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여진의 지도자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여진의 지도자 목록이다.
요나라 때의 여진 군장 (926년 ~ 1115년)
숙여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생여진
금나라 황제 (1115년 ~ 1234년)
원나라 때의 여진 군장 (1234년 ~ 1368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명나라 때의 여진 군장 (1368년 ~ 1644년)
요약
관점
건주여진
혼하 유역에 살았다. ‘아이만(ᠠᡳ᠌ᠮᠠᠨ aiman)’은 한자 부(部)와 같은 접미사이다.
오돌리 아이만
- 먼터무(ᠮᡝᠨᡨᡝᠮᡠ Mentemu; 한국 한자: 孟特穆 맹특목, 1405년 ~ 1433년)
- 충샨(ᠴᡠᠩᡧᠠᠨ Cungšan; 한국 한자: 充善 충선, 1433년 ~ 1467년)
- 판차(ᡶᠠᠨᠴᠠ Fanca; 한국 한자: 凡察 범찰, 1458년)
- 톨로(ᡨ᠋ᠣᠯᠣ tolo; 한국 한자: 脫羅 탈라, 1467년 ~ 1481년)
- 시버오치피양구(ᠰᡳᠪᡝᡠ᠋ᠴᡳ
ᡶᡳᠶᠠᠩᡤᡡ sibeoci fiyanggū; 한국 한자: 錫寶齊篇古 석보제편고, 1481년 ~ 1522년) - 푸만(ᡶᡠᠮᠠᠨ Fuman; 한국 한자: 福滿 복만, 1522년 - 1542년)
- 기오창가(ᡤᡳᡠ᠋ᠴᠠᠩᡤᠠ giocangga; 한국 한자: 覺昌安 교창안, 1542년 ~ 1571년)
- 탁시(ᡨ᠋ᠠᡴ᠋ᠰᡳ Taksi; 한국 한자: 塔克世 탑극세, 1571년 ~ 1583년)
- 누르하치(ᠨᡠᡵᡥᠠᠴᡳ Nurgaci, 한국 한자: 努爾哈赤 노이합적, 1583년 ~ 1616년): 이후 후금으로 넘어감
훨이가이 아이만
투오웬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마올리안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우지거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숙수후 아이만
후너허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왕야 아이만
- 순자친 구왕운(ᠸᠠᠩ ᡤᠠᠣ Sunjacin Guwanggun; 한국 한자: 孫扎七光滾 손칠칠 광곤)
동고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주천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너연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주셔리 아이만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해서여진
훌룬 구룬(ᡥᡡᠯᡠᠨ
ᡤᡠᡵᡠᠨᡳ Hūlun gurun)이라 자칭했다. 쑹화강(송화강) 유역에 살았다.
여허
장춘 남쪽 예허 강 유역에 살았다.
- 싱건다르한(ᠰᡳᠩᡤᡝᠨ
ᡩᠠᡵᡥᠠᠨ Singgen Darhan; 한국 한자: 성근달이한 星根達爾漢) - 시르커 밍가투(ᠰᡳᡵᡴᡝ
ᠮᡳᠩᡤᡨᠣ Sirke Minggatu; 한국 한자: 席爾克明噶圖 석아극명갈도) - 치르가니(ᠴᡳᡵᡤᠠᠨᡳ Cirgani; 한국 한자: 齊爾噶尼 제이갈니)
- 추쿵거(ᠴᡠᡴᡠᠩᡤᡝ Cukungge; 한국 한자: 祝孔格 축공격)
- 타이추(ᡨ᠋᠊ᠠᡳᠴᡠ Taicu; 한국 한자: 太杵 태저)
- 양기누(ᠶᠠᠩᡤᡳᠨᡠ Yangginu; 한국 한자: 楊吉砮 양길노, ? ~ 1584년)
- 칭기야누(ᠴᡳᠩᡤᡳᠶᠠᠨᡠ Cinggiyanu; 한국 한자: 淸佳砮 청가노, ? ~ 1584년)
- 나림불루(ᠨᠠᡵᡳᠮᠪᡠᠯᡠ Narimbulu; 한국 한자: 納林布錄 납림포록, 1584년 ~ 1613년)
- 긴타이시(ᡤᡳᠨ᠋ᡨ᠋ᠠᡳᠰᡳ Gintaisi; 한국 한자: 金台吉 금태길, 1613년 ~ 1619년)
하다
해서여진 중 가장 남쪽에 살았다.
울라
하얼빈 북쪽 훌란 강 유역에 살았다.
호이파
야인여진
시전
- 니탕개
- 우을기내
노토
- 노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