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압력반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압력반사
Remove ads

압력반사[1](baroreflex, 압반사) 또는 압력수용기 반사[2](baroreceptor reflex)는 혈압을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신체의 항상성 기전 중 하나이다. 압반사는 혈압 상승으로 인해 심박수가 감소하는 급속한 음성 피드백 고리를 제공한다. 혈압이 감소하면 압반사 활성화가 감소하고 심박수가 증가하여 혈압 수준이 회복된다. 이들의 기능은 동맥벽의 장력 변화에 반응하여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3] 압력 반사는 심장 주기(몇 분의 1초)보다 짧은 시간 내에 작용하기 시작할 수 있으므로 압력 반사 조정은 중력으로 인해 서있을 때 혈압이 감소하는 경향인 자세성 저혈압을 다루는데 있어 핵심 요소이다.

Thumb
압력수용기 반사를 보여주는 흐름도

이 시스템은 주로 대동맥활(aortic arch)과 경동맥동(carotid sinus)에 있는 압력수용기(baroreceptor)로 알려진 전문화된 뉴런에 의존하여 혈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숨뇌로 전달한다. 압력수용체는 신장 수용체이며 압력에 의해 유발되는 혈관의 신장에 반응한다. 압반사에 의해 유발된 혈압 변화는 자율신경계의 두 가지, 즉 부교감 신경교감 신경에 의해 매개된다. 압수용체는 정상 혈압에서도 활동하므로 이들의 활동은 혈압의 증가와 감소에 대해 뇌에 알려준다.

신체에는 혈압을 조절하는 두 가지 느리게 작용하는 시스템이 있다. 즉, 혈압이 너무 높을 때 심장은 심방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를 방출하고, 신장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저혈압을 감지하고 교정한다.[4]

Remove ads

해부학

활성화

설정점과 긴장 활성화

심박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압력반사 활성화 요법

고혈압

심장기능상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