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디 애틀랜틱

워싱턴 D.C.에 기반을 둔 잡지 및 다중 플랫폼 출판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디 애틀랜틱
Remove ads

디 애틀랜틱(The Atlantic)은 워싱턴 D.C.에 본사를 둔 미국의 잡지이자 멀티 플랫폼 퍼블리셔로, 정치·외교, 경제·비즈니스, 문화·예술, 과학·기술 등 폭넓은 분야를 다룬다.

간략 정보 《디 애틀랜틱 The Atlantic》, 국가 ...

이 잡지는 1857년 보스턴에서 문예·문화 잡지 The Atlantic Monthly로 창간되었으며, 교육과 노예제 폐지 같은 동시대의 핵심 정치 의제를 다루는 필진의 글을 게재했다. 창립에는 모세스 드레서 필립스와 프랜시스 H. 언더우드, 그리고 랠프 월도 에머슨, 올리버 웬델 홈스 시니어,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해리엇 비처 스토, 존 그린리프 휘티어 같은 저명한 작가들이 참여했다.[1][2] 초대 편집장은 제임스 러셀 로웰이었다.[3] 19~20세기에는 연감 The Atlantic Monthly 연감(Almanac)도 발행했다.[4]

잡지는 2005년에 본사를 워싱턴 D.C.로 이전했다.[5]

Remove ads

발행 주기와 최근 동향

잡지는 2001년에 연 11회로 전환했고, 2003년부터 2024년까지 연 10회 발행했다. 2004년 1/2월호부터 표지에서 Monthly를 뗐고 2007년에 공식 명칭을 The Atlantic으로 변경했다.[6] 2024년에는 2025년부터 월간 발행을 재개하겠다고 발표했다.[7][8]

2016년에는 미국잡지편집인협회(ASME) ‘올해의 잡지’에 선정되었다.[9] 2022년 필자들이 특집 기사 부문 퓰리처상을 받았고, 2022·2023·2024년에 ASME 종합우수상을 수상했다. 2024년에는 유료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고 흑자 전환이 보도되었다.[7]

문학·사상의 역사

디 애틀랜틱은 다수의 중요한 작품과 작가를 최초 혹은 결정적으로 소개했다. 1862년 2월에는 줄리아 워드 하우의 〈전장의 찬가〉를, 1866년에는 노예해방 서사 〈The Freedman's Story〉(윌리엄 파커)를 실었다. 1869년에는 찰스 W. 엘리엇의 〈새 교육〉을 게재해 하버드대 총장 임명으로 이어졌고, 찰스 체스넛의 단편들도 초기 게재되었다. 2005년에는 픽션 부문 내셔널 매거진 어워드를 수상했다.[10]

1927년에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피프티 그랜드〉를, 1963년에는 민권운동 절정기에 마틴 루서 킹 주니어의 〈버밍햄 감옥에서 보낸 편지〉를 “The Negro Is Your Brother”라는 헤드라인과 함께 게재했다.[11][12]

1945년 바네바 부시의 에세이 〈As We May Think〉는 더글러스 엥겔바트와 테드 넬슨에게 영감을 주어 워크스테이션과 하이퍼텍스트의 발전에 기여했다.[13]

1917년에는 ‘Atlantic Monthly Press’를 설립해 오랫동안 리틀, 브라운 앤드 컴퍼니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1986년 매각 이후 현재는 그로브 애틀랜틱의 임프린트로 남아 있다.[14]

21세기 들어 장문 저널리즘과 정책·인터뷰 커버스토리로 영향력을 확대했다. 대표적으로 앤마리 슬로터의 〈왜 여성들은 아직도 모두를 가질 수 없는가〉(2012), 터너하시 코츠의 〈배상 요구의 정당성〉(2014), 2015년 제프리 골드버그의 〈오바마 독트린〉 등이 있다.[15][16]

2023년 8월, 제프리 골드버그는 PBS 시사 프로그램 〈워싱턴 위크〉의 10대 진행자로 선정되었고, 프로그램명은 〈Washington Week with The Atlantic〉로 변경되었다.[17][18][19]

Remove ads

디지털·브랜드 확장

2005년 디 애틀랜틱과 애스펀 연구소는 10일간의 행사 ‘애스펀 아이디어스 페스티벌’을 공동 출범시켰다.[20]

2008년 1월 22일, TheAtlantic.com은 구독자 장벽을 내려 과거 아카이브를 포함한 무료 열람을 허용했다.[21]

2009년에는 뉴스·의견 큐레이션 사이트 ‘‘The Atlantic Wire’’를 출범시켰고, 2013년 ‘‘The Wire’’로 리브랜딩했다가 2014년에 본체로 흡수했다.[22][23][24]

2011년 비디오 채널을 시작했고, 이후 ‘Atlantic Studios’라는 인하우스 제작 스튜디오로 발전했다.[25][26]

2011년에는 도시 전문 사이트 ‘‘CityLab’’을 분리 출시했고, 2014년 ‘‘CityLab.com’’으로 리브랜딩했다. 2019년 12월 이 사이트는 블룸버그 미디어에 매각되었고 이듬해 재출범했다.[27][28][29]

