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어순재배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어순재배치(영어: Scrambling)는 의미의 표면적 변화 없이 다른 여러 어순을 사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통사적 현상을 말한다. 대신, 표준 위치에 따른 단어의 재배열은 담화(discourse)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영향을 준다(예: 대화에 대한 정보의 "새로움"). 영어에서는 어순재배치 현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한국어, 일본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독일어 등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에서는 빈번히 발생한다.[1] "scrambling"이라는 단어는 1967년 존 R. 로스가 자신의 박사논문에서 처음 고안하였으며 오늘날 연구, 특히 생성언어학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1]

분석

요약
관점

담화

Thumb
그림1: 범주 미표시 구 구조(bare phrase structure)에서 담화구 투사 (선택적 특성 없음)

어순재배치는 문장의 의미론적 해석(semantic interpretation) 흔한 말로는 "의미(meaning)"를 바꾸지는 않지만, 그것의 어순재배치에 근거한 배열은 담화(discourse)와 관련하여 특정 맥락에서 주어질 것이다. 이는 대화를 맥락에 맞추는 기본 정보이며, 담화를 추가하면 "오래된"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참고하여 이용할 것이다.[2] 통사론에서는 화제구(topic phase, TopP)와 초점구(focus phase, FocP)를 통하여 구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3] 화제는 담화에 대하여 사전에 구축된 맥락인 반면, 초점은 "새로운" 혹은 강조하는 정보를 말한다.

나무구조 (이동 접근)

이런 추가적인 구 범주는 절구(clausal phrase, CP)와 한때 활용구(previously referred to as inflection phrase, IP)라고 한 시제구(tense phrase, TP) 사이에서 발생한다. 화제구와 초점구 모두 어순재배치된 XP(구)를 수용할 수 있는 지정어(specifier) 자리가 비어 있다. 담화구 범주를 사용하면, "절구"로 기록될 것은 평서문(declarative)이나 의문문(interrogative)과 같은 절의 유형(clausal type)을 정할 강세구(ForceP)가 된다.

그림1 속의 'XP'처럼 비어버린 지정어 자리는 구가 이동해 갈 착륙지점(landing site)을 제공한다. 이런 지점은 구가 논항 이동(논항이 주어 자리로 이동하여 문장을 배치하는 현상) 방식 하에 구가 어순재배치되는 곳으로, 이는 어순재배치된 단어는 절-최초 자리(clause-initial position)로 이동해 간다는 이론을 주장한다.(Theories: Base-generated vs. Movement 참조) 이러한 이동은 구조적 제약인 'EPP' 즉 확대투사원리에 의해 추동된다고 주장되어 왔는데, 이는 구의 범주를 지정어로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1] 주어자리(subject position)로의 'DP 이동(DP movement)'에서 보이는 EPP:D 특성과 달리, 그것은 wh 이동과 화제화(topicalization)에서의 EPP와 유사하게 기능하는데, 여기에서는 언어가 종종 한정사구(determiner phrase, 'DP') 혹은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 'PP')라고도 하는 '화제' 자리와 '초점' 자리로 이동해 가는 것을 승인하는 구 범주를 위해 선택한다.

격 지시

어순재배치는 개체(entity)가 동사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추적하는데 도움을 주는 격 지시자(case marker), 한국어로는 '격조사'가 개방적이며 형태학적으로도 풍부한 언어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4] 예를 들어, 한국어의 '이, 가'와 일본어의 'が'는 주격조사로, 실체가 동사의 주어라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한국어의 '을, 를'과 일본어의 'を'는 대격조사 혹은 목적격조사로, 실체가 동사의 목적어라는 것을 지시한다. 이를 통하여 영어로 "Mary eats cake"에 해당하는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였을 때 '메리'와 '케이크'의 자리를 바꿔 '케이크 메리 먹는다'라고 하여도, 주격조사와 대격조사를 통하여 그 의미를 알 수 있는 것이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