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알칼리 골재 반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알칼리 골재 반응이란 포틀랜드 시멘트와 골재 내의 반응성 실리카 물질이 반응하여 콘크리트 내에 팽창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
골재 내 반응성 실리카 물질과 시멘트 내의 알칼리(산화나트륨(Na2O), 산화칼슘 (K2O))가 반응하여 알칼리 골재 반응이 일어난다. 습하고 더운 환경일수록 알칼리 골재 반응이 촉진된다. 반응성 재료의 양, 종류, 입자 크기, 콘크리트 내 수용성 알칼리 농도, 함수율에도 영향을 받는다.
피해

알칼리 골재반응이 일어나 콘크리트 내에 팽창이 일어나다보면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긴다.
방지
시멘트 내 알칼리 성분을 줄이면 알칼리 골재반응을 줄일 수 있다. 구조물을 건조한 상태로 관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실리카퓸, 천연 포졸란 재료, AE제[1]를 섞음으로써 반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반응성 모래-자갈 골재의 30%정도를 부순 석회석으로 치환하는 것도 알칼리 골재 반응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