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LG CN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LG CNS(한국어: 엘지씨엔에스)는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IT 컨설팅, 구축, 운영 등의 IT시스템 통합 서비스와 클라우드, AI(Generative AI), 스마트물류, 스마트팩토리, 보안, 스마트시티 등의 DX(Digital Transformation)서비스를 제공하는 LG그룹 계열사의 DX전문기업이다.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역사

1987년 1월 14일에 럭키금성그룹과 미국의 IT서비스 회사인 EDS가 50:50으로 합작해서 합작법인 STM (System Technology Management)으로 설립되었다.

2019년 LG는 LG CNS의 지분 35%를 맥쿼리 그룹에 1조 19억원에 매각했다.[1] 이 매각은 한국 재벌들이 아웃소싱 계약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자회사 및 계열사에 업무를 지시함으로써 창업주 일가에 편익을 제공한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이루어졌다.[2][3] 맥쿼리는 LG가 2025년 4월까지 LG CNS를 상장한다는 조건으로 LG CNS의 지분을 인수했다. 그 결과, LG CNS는 2025년 2월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였다.[4][5]

주요 사업 및 서비스

2025년 1분기 기준 LG씨엔에스와 연결종속회사의 주력 사업은 IT서비스로, 클라우드&AI, 스마트 엔지니어링, Digital Business Service(SI/SM)로 구분된다.[6]

클라우드&AI: 컨설팅부터 클라우드 전환/구축,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pplication Modernization)까지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AI 비즈니스 적용 확대, 글로벌 빅테크와의 파트너십, 데이터센터-인프라-클라우드-AI 연계 역량이 특징이다.

스마트 엔지니어링: 제조, 물류, 도시(시티) 영역에서 DX(Digital Transformation), AI, 빅데이터, IoT 등 신기술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로봇 기반 Physical AI 서비스를 추진한다.

Digital Business Service (SI/SM): 금융, 공공, 통신 등 다양한 산업의 정보화 시스템 구축(SI), 운영·유지관리(SM) 및 IT전략 수립,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판매, 융합 SI 프로젝트를 제공한다.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1조 2,1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0억원 증가하였다.

클라우드&AI 7,173억원(59%),스마트 엔지니어링 2,063억원(17%), Digital Business Service(SI/SM) 2,877억원(24%) 비중이다.[6]

주요 매출처는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 등 LG그룹 계열사 비중이 높다.

Remove ads

연구개발 및 기술 혁신

2025년 1분기 연구개발비는 121억원(매출액 대비 1.0%)이다. 정보기술연구소, AI선행기술연구소 등에서 생성형 AI, Agentic AI, 초거대 AI 모델 경량화, 5G 특화망, 로보틱스, 엔터프라이즈 SW, Web3,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연구를 수행한다.[6]

경영 현황 및 성과

2025년 2월 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임직원은 10,040명이다. 특허권 383건(국내 239건/해외 144건), 상표권 47건(국내 21/해외 26)을 보유하고 있다. 2025년 1분기 기준 자본금은 520억 4천만원(발행주식 96,885,948주)이다.[6]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