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어아찌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어아찌안
Remove ads

굴전 또는 어아찌안(민난어 백화자: ô-á-chian, 한자: 蚵仔煎, 병음: ézǐjiān 어쯔젠[*])은 참굴녹말달걀을 넣어 오믈렛 형태로 부쳐 만드는 음식으로, 민난(閩南) 지방, 즉 푸젠성차오산(潮汕) 지역에서 유래한 음식이다. 특유의 짭조름하고 고소한 맛으로 유명하며, 민난 지역과 차오산 지역뿐 아니라 타이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도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널리 퍼져,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간략 정보 종류, 원산지 ...

지역별 변형

대만에서 굴전은 스린 야시장을 비롯하여 야시장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국민음식으로 뜨거운 팬에 굴과 계란을 풀고, 쑥갓, 시금치, 바질 등 채소를 넣고 볶다가, 고구마 또는 타피오카 전분을 묽은 반죽(물풀) 형태로 부어 걸쭉하게 농도를 맞춘다. 풍미를 내기 위해 돼지기름을 사용한다. 간장, 케첩, 칠리소스, 두반장 등을 섞은 소스나 매운맛을 위해 라임즙을 섞은 칠리소스를 굴전 위에 뿌려 먹는다. 굴 대신에 바지락, 새우, 게살 등을 사용하거나, 굴 없이 계란과 채소만으로 만드는 변형도 존재하며, 굴 대신 새우를 넣어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새우전(蝦仁煎)'이라 부른다.[1][2]

푸저우(福州) 지역에서는 리빙(蛎餅)이라고 부르며 전통 길거리 음식으로 먹는다. 쌀과 콩가루를 갈아 만든 반죽에 굴, 돼지고기, 채소(셀러리/양배추), 김, 무채 등을 넣어 튀겨낸다. 주로 황금색의 바삭한 원형의 전병 모양이며, 기름이 잘 빠지도록 가운데가 뚫린 모양으로 만들기도 한다. 한편, 민난 지역에서는 둥근 틀에 대파와 당근채를 깔고 굴과 밀가루를 얹어 튀겨내는 방식도 있다.

차오산(潮汕) 및 홍콩 지역에서는 닭알 대신에 오리알을 사용하고, 전분과 굴을 넣고 부친다. 바삭하고 고소한 식감을 중시해서 밀가루를 사용하여 튀기듯이 조리하여 '바삭바삭(卜卜脆)'한 식감을 낸다. 피시소스 혹은 칠리소스를 곁들여 먹는다.[3]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