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에티오피아 황제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에티오피아의 역대 황제 목록이다.
역대 황제
자세한 정보 재위 기간, 초명 ...
| 재위 기간 | 초명 | 왕명 | 비고 |
|---|---|---|---|
| 자그웨 왕조 | |||
| 마라 타클라 하마노트 | |||
| 타타딤 | |||
| 잔 세윰 | |||
| 제르마 세윰 | |||
| 예르메하나 크레스토스 | |||
| 케두스 하르베 | |||
| 게브라 마스칼 라리베라 | |||
| 나쿠에토 라브 | |||
| 예트바라크 | |||
| 마이라리 | |||
| 하르바이 | |||
| 솔로몬 왕조 | |||
| 1270년~1285년 | 예쿠노 암라크 | 타스파 이야수스 | |
| 1285년~1294년 | 야그베우 세욘 | 살로몬 1세 | |
| 1294년~1295년 | 센파 아레드 4세 | ||
| 1295년~1296년 | 헤즈바 아스가드 | ||
| 1296년~1297년 | 케드마 아스가드 | ||
| 1297년~1298년 | 진 아스가드 | ||
| 1298년~1299년 | 사바 아스가드 | ||
| 1299년~1314년 | 웨뎀 아라드 | ||
| 1314년~1344년 | 암다 세욘 1세 | 가브라 마스칼 1세 | |
| 1344년~1372년 | 네와야 크레스토스 | 사이파 아레드 | |
| 1372년~1382년 | 네와야 마르얌 | '웨뎀 아스파레' 또는 '겜마 아스파레' | |
| 1382년~1413년 | 다위트 1세 | ||
| 1413년~1414년 | 테워드로스 1세 | 왈다 암바사 | 약 9개월간 재위 |
| 1414년~1429년 | 예샤크 1세 | 가브라 마스칼 2세 | |
| 1429년~1430년 | 안드레야스 | 약 4~6개월간 재위 | |
| 1430년~1433년 | 타클라 마르얌 | 헤즈바 난 | |
| 1433년 | 사르예 이야수스 | 메흐레카 난 | |
| 1433년~1434년 | 암다 이야수스 | 바델 난 | 약 8개월간 재위 |
| 1434년~1468년 | 자라 야콥 | 쿠에스탄티노스 1세 | |
| 1468년~1478년 | 바에다 마르얌 1세 | ||
| 1478년~1494년 | 에스켄데르 | 케스탄티노스 1세 | |
| 1494년 | 암다 세욘 2세 | 약 2개월간 재위 | |
| 1494년~1508년 | 나오드 | ||
| 1508년~1540년 | 다위트 2세 | 레브나 뎅겔 | |
| 1540년 9월 3일~1559년 3월 23일 | 겔라우데워스 | 아스나프 사가드 1세 | |
| 1559년~1563년 | 메나스 | 아드마스 사가드 1세 | |
| 1563년~1597년 | 사르사 뎅겔 | 마라크 사가드 1세 | |
| 1597년~1603년 | 야쿱 | 마라크 사가드 2세 | |
| 1603년~1604년 | 자 뎅겔 | 아스나프 사가드 2세 | |
| 1604년~1606년 | 야쿱 1세 | 마라크 사가드 2세 | 복위 |
| 1606년~1632년 | 수세니요스 | 마라크 사가드 3세 | 1608년 3월 18일에 즉위식 거행 |
| 1632년~1667년 | 파실리데스 | 아람 사가드 | |
| 1667년~1682년 | 요하니스 1세 | 아이라크 사가드 | |
| 1682년 7월 19일~1706년 10월 13일 | 이야수 1세 | 아디얌 사가드 2세 | |
| 1706년 3월 27일~1708년 6월 30일 | 테크레 하이마노트 1세 | 레알 사가드 | |
| 1708년 7월 1일~1711년 10월 14일 | 테워프로스 | 왈다 암바사 | |
| 1711년 10월 14일~1716년 2월 19일 | 요스토스 | 사하이 사가드 | 그는 솔로몬 왕가 출신이 아니다. 테워프로스 황제를 폐위시키고 나서 황제가 되었다. |
| 1716년 2월 8일~1721년 5월 18일 | 다위트 3세 | 아다바르 사가드 | |
| 1721년 5월 18일~1730년 | 바카파 | '아스마 사가드' 또는 '마시 바가드' | |
| 1730년 9월 19일~1755년 6월 26일 | 이야수 2세 | 알렘 사가드 | |
| 공주들의 시대 | |||
| 1755년 6월 26일~1769년 5월 7일 | 이오아스 | 아드얌 사가드 | |
| 1769년 5월 7일~10월 18일 | 요하니스 2세 | ||
| 1769년 10월 18일~1770년 6월 | 테클레 하이마노트 2세 | 아드마스 사가드 3세 | |
| 1770년 6월~12월 | 수세니요스 2세 | ||
| 1769년 10월 18일~1777년 4월 13일 | 테크레 하이마노트 2세 | 아드마스 사가드 3세 | 복위 |
| 1777년 4월 13일~1779년 7월 20일 | 살로몬 2세 | ||