2015년 과학 섹션을 신설했고, 2016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 섹션을 확대·개편했다.[30][31]

2019년 9월에는 디지털 구독 모델(월 5건 무료)을 도입했다.[32][33]

2020년에는 장편 다큐멘터리 〈화이트 노이즈〉(극우 운동을 다룬 작품)를 공개했다.[34]

정치적 관점·논설

1860년 당시 편집장 제임스 러셀 로웰은 공화당 후보 에이브러햄 링컨을 지지하고 노예제 폐지를 지지했다.[35] 1964년에는 사설을 통해 민주당의 린던 B. 존슨을 지지했다.[36]

2016년 대선에서는 역사상 세 번째로 공식 입장을 내고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지지를 호소했다.[37] 2019년 3월호 커버에서는 요니 아펠바움의 글로 트럼프 대통령 탄핵을 촉구했다.[38]

2020년 9월에는 여러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가 전사자들을 ‘루저’라고 불렀다는 보도를 냈고,[39] 같은 해 대선에서는 민주당 조 바이든 지지를 밝혔다.[40] 2024년 초에는 ‘‘If Trump Wins’’라는 특집(24편)을 통해 트럼프의 재집권 시나리오를 경고했고,[41] 2024년 10월에는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를 지지했다.[42]

Remove ads

평가·정정·법적 논란

2006년 ‘‘시카고 트리뷴’’은 디 애틀랜틱을 ‘영어권 상위 10대 잡지’로 선정하며 “150년 된 정기간행물의 거장”이라고 평했다.[43]

2013년 1월 14일, 웹사이트에 사이언톨로지 지도자 데이비드 미스캐비지를 홍보하는 ‘스폰서 콘텐츠’를 게재했다가 강한 비판을 받았고, 같은 날 글을 삭제하고 사과문을 냈다.[44][45]

2019년에는 영화감독 브라이언 싱어 관련 고발 보도를 통해 큰 파장을 일으켰다. 해당 기사는 원래 다른 매체에서 진행되다 디 애틀랜틱에 실렸다.[46]

2018년 1/2월호 몰리 볼의 기사와 관련해 일본에서 제기된 명예훼손 소송은 2024년 1월 조정으로 마무리되었고, 잡지는 복수의 정정·수정·삭제를 단행했다.[47][48][49]

2020년 11월 1일, 디 애틀랜틱은 프리랜서 루스 샬릿 배럿의 틈새 스포츠 기사에 대해 신뢰성을 보증할 수 없다며 전면 철회했다. 2022년 1월 배럿은 잡지를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50][51]

2024년 2월 디 애틀랜틱은 기고가 야샤 몽크와 성폭력 의혹 제기 이후 관계를 종료했다(몽크는 전면 부인).[52]

2025년 3월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안보 고위 관계자들이 예멘 후티 무장세력에 대한 군사공격 계획을 조율하는 단체 문자 대화에 편집장 제프리 골드버그를 실수로 포함시킨 사건이 보도되었다.[53]

Remove ads

소유와 경영

창간 3년 차에는 보스턴의 출판사 티크너 앤드 필즈가 발행했으며, 이후 허턴 미플린의 일부가 되었다. 1908년 편집장 엘러리 세지윅이 잡지를 인수해 보스턴에 남았다. 1980년 부동산 재벌이자 보스턴 프로퍼티즈 창업자인 모티머 주커먼이 잡지를 인수했고, 1999년 9월 27일 데이비드 G. 브래들리(내셔널 저널 그룹 소유주)에게 넘어갔다. 2005년에는 편집국을 워싱턴 D.C.로 이전했다.[54]

2006년 브래들리는 제임스 베닛을 편집장으로, 제프리 골드버그와 앤드루 설리번을 주요 필진으로 영입했다.[55] 2016년 10월 골드버그가 편집장에 임명되었고,[56] 2017년 7월 로런 파월 잡스의 에머슨 컬렉티브가 지분 다수를 인수했다.[57][58] 2019년 5월 아드리엔 라프란스가 디지털 총괄에서 승진해 편집국장에, 2020년 12월 니컬러스 톰프슨이 CEO에 선임되었다.[59] 2022년에는 본사를 워싱턴 D.C. 사우스웨스트 워터프런트의 더 워프(The Wharf)로 옮겼다.

편집인 목록

  • 제임스 러셀 로웰(1857–1861)
  • 제임스 T. 필즈(1861–1871)
  • 윌리엄 딘 하월스(1871–1881)
  • 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1881–1890)
  • 호러스 스커더(1890–1898)
  • 월터 하인스 페이지(1898–1899)
  • 블리스 페리(1899–1909)
  • 엘러리 세지윅(1909–1938)
  • 에드워드 A. 윅스(1938–1966)
  • 로버트 매닝(1966–1980)
  • 윌리엄 휘트워스(1980–1999)
  • 마이클 켈리(1999–2003)
  • 컬런 머피(2003–2006, 직무대행)
  • 제임스 베닛(2006–2016)
  • 제프리 골드버그(2016–현재)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