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없앨 수 있는 특이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복소해석학에서, 정칙함수의 없앨 수 있는 특이점이란 그 점에서 함수가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결과적으로 함수가 그 점의 근방에서 정칙이 되도록 정의될 수 있는 점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규화되지 않은) 싱크함수
는 z = 0을 특이점으로 갖는다. 이 특이점은 의 z가 0으로 갈 때의 극한인, 으로 정의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결과로 얻은 함수는 정칙함수이다. 이 경우 문제는 가 부정형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초래되었다.. 해당 특이점 주변에서 에 대한 거듭제곱 전개를 취하면
형식적으로, 만일 가 복소평면 의 열린 부분집합이고, 가 의 점이며, 가 정칙함수일 때, 에서 와 일치하는 정칙함수 가 있으면, 를 없앨 수 있는 특이점이라 한다. 이때, 그러한 가 존재하면, 는 위에 정칙적으로 확장 가능하다고 한다.
Remove ads
리만의 정리
요약
관점
없앨 수 있는 특이점에 대한 리만의 정리는 다음과 같다.
정리. 가 복소평면의 열린 부분집합이고, 가 의 점이며 가 집합 에서 정의된 정칙함수라 하자. 그러면 다음은 동치이다:
1 ⇒ 2 ⇒ 3 ⇒ 4의 함의는 자명하다. 4 ⇒ 1를 증명하기 위해, 에서의 정칙성이 에서 해석적인 것과 동치임을 상기하자(증명), 즉 거듭제곱급수 표현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음을 정의하자.
분명히, h는 D -{a}에서 정칙이고, (4)에 의해 다음이 존재한다.
따라서 h는 D에서 정칙이고 a에 대한 테일러 급수 표현을 갖는다.
c0 = h(a) = 0이고 c1 = h'(a) = 0이므로
따라서, z ≠ a일 때, 다음을 얻는다.
그런데,
는 D에서 정칙이므로, f의 확장이다.
Remove ads
다른 종류의 특이점
요약
관점
실변수 함수와 달리, 정칙함수는 충분히 그들의 특이점을 완전히 분류할 수 있을만큼 굳다. 정칙함수의 특이점은 실제로는 전혀 특이점이 아닌, 즉 없앨 수 있는 특이점이거나, 다음의 두 종류 중 하나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해석적 용량
- 없앨 수 있는 불연속점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