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여우원숭이하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여우원숭이하목(Lemuriformes)은 곡비원아목에 속하는 영장류 하목 분류군의 하나이다. 마다가스카르섬의 여우원숭이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갈라고원숭이와 로리스원숭이를 포함하고 있다. 로리스상과를 별도의 로리스하목(Lorisiforme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a]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는 입 앞 쪽의 아랫 부분에 특별한 빗 형태의 치아 구조를 갖고 있으며 주로 털 손질을 하면서 빗질을 하는 식으로 이빨을 사용한다.[4]
Remove ads
진화사
요약
관점
여우원숭이하목 원숭이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미국 고생물학자 필립 깅거리치(Philip Gingerich)는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를 아다피스류의 앞쪽 아랫니와 현존하는 여우원숭이 하목 원숭이의 빗 형태 앞니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유럽 아다피스류의 몇 개 생물학 속으로부터 진화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런 관점은 전이형태의 명확한 화석이 없기 때문에 강력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5] 대신에 북아프리카로부터 넘어 온 아시아 세르카몬아과(Cercamoniinae) 또는 시발라다피스류(sivaladapids)의 아주 초기 지점에서 갈라진 것일 수 있다.[6][7]
여우원숭이하목 계통 발생[8][9] | ||||||||||||||||||||||||||||||||||||
| ||||||||||||||||||||||||||||||||||||
1997년과 2005년 사이 이집트 엘 파이윰(El Fayum) 유적에서 4천만년 전의 세 종류(Karanisia, Saharagalago, Wadilemur) 로리스류 화석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여우원숭이하목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화석은 케냐와 우간다의 미오세 초기(~20 mya)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 새로운 발견은 아프로-아라비아 에오세 중기 동안에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가 존재했으며 여우원숭이하목 계통과 모든 다른 곡비원류 분류군이 그 이전에 분기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0][11][12] 튀니지에서 발견된 드제베여우원숭이속(Djebelemur) 화석은 에오세 중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세르카몬아과 화석의 일종으로 간주되어 왔지만[13] 여우원숭이하목의 줄기일 수도 있다.[6] 대략 같은 시기 화석으로 추정되는 알제리에서 발견된 알지비우스류(Azibiids)는 드제베여우원숭이류(Djebelemurids)의 자매군일 수 있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에우세 후기 플레시오피테쿠스속(‘’Plesiopithecus’’) 화석과 함께 이 세 화석은 아프리카에서 온 여우원숭이하목 영장류 자격을 얻을 수 있다.[7]
분자 시계 추산치는 여우원숭이류와 로리스류가 약 6200만년 전 팔레오세 동안에 아프리카에서 분기되었음을 보여 준다. 4700만 년 전과 5400만 년 전 사이에 여우원숭이는 뗏목 이동을 통해 마다가스카르 섬에 확산되었다.[11] 고립된 상태로 여우원숭이는 다양성이 풍부해졌고 그 생태적 지위는 오늘날의 원숭이와 유인원으로 종종 채워졌다.[14] 아프리카에서는 에오세 기간, 약 4000만 년 전에 로리스원숭이와 갈라고원숭이가 서로 분기되었다.[11] 마다가스카르의 여우원숭이와 달리 로리스와 갈라고는 원숭이와 유인원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류와도 경쟁해야 했다.[15]
Remove ads
분류학상의 분류
대부분의 학술 문헌은 영장류 분류학의 기본 틀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몇 가지 잠재적 분류 체계를 포함한다.[16]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계통 발생에 동의하지만[17] 대다수가 거의 모든 수준의 영장류 분류를 동의하고 있지는 않다.[16]
주해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