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약수리 고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약수리 고분(藥水里古墳)은 남포시 강서구역 약수리에 있는 5세기경의 고구려 벽화고분이다. 1958년에 발굴되었다.
구조
정사각형에 가까운 널방과 같은 모양이지만, 크기가 약간 작은 앞방으로 이루어졌고, 널방 남벽 약간 동쪽에 몰려 두 방을 연결하는 통로가 만들어져 있다. 앞방 동서 두 벽에는 바닥에서 50cm 정도 되는 높이에 사방 1m, 깊이 1m 정도의 벽감이 하나씩 있으며, 앞방 남벽에는 약간 동쪽으로 널길이 통하여 있다. 널방의 천장은 네 벽이 안으로 기울어져 올라가다가 2단의 모줄임쌓기를 하고 맨 위에 뚜껑돌을 덮은 것으로, 덕흥리 벽화고분과 산연화총 등의 천장구조와 같다.
벽화
벽화는 앞방 동벽에는 부엌·방앗간·행렬도, 서벽에는 사냥모습·외양간(말)·측근자들, 남벽에는 외양간(소)·행렬도·문지기, 널방에는 방 네 귀에 기둥을 그리고 두공·창방까지 나타낸 다음, 북벽에는 묘주 내외와 현무, 동·서·남벽에는 각각 청룡·백호·주작을, 천장에는 해·달·별·구름을 그렸다. 그러나 널길과 앞방의 두 벽감에는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다. 묘주 내외의 그림이 앞방에서 널방으로 옮겨지고 사신도가 확대되어 중기양식으로 가까워지고 있으나, 묘주 내외는 아직 전기의 정좌형식이고 사신도도 낡고 보잘 것 없으며, 묘실형식이 옛 양식인 점으로 미루어, 전기의 말기에 해당하는 고분으로 추정된다.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