6명이 빌리프랩 소속 걸그룹 아일릿으로 데뷔하게 되었다.[17]
Remove ads
출연자
요약
관점
2023년 6월 15일 소녀시대 수영이 단독 진행자로 확정되었다.[18] 6월 16일과 21일, 27일에 참가 연습생들의 프로필 사진과 영상이 공개되었다.[19][20][21] 6월 22일 심사위원 5명(박규리, 이현, 조권, 김재환, 아이키)이 공개되었다.[22] 6월 30일 첫 방송에서 빈센조와 만두가 심사위원으로 합류했음이 밝혀졌다.[23]
참가 연습생
《알유넥스트》 1회 녹화 직전 하이브 월말평가 순위에 따라 시작할 때부터 연습생들에게 번호가 매겨졌다.[24] 서연과 원희는 신규 연습생이라 월말평가에 참여하지 못해 00번을 받았다.
Remove ads
1라운드 - 트라이아웃
나이 어린 연습생들로 구성된 16,200,000 유닛이 최약체로,[33] 1·2·4등 연습생으로 구성된 MISS TOP 유닛이 최강으로 꼽혔으며 그중에서도 지민은 중간평가 최강 연습생으로 선정되었다.[34] 예원은 코로나 격리 때문에 1라운드 녹화에 참여하지 못해 로우레벨로 분류되고[35] 히메나와 유이사만 심사를 받았다.[36]
Remove ads
2라운드 - 데스매치
요약
관점
연습생들의 표현력을 검증하는 라운드다. 로우레벨 유닛부터 선곡을 시작하며, 같은 곡을 두 유닛이 선택할 수 있다. 1절과 2절은 각각 다른 유닛이, 3절은 두 유닛이 함께 진행한다.
상위 레벨 유닛이 원하는 곡을 선점한 하위 레벨 유닛을 밀어낼 수 있다. 그래서 뉴진스의 〈Attention〉을 선점했던 로우레벨 A유닛이 하이레벨 A유닛에게 밀려나 엔하이픈의 〈Given-Taken〉으로 2라운드 무대를 준비하게 되었다.
경연곡의 킬링파트는 표현력 오디션 평가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연습생이 차지했다. 심사위원 7명이 연습생 1명에게 최대 100점까지 줄 수 있으므로 개인 점수 만점은 700점이 된다. 유닛 멤버의 평균 점수로 유닛 최종 점수를 정하며, 승리한 유닛에 속한 연습생은 베네핏 50점을 받는다.
2라운드 점수에 따라 하이레벨과 미드레벨은 7명, 로우레벨은 8명으로 등급을 나눈다. 로우레벨 연습생은 자동으로 탈락 후보가 되며 최하위 1명은 탈락한다. 혜원은 순위가 가장 많이 올라서 하이레벨로 승격하고 전체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월말평가 1위였던 지민은 14위로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다. 월말평가를 받지 못해 1라운드 순위가 없었던 서연과 원희는 처음으로 순위를 부여받았다.
탈락 연습생
3라운드 - 올라운더
요약
관점
장르 소화 능력을 확인하는 라운드다. 리더를 제외한 나머지 연습생들이 원하는 리더를 선택했고, 정원을 초과한 하이레벨 유닛에서 3명을 방출해 정원 미달인 로우레벨 유닛으로 보냈다. 모든 유닛의 미션곡은 다리 찢기 릴레이에서 우승한 하이레벨 유닛이 결정했다.
심사위원은 모든 연습생에게 최대 100점까지 줄 수 있다. 유닛 연습생들의 총점이 유닛 점수가 된다. 힐코레오 미션과 힙합 미션의 점수를 합산해 최종 점수를 매긴다. 1등 유닛에는 베네핏 100점, 2등 유닛에는 베네핏 50점이 주어진다.
하이레벨 연습생이 가장 많은 혜원유닛이 큰 점수차로 1위를 차지해 베네핏 100점을 받았다. 서연유닛은 힙합 미션에서 7점 차로 예원유닛에게 졌지만, 힐코레오 미션에서 28점 차로 이겼기에 2위가 되어 베네핏 50점을 받았다.
3라운드 점수에 따라 하이레벨과 미드레벨은 6명, 로우레벨은 9명으로 등급을 나눈다. 로우레벨 연습생 중에서 점수가 낮은 3명은 탈락하고 18명만 생존한다. 지현은 2라운드와 3라운드에서 연속으로 등급이 올라 하이레벨 연습생이 되었다. 반대로 루카는 2라운드에 이어 3라운드에서도 등급이 떨어지며 로우레벨 연습생이 되었다.