| 1779년 7월 20일~1784년 2월 8일 | 테크레 기오르지스 1세 | ||
| 1784년 2월 16일~1788년 4월 24일 | 이야수 3세 | ||
| 1788년 4월 24일~1789년 7월 26일 | 테크레 기오르지스 1세 | 복위 | |
| 1789년 7월 26일~1794년 1월 | 헤즈케야스 | ||
| 1794년 1월~1795년 4월 15일 | 테크레 기오르지스 1세 | 복위 | |
| 1795년 4월 15일~12월 | 바에다 마르얌 2세 | ||
| 1795년 12월~1796년 5월 20일 | 테크레 기오르지스 1세 | 복위 | |
| 1796년 5월 20일~1797년 7월 15일 | 살로몬 3세 | ||
| 1797년 8월 18일~1798년 1월 4일 | 요나스 | ||
| 1798년 1월 4일~1799년 5월 20일 | 테크레 기오르지스 1세 | 복위 | |
| 1799년 5월 20일~1799년 7월 15일 | 살로몬 3세 | 복위 | |
| 1799년, 7월 25일~1800년 3월 24일 | 데메트로스 | ||
| 1800년 3월 24일 - 6월 | 테클레 기오르지스 1세 | 복위 | |
| 1800년 6월~1801년 6월 | 데메트로스 | 복위 | |
| 1801년 6월~1818년 6월 3일 | 에그왈레 세욘 | ||
| 1918년 6월 19일~1821년 6월 3일 | 이요아스 2세 | ||
| 1821년 6월 3일~1826년 4월 | 기자르 | ||
| 1826년 4월 | 바에다 마르얌 3세 | ||
| 1826년 4월~1830년 6월 18일 | 기자르 | 복위 | |
| 1830년 6월 18일~1832년 3월 18일 | 이야수 4세 | ||
| 1832년 3월 18일~1832년 | 개브레 크레스토스 | ||
| 1832년 | 하일레 뎅겔 | ||
| 1832년~1832년 6월 8일 | 게브레 크레스토스 | 복위 | |
| 1832년 10월~1840년 8월 29일 | 하일레 뎅겔 | 복위 | |
| 1840년 8월 30일~1841년 1월 | 요하니스 3세 | ||
| 1841년 8월 30일~1845년 | 하일레 뎅겔 | 복위 | |
| 1845년 | 요하네스 3세 | 복위 | |
| 1845년~1850년 | 하일레 뎅겔 | 복위 | |
| 1850년~1851년 | 요하네스 3세 | 복위 | |
| 1851년~1855년 2월 11일 | 하일레 뎅겔 | 복위 | |
| 테워드로스 왕조 | |||
| 1855년 2월 9일~1868년 4월 13일 | 카세 하이루 | 테워드로스 2세 | 대관식은 1855년 2월 11일에 있었다. |
| 자그웨 왕조 | |||
| 1868년 6월 11일~1871년 7월 11일 | 와그슈 고베제 | 테크레 기오르지스 2세 | |
| 티그레 왕조 | |||
| 1871년 7월 11일~1889년 3월 10일 | 카사 메르차 | 요하니스 4세 | 대관식은 1872년 1월 12일에 있었다. 그는 1889년에 있었던 메테마 전투에서 전사했다. |
| 솔로몬 왕조 | |||
| 1889년 3월 10일~1913년 12월 12일 | 하일레 마르얌 | 메넬리크 2세 | 쇼아의 마지막 왕이자 에티오피아 근대화의 선구자. 대관식은 1889년 11월 3일에 있었다. |
| 1913년 12월 12일~1916년 9월 27일 | 리즈 키프레 야쿱 | 이야수 5세 | 그는 대관식을 치르지 않았다. 왜냐하면 에티오피아 국민들이 신앙으로 믿고 있는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배교하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는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국민들의 원성을 많이 샀다. |
| 1916년 9월 27일~1930년 4월 2일 | 아스카라 마르얌 | 자우디투 | 여제 |
| 1930년 4월 2일~1936년 5월 2일 | 타파리 마코넨 | 하일레 셀라시에 1세 | 대관식은 1930년 11월 2일에 거행되었음. |
| 사보이아 왕조 | |||
| 1936년 5월 9일~1941년 5월 5일 | 사보이아 왕가 출신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알바니아 국왕 겸임. |
| 솔로몬 왕조 | |||
| 1941년 5월 5일 to 1974년 9월 12일 | 타파리 마코넨 | 하일레 셀라시에 1세 | 1941년 복위. 1974년 멩기스투에 의한 군사 쿠데타로 폐위, 이듬해 암살됨. |
| 1974년 9월 12일 to 1975년 3월 21일 | 암하 셀라시에 | 군부정권에 의해 에티오피아의 왕으로 선언됨, 1975년 3월 21일 데르그에 의한 제정 폐지 |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