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언니네이발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언니네이발관은 대한민국의 모던 록 밴드이다. 대한민국에 모던 록 장르를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보급한 밴드로서 '대한민국 모던 록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1]
역사
요약
관점
결성
1994년, PC 통신 하이텔의 '메탈동'의 회원이었던 이석원은 당시 국내 팝 음악의 중심인 메탈 음악 이외의 새로운 음악을 들어보고자 하는 염원으로 동호회 내 소모임인 '모소모(모던 락 소모임)'을 만든다. 당시 모임의 멤버로는 류기덕(당시 메탈동 시삽), 김민규(現 델리 스파이스 멤버), 윤준호(現 델리 스파이스 멤버), 류한길, 윤병주(前 노이즈가든, 現 로다운 30 리더), 정대욱(現 줄리아 하트, 가을방학, 바비빌 멤버) 등이다. 음악감상회를 여는 등 모던 록에 대한 관심을 키워가던 중 KBS FM 「전영혁의 음악세계」란 라디오 심야 프로그램에 나가, 모던 록 장르의 음악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자신을 그 당시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던 '언니네이발관'이란 밴드의 리더라고 소개한다.
'언니네이발관'이라는 이름은 이석원이 고등학교 시절 비디오가게에서 빌려봤던 일본 성인영화의 제목이었다.[2] 그 후 '모소모'에 밴드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들게 되었고 정식으로 밴드를 결성하게 된다. 최초 결성 당시 멤버는 보컬 겸 기타의 이석원, 리드기타의 당시 중학교 3학년 학생이었던 정대욱(現 줄리아 하트, 가을방학, 바비빌 리더), 키보드의 류한길(現 전자음악가 데이트리퍼), 베이스의 류기덕(現 게임회사 위메이드 개발본부장), 드럼의 유철상(前 아소토 유니온, 現 윈디시티 리더)이다.[3]
데뷔 앨범
1995년, 언니네이발관은 카피곡 위주의 홍대 클럽에서 공연의 전곡을 자작곡으로 채운 최초의 밴드로 이름을 날렸고, 그 여세를 몰아 데모앨범 《비둘기는 하늘의 쥐》을 발표한다.
1996년. 메이저 기획사의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11월에 1세대 인디레이블인 「석기시대」에서 정규 데뷔 앨범 《비둘기는 하늘의 쥐》을 발매한다. 앨범 마스터링을 런던의 유서깊은 메트로폴리스 스튜디오 에 가서 할 만큼 밴드는 앨범 작업에 정성을 들였고, 발매되자마자 숱한 화제속에 매스컴의 주목을 받았으며 판매고도 호조를 보였다. 평론가들은 대한민국 최초의 기타팝 앨범으로 평가하면서 이 앨범을 올해의 앨범 10선 중 하나로 선정했다.(한겨레신문)[3]
2집 발매와 위기
1997년, 기타의 정대욱이 대학입시를 준비하느라 밴드활동을 잠시 쉬었고, 드럼의 유철상은 흑인음악을 하겠다고 밴드를 탈퇴하였다. 베이스의 류기덕마저도 애초의 전업 뮤지션의 길을 생각하지 않은터라 밴드를 탈퇴한 후 대학교 전공을 살려 게임회사에 입사한다. 리더인 이석원도 잡지사를 차려 무가지를 발행하는 등 음악과 상관없는 일을 하면서 지낸다.
1998년, 사실상 이석원 혼자인 언니네이발관에 기타의 정대욱이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다시 밴드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헤비메탈 밴드 노이즈가든의 멤버였던 이상문과 김태윤을 각각 베이스와 드럼으로 영입함으로써 언니네이발관은 밴드의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약 1년 간의 준비 끝에 12월에 2집 《후일담》을 발매하였으나, 평단의 부정적인 반응과 함께 대중의 관심을 얻는데도 실패하고 말았다.
1999년, 그들은 약 3개월의 짧은 2집 앨범 활동을 중단하고 잠정적인 휴지기에 들어간다. 2집 활동을 끝으로 정대욱, 이상문, 김태윤이 탈퇴하고 이석원은 회사원이 되었다.[3]
활동 재개 그리고 3,4집

2001년, 1집과 2집 앨범이 재조명 받기 시작하면서 3집 앨범에 대한 제의가 들어왔고, 이에 탄력을 받아 베이스 정무진, 드럼 전대정, 기타 이능룡을 차례대로 새로이 영입하면서 새 앨범을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간다.
2002년 11월 발매된 3집 앨범 《꿈의 팝송》이 인디 역사상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면서, 12월에는 연세대학교 100주년 기념관에서 팀 결성 이래 최초의 콘서트를 가졌다.
2003년, 이석원의 정신적 지주이자 언니네이발관의 두 번째 앨범 《후일담》에서 베이스 기타를 맡았던 이상문이 8월에 지병으로 숨을 거두었다.
2004년, 친구의 죽음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도 음악 작업을 꾸준히 하여 7월에 네 번째 앨범 《순간을 믿어요》를 발표한다. 이전 활동과는 달리 각종 방송출연을 많이하여 타이틀 곡 '순간을 믿어요'는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앨범의 마지막 곡인 〈천국의 나날들〉은 故 이상문을 기리는 노래이다. 12월에는 베이스의 정무진이 언니네이발관을 탈퇴하였고, 그 후 세렝게티의 리더인 유정균이 객원 베이스 멤버로 영입되었다.