탈락 연습생
Remove ads
4라운드 - 포지션 장악력
요약
관점
규칙[41][42][43] |
---|
|
연습생들의 보컬·댄스 능력을 평가하는 라운드다. 4라운드 무대가 시작되기 직전에 1차 글로벌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국내점수는 민주, 해외점수는 이로하가 가장 많은 점수를 얻었다.
심사위원 8명[45]이 연습생 1명에게 최대 100점까지 줄 수 있으며(총 800점), 현장 평가단 200 명이 다중 투표 방식으로 연습생마다 투표할 수 있으므로 현장평가 개인 점수 만점은 1000점이다. 같은 팀 연습생 총점이 유닛 점수가 된다. 승리팀 연습생은 베네핏 100점을, 전체 베스트 연습생 1명은 베네핏 50점을 받는다.
4라운드 점수에 따라 하이레벨과 미드레벨은 5명, 로우레벨은 8명으로 등급을 나눈다. 로우레벨 연습생 중에서 점수가 낮은 3명은 탈락하고 15명만 생존한다. 현장평가 점수와 1차 글로벌 투표 점수(500점 만점으로 환산)를 더해 순위를 결정한다.
보컬 포지션 1위는 지우, 댄스 포지션 1위는 영서가 차지했다. 심사위원들이 전체 베스트 연습생으로 선정한 지우가 베네핏 50점을 받았고 처음으로 하이레벨 연습생이 되었다. 윤아는 처음으로 하이레벨 순위에 들지 못하고 미드레벨로 내려갔다. 정은은 두 라운드 연속 등급이 하락해 로우레벨로 내려갔다. 전체 18명 중에서 10명이나 등급이 바뀌었다.
2라운드 1위였던 혜원은 《알유넥스트》에서 처음으로 두 등급이 한꺼번에 하락해 로우레벨로 내려간 연습생이 되었다. 서연은 1점 차이로 간신히 생존했다. 영서는 베네핏을 전혀 받지 못했는데도 4라운드 1위를 차지했다.
탈락 연습생
Remove ads
5라운드 - 콘셉트 이해력
요약
관점
연습생들이 주어진 콘셉트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확인하는지 평가하는 라운드다. 5라운드 무대가 시작되기 직전에 2차 글로벌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국내점수는 1차 투표와 마찬가지로 민주가 가장 많은 점수를 받었다. 해외점수를 가장 많이 얻은 연습생은 지우로 바뀌었다.
심사위원 7명이 연습생 1명에게 최대 100점까지 줄 수 있으며(총 700점), 현장 평가단 200 명이 다중 투표 방식으로 연습생마다 투표할 수 있으므로 현장평가 개인 점수 만점은 900점이다. 같은 팀 연습생 총점이 유닛 점수가 된다. 5라운드 최종 우승팀 전원에게 베네핏 100점을, 블랙미션 총대 연습생 중 최고 점수를 얻은 연습생에게 베네핏 100점을 준다.
그린유닛 | 퍼플유닛 | 레드유닛 | |
컬러미션 | 3483 | 3536 | 3723 |
블랙미션 | 3910 | 3770 | 3925 |
최종점수 | 7393 | 7306 | 7648 |
5라운드 순위 발표식부터는 레벨을 구분하지 않고 개별 순위만 발표한다. 데뷔 순위인 1~6위를 차지한 연습생은 넥스트존(NEXT ZONE)에 올라가고, 나머지 9명 연습생 중 3명이 탈락한다. 컬러미션과 블랙미션에서 모두 승리해 베네핏 200점을 받은 이로하가 1위로 올라섰다.
5라운드까지의 순위 발표식에서 이로하는 계속 3위 안에 들었고, 영서는 5위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다. 윤아와 정은은 2라운드부터 5라운드까지 같은 팀으로 활동하면서 모두 승리해 베네핏을 한 번도 놓치지 않았다. 원희는 5라운드에서 베네핏을 받지 못했지만 두 라운드 연속 순위가 상승해 데뷔권에 진입했다. 3라운드에서 유닛 리더를 맡았던 연습생들은 4라운드(예원)와 5라운드(혜원, 서연)에서 모두 탈락했다.
Remove ads
하프타임
6라운드에 진출한 연습생들이 체육관에 모여 게임을 했다. 1~6위가 오렌지 팀, 7~12위가 그레이 팀으로 편성되었다. 승리팀은 한우 세트와 화장품 세트를 상으로 받는다.
번외 게임
6라운드 - 잠재력
요약
관점
세미파이널이며 신곡 미션과 글로벌 K팝 미션으로 연습생들의 잠재력을 확인하는 라운드다. 신곡 이름에 따라 Scrum(스크럼) 팀과 Pride(프라이드) 팀으로 나뉜다. 신곡 파트 오디션이 끝난 뒤에 〈Pride〉 메인보컬 샤넬과 〈Scrum〉 리드보컬 지우가 심사위원들에게 둘의 파트를 서로 바꿔달라고 요청해서 재심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62][63] 나중에 공개된 글로벌 K팝 미션에서 Scrum 팀이 트와이스의 〈Feel Special〉을, Pride 팀이 아이브의 〈ELEVEN〉을 선택했다.
