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앰버 연대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앰버 연대기는 미국의 과학 소설 작가 로저 젤라즈니가 1970년부터 발표한 일련의 판타지 시리즈이다.
개요
《앰버 연대기》(The Chronicles of Amber)는 로저 젤라즈니의 판타지 시리즈로, 두 개의 장편 시리즈와 여러 개의 단편을 포함한다. 특유의 현학적이고 화려한 문체 뿐만 아니라 흥미로운 심리 게임과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복잡한 플롯, 치밀한 인물 조형과 타로카드와 패턴으로 대표되는 강렬한 상징성 등 젤라즈니의 역량이 모두 집중된 작품으로, 평론과 대중 양쪽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의 장르 구분은 항상 논란거리였다. 진세계(眞世界)에 해당하는 불멸의 도시 앰버Amber가 존재하며 지구를 포함한 병행 세계는 모두 앰버의 불완전한 반영-그림자Shadow에 지나지 않는다는 설정은 플라톤의 이데아에서 직접 영감을 얻은 것처럼 보인다. 이는 명백히 과학 소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법이지만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결과는 환상적인 피카레스크 풍의 모험담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독자는 이 작품을 판타지소설로 간주한다. 그러나 걸출한 과학 소설의 목록을 작성할 때 <앰버 연대기>의 이름이 빠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Remove ads
시리즈
클래식 앰버 시리즈라고 불리는 첫 번째 5부작은 1970년부터 1978년까지 2, 3년에 한 권 꼴로 출간되었다. 속편에 해당하는 신(新) 앰버 5부작은 1985년에 첫 편이 간행되고 1991년에 끝을 맺었지만 미완성에 가까운 엔딩으로 많은 독자들의 아쉬움을 샀다. 이 두 시리즈와 단편들을 합친 합본은 1999년에 The Great Book of Amber라는 이름의 합본으로 출간되었다.
앰버 연대기 (예문판) / 김상훈 옮김
앰버의 왕족 코윈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첫 번째 장편 시리즈이다. 대한민국에는 김상훈의 번역으로 1999년에 도서출판 예문에서 처음 출간되었으며, 2010년에는 최용준으로 번역자가 바뀌어 사람과책 출판사에서 다시 출간되었다.
- 1. 앰버의 아홉 왕자(1970)
- 2. 아발론의 총(1972)
- 3. 유니콘의 상징(1975)
- 4. 오베론의 손(1976)
- 5. 혼돈의 궁정(1978)
앰버 연대기 (사람과책판) / 최용준 옮김
- 1. 앰버의 아홉 왕자(1970)
- 2. 아발론의 총(1972)
- 3. 유니콘의 의미 (1975)
- 4. 오베론의 손(1976)
- 5. 혼돈의 궁정(1978)
新 앰버 연대기(국내 미번역)
코윈의 아들, 프로그래머이자 마법사인 멀린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두 번째 장편 시리즈이다.
- 6. Trumps of Doom(1985)
- 7. Blood of Amber(1986)
- 8. Sign of Chaos(1987)
- 9. Knight of Shadows(1989)
- 10. Prince of Chaos(1991)
단편들
- "The Salesman's Tale" (1994)
- "The Shroudling and the Guisel" (1994)
- "Blue Horse, Dancing Mountains" (1995)
- "Coming to a Cord" (1995)
- "Hall of Mirrors" (1996)
- "A Secret of Amber" (Ed Greenwood 공저, 2005)
Remove ads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