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야고보의 편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가 디아스포라에게 쓴 편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야고보의 편지
Remove ads

야고보의 편지(공동번역 개정판, 영어: Epistle of James), 야고보서(개역한글판, 개역개정판, 표준새번역), 야고보의 서간(천주교주교회의에서 펴낸 성경)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혹은 예수의 형제 야고보)가 디아스포라(해외거주 유대인)에게 쓴 편지[1]이다.

저자

이 편지의 구조, 형식, 연대, 저자에 대해선 아직 적절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2] 현재 학계에서 받아들여지는 이론을 총 네 가지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3]

  1. 야고보에 의해 바울로 서신 이전에 쓰였다.
  2. 야고보에 의해 바울로 서신 이후에 쓰였다.
  3. 가명으로 쓰여져 야고보가 실제로 서술한 편지가 아니다.
  4. 야고보의 편지를 기반으로 다른 사람이 저술한 것이다.[4]

가명 가설

Thumb
야고보의 편지의 첫 번째 장을 담고 있는 319번 소문자사본.

이 편지 자체를 가명 하에 쓰인 위경으로 간주하는 시각이 존재하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5]

  • 저자가 자신을 단지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으로 소개하고 예수와의 혈연관계를 언급하지 않는다.
  • 교양있는 헬라어와 논쟁투로 쓰여져 예루살렘 유대인의 관점으로 쓰여졌다고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일부 학자들은 야고보가 쓴 원 편지를 다른 사람이 정리하며 저술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6]
  • 처음부터 신약 정경으로 받아들여진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받아들여졌다.
  • 본 편지와 베드로의 첫째 편지, 클레멘스의 첫째 편지, 헤르마스의 목자에 존재하는 병행구절들이 1세기 후기와 2세기 전반부에 기독교인들이 처한 사회 경제적 상황을 반영한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이 병행구는 시기에 쓰여진 헬라어권 기독교도들의 저술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떤 학자들은 본문이 시리아의 기독교도 공동체에서 쓰여졌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
Remove ads

기록 연대

85년에서 90년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7], 저자는 믿음을 강조하는 파울로스 신학이 신앙과 도덕의 실천을 소홀히 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믿음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8] 그리고 야고보서 4장 14절의 인간의 삶을 정의한 서신 중 하나이다.

성서학자 중에는 야고보서 1장 27절[9]을 근거로 교회가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반대로 강자중심의 공동체로 변질된 문제를 개혁하기 위해 야고보가 야고보의 편지를 썼을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10]

내용

전체 내용

  • 1장 : 인사, 믿음과 시련과 지혜, 가난한 이와 부자, 시련과 유혹, 말씀을 듣고 실천하는 일, 운명론적 신앙의 거절, 창조주의 신성
  • 2장 : 차별 대우, 믿음과 실천, 잘못된 믿음의 경고(야고보서 2장 19절)
  • 3장 : 말조심, 하늘에서 오는 지혜, 진리에 대한 정의
  • 4장 : 세상의 친구는 하느님의 적, 형제를 심판하지 마라, 자만하지 마라, 마귀에 대한 대처, 인간의 삶에 대한 정의
  • 5장 : 부자들에 대한 경고, 인내와 기도

주요 내용

  • 1장:디아스포라들에 대한 문안인사(1~4절), 지혜, 기도, 두 마음(5~8절), 두 마음과 부(9~11절), 세상종말에 대한 언급, 욕심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14-15절), 하느님 말씀의 권위와 실천신앙의 유익함(21절에서 25절)
  • 2장:가난한 교우들이 교회에서 멸시받는 문제에 대한 경고(1절-10절), 실천이 없는 믿음의 허구성과 잘못된 믿음에 대한 경고(14절-26절)
  • 3장:말을 주의해서 해야 함[11](1절-12절), 시기와 파당심은 세속적이고 육욕적이고 악마적인 것이므로 멀리해야 함(14절-16절), 정의와 평화의 실천(18절)
  • 4장:욕심과 세속적인 신앙에 대한 경고와 마귀에 대한 대처(1절-8절),다른 교우를 판단하는 교만함에 대한 경고(10절-12절) 인간에 대한 삶(14~15절), 주의 뜻을 물으며 인생계획세우기(13절-17절)
  • 5장:교회에서 가난한 교우들이 차별받는 문제와 지주들이 일당제 노동자를 착취하는 문제에 대한 경고(1절-6절), 인내의 중요성(10절-11절), 고난받는 교우들과 환자 교우들에 대한 격려(13-15절), 의인이 드리는 기도의 능력(16절-20절)

종교 개혁기

마르틴 루터는 자신의 신학적 의견에 배치되는 야고보 서간을 "지푸라기"에 비유하며 비난하였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