6라운드 무대가 시작되기 직전에 3차 글로벌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글로벌 투표에서 계속 2위였던 영서가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 민주는 1~3차 투표에서 모두 국내점수 1위를 차지했고, 지우는 2차·3차 투표 연속으로 해외점수를 가장 많이 받았다. 샤넬은 1~3차 투표 해외점수 순위에서 모두 3위 안에 들었고, 3차 투표에서 처음으로 6위 안에 들어왔다.
이로하와 원희는 글로벌 2차·3차 투표에서 연속으로 순위가 하락했고, 이로하는 처음으로 6위 밖으로 밀려났다.
심사위원 8명[65]이 각자 연습생 1명에게 최대 200점까지 줄 수 있으며(총 1600점), 현장 평가로 최대 600점까지 받을 수 있으므로 현장평가 개인 점수 만점은 2200점, 팀 점수 만점은 13200점이다. 같은 팀 연습생 총점이 팀 점수가 된다. 6라운드 승리팀 전원에게 베네핏 200점을, 전체 1등 연습생에게 베네핏 200점을 준다.
승리팀
Scrum 팀 1등 연습생은 모카, Pride 팀 1등 연습생은 히메나가 되었다. 모카는 Scrum 팀이 이기고 전체 1위 연습생이 되어 베네핏 400점을 받았다.
6라운드 순위 발표식에서 모카의 순위가 대폭 상승했다. 모카는 처음으로 상위권에 올라 2위가 되었다. 영서는 베네핏을 받지 못했지만 순위가 올라 3위가 되었다. 모든 경연에서 베네핏을 받은 연습생은 정은이 유일하다. 히메나는 베네핏을 받지 못했지만 심사위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아 파이널 진출에 성공했다.
원희는 베네핏을 받았지만 2점 차이로 데뷔권에서 밀려났다. 샤넬은 심사위원 점수를 가장 적게 받고 탈락했다. 지현은 현장평가 점수를 가장 적게 받았고 두 라운드 연속 순위가 하락해 탈락했다. 샤넬과 지현의 탈락에 반발한 일부 팬들은 Change.org에서 두 사람의 복귀를 요구하는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66][67]
샤넬 팬들의 반발
샤넬은 3차 글로벌 투표에서 6위를 차지했지만 6라운드 〈ELEVEN〉 무대에서 음정이 안 좋았다는 심사평을 받고 11위로 탈락했다. 심사위원들이 샤넬에게 준 점수 1006점은 전체 최하점이었으며 심사위원 점수 10위인 지우(1179점)와 비교해도 현저하게 적은 점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샤넬 팬들은 심사위원들의 평가와 점수에 동의하지 않았다.[68]
샤넬 팬들은 Pride 팀 〈ELEVEN〉 샤넬 파트를 아이브 무대와 비교하는 영상을 올리고 심사위원 평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69][70] 그리고 심사위원들에게 불공정(unfair), 조작(rig), 편애(favoritism), 강탈(robbed) 등의 표현으로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71] 신곡 파트 오디션에서 샤넬과 지우의 파트를 바꾸지 않는다고 선언한 이현이 방탄소년단의 〈봄날〉을 부르는 영상과 〈ELEVEN〉 무대의 샤넬을 비교하는 영상을 올려 샤넬을 심사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72] 그리고 집단적으로《알유넥스트》 SNS를 언팔로우했다.[68] 샤넬 탈락 직후에 《알유넥스트》 틱톡 팔로워 숫자는 32만 2천 명이었으나[73] 파이널 생방송 직전인 9월 1일 오후 8시에는 26만 3900명으로 감소했다.[74]
Remove ads
7라운드 - 스타성
요약
관점
|
9월 1일에 경기도 고양시 일산 JTBC 스튜디오에서 생중계되었고[8] 탈락자를 포함한 22명의 연습생이 모두 출연했다.[75] 8월 25일부터 9월 1일 정오까지 파이널 라이브 1차 투표를 진행했다. 8월 30일 오전 11시에 《알유넥스트》 트위터에서 연습생 5명의 1차 투표 중간 순위가 공개되었다. 중간 순위에서는 1위 영서, 3위 지민, 5위 윤아, 7위 이로하, 9위 원희였다.[76] 9월 1일 오후 4시 45분에 1차 투표 결과 중에서 9위 원희와 10위 히메나만 공개되었다.[77] 9월 1일 정오부터 생방송 시간까지 토스에서 진행된 파이널 라이브 2차 투표에서는 한 사람이 2명에게 투표할 수 있었다.[78]. 파이널 신곡 미션 무대 직전에 1차 투표 결과가 모두 공개되었다.