5집《가장 보통의 존재》
2006년, 리더 이석원이 인사동에 밴드 이름을 딴 카페를 차렸고, 드럼 전대정도 개인사업에 몰두하는 동안 기타 이능룡이 이에 반발하여 밴드를 탈퇴하고 중단했던 학업에 복귀하여 언니네이발관은 잠정 휴식기간에 들어갔다. 그러던 어느 날, 이석원에게 《가장 보통의 존재》의 모티브가 되는 어떤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 일을 계기로 셋은 다시 뭉쳐 앨범 작업에 돌입한다.
2007년,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스타일과 강도로 시작된 음악 작업에 밴드는 회사에게 어떠한 일이 있어도 원하는 상태가 나올때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청했고, 그 어느 때보다 힘들었던 곡쓰기의 여정은 예정된 최초의 발매일을 훔쩍 넘기고, 12월 14, 15일 양일간 벌어진 발매기념 콘서트날이 되도록 끝나지 않았다.
2008년, 드디어 기나긴 앨범 작업을 마치고, 8월 언니네이발관의 다섯 번째 앨범 《가장 보통의 존재》를 발매한다.
《가장 보통의 존재》는 발매되기 전부터 인터넷 음반 쇼핑몰 예약 순위 1위에 오를 만큼 팬들의 기대치가 높았으며 초도 물량 5000장을 발매하자마자 매진시켰다. 그리고 꾸준한 스터디셀러로써 2011년까지 약 7만여장의 판매고를 올렸다.[4] 앨범의 특징으로는 수록된 모든 곡이 하나의 테마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을 정도로 앨범의 완성도가 높아서 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음반, 최우수 모던 록 앨범, 최우수 모던 록 노래 부문 3관왕을 차지하였다.[5]
6집 《홀로 있는 사람들》, 그리고 해체
2010년부터 작업에 들어갔으나, 오랜 연기 끝에 2015년 6월 1일 6집 《서울의 달》, 2015년 9월 9일 7집 《너의 몸을 흔들어, 너의 몸을 움직여》로 내놓기로 발표했다. 2015년 12월 17일 싱글 《혼자 추는 춤》을 발매했고, 2년간의 작업 끝에 2017년 6월 1일 6집 《홀로 있는 사람들》을 발매했다.
발매 이전부터 다음 앨범이 마지막 정규 앨범이 될거라는 이석원의 예고가 있었으며, 앨범 발매 후 2개월 뒤인 8월 2일 공식 홈페이지에 해체 선언문이 올라오면서 해체했다.
이제 저는 음악을 그만 두고 더 이상 뮤지션으로 살아가지 않으려 합니다. 23년동안 음악을 했던 기억이 모두 다 즐겁고 행복했었다고는 말하지 못해도 여러분에 대한 고마운 기억만은 잊지 않고 간직하겠습니다. 훗날 언젠가 세월이 정말 오래 흘러서 내가 더 이상 이 일이 고통으로 여겨지지도 않고 사람들에게 또 나 자신에게 죄를 짓는 기분으로 임하지 않아도 되는 날이 온다면 그때 다시 찾아 뵐게요. - 이석원의 공식 해체문 중.[6]
Remove ads
구성원
- 객원 구성원
음반 목록
정규 앨범
- 1집 - 《비둘기는 하늘의 쥐》, 1996년
- 이석원(보컬/기타), 정대욱(리드 기타), 류기덕(베이스), 유철상(드럼)
- 2007년 경향신문 및 가슴네트워크 선정 '대중음반 100대 명반' 34위[7]
- 2011년 한겨레신문 및 100BEAT 선정 '1990년대 베스트 앨범 100' 14위[8]
- 2집 - 《후일담》, 1998년
- 이석원(보컬/기타), 정대욱(리드 기타), 故 이상문(베이스), 김태윤(드럼/퍼커션)
- 2007년 경향신문 및 가슴네트워크 선정 '대중음반 100대 명반' 68위[9]
- 2011년 한겨레신문 및 100BEAT 선정 '1990년대 베스트 앨범 100' 10위[10]
- 3집 - 《꿈의 팝송》, 2002년
- 이석원(보컬/기타), 이능룡(리드 기타), 정무진(베이스/프로그래밍), 전대정(드럼), 객원 멤버 : 데이트리퍼(공동 작·편곡/프로그래밍)
- 4집 - 《순간을 믿어요》, 2004년
- 이석원(보컬/기타), 이능룡(리드 기타), 정무진(베이스/프로그래밍), 전대정(드럼), 객원 멤버 : 폐인(건반)
- 5집 - 《가장 보통의 존재》, 2008년
- 6집 - 《홀로 있는 사람들》, 2017년
콘서트 목록
요약
관점
국내 음악 페스티벌 및 타 뮤지션과의 합동 공연 등을 제외한 언니네이발관 단독 유료공연 목록이다. (2011년 5월 30일 "안녕 쌤" 무료공연은 포함)
Remove ads
수상
참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