소녀시대 수영이 신곡 〈Aim High〉 작사에 참여했다.[17] 6라운드와 마찬가지로 생존 연습생 모두가 신곡 파트 오디션을 거쳐 미션곡과 역할이 결정되었다.[79] 파이널 진출 연습생 10명이 함께 수지 〈전속력으로〉 무대를 준비했고, 탈락자를 포함한 22명 연습생 전원이 2라운드 무대 3개를 메들리 형식으로 다시 준비했다. 기존과 달리 심사위원들이 무대별로 점수를 매기지 않았다.
《알유넥스트》에서는 투표로 결정되는 데뷔 멤버는 6명 중 2명뿐이라는 사실을 파이널 생방송이 시작된 뒤에야 공개했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투표 순위에 따라 데뷔 멤버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고, 하이브의 2020년 프로젝트인 《아이랜드》에서도 글로벌 투표로 6명, 프로듀서 선택으로 1명을 뽑아 엔하이픈 멤버를 결정해[80] 《알유넥스트》보다 팬투표가 훨씬 많이 반영되었다. 이 때문에 일부 팬들은 왜 투표를 하라고 했냐며 비판하기도 했다.[81] 파이널 투표에서 비중이 70%나 되는 2차 투표는 한국인만 투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해외 팬들의 반발을 초래했다.[82]
진행자 수영에 의해 데뷔 그룹의 이름 아일릿(I'LL-IT)이 공개되었다. 자주적이고 진취적인 의지(I will)와 특별한 무언가를 의미하는 대명사(It)를 결합해 '무엇이든 될 수 있고, 무엇이 될지 기대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7]
1차·2차 투표를 합산해 1위 원희와 2위 영서가 데뷔했고, 소속사에서 민주, 모카, 이로하, 윤아를 선택했다. 최종 투표에서 4위를 차지한 지민과 6위에 오른 정은은 데뷔하지 못했다.
아일릿으로 데뷔 탈락
전체 최종 결과
- 전체 라운드 순위
데뷔 연습생 1~6라운드 1~6위 탈락
- 7라운드 진출 연습생 순위는 파이널 투표 최종결과를 따름.
- 전체 투표 순위
글로벌 투표 결과는 4라운드부터 공개했기 때문에 2·3라운드에서 탈락한 연습생(유이사, 에나, 하슬, 아이리스)의 점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1차 투표는 4라운드, 2차 투표는 5라운드, 3차 투표는 6라운드 무대를 시작하기 전에 발표되었다.
데뷔 연습생 1~3차 투표 1~6위 탈락
- 베네핏
베네핏이 걸린 모든 라운드에서 승리한 연습생은 정은이고 가장 많은 550점을 받았다. 이로하는 4라운드에서 베네핏을 놓쳤지만 5라운드에서 혼자 200점을 받아서 전체 베네핏 점수는 정은과 같다. 한 번에 가장 많은 베네핏을 받은 연습생은 6라운드에서 400점을 받은 모카다. 예원과 유이사는 베네핏 점수를 전혀 받지 못했다.
- 같은 유닛 편성
가장 많이 같은 팀에 들어간 연습생은 윤아와 정은이다. 둘은 2라운드에서 5라운드까지 연속으로 베네핏을 함께 획득했고 파이널에서도 같은 팀이 되었다. 윤아는 자신과 정은이 필승 조합이라며 둘을 데려가면 무조건 베네핏을 받는다고 말하기도 했다.[83] 영서와 이로하도 같은 유닛으로 5번 활동했다.
- 3회 이상 편성된 경우만 집계
- 7라운드 테마송 미션은 집계에서 제외
Remove ads
영상·사진
요약
관점
TV 미방영 영상
TV 방영분에 포함되지 않고 위버스 《알유넥스트》 커뮤니티와 유튜브 하이브 레이블즈 채널에서 공개된 영상이다. 위버스에서만 볼 수 있었던 '연습 중 쉬는 시간' 시리즈는 8월 28일부터 9월 7일까지 유튜브에서도 모두 공개되었다.
비하인드 포토
Remove ads
《알유넥스트》 음원
Remove ads
시청률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입니다.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동일 소재 프로그램
외부 링크
- JTBC 《알유넥스트》 홈페이지
- 《알유넥스트》 위버스 커뮤니티(2023년 9월 2일 아일릿 커뮤니티로 변경)[86]
- 《알유넥스트》 공식 트위터
- 《알유넥스트》 공식 인스타그램
- 《알유넥스트》 공식 틱톡
- 빌리프랩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