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역대병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역대병요》(歷代兵要)는, 조선 초기 정인지, 유효통, 이석형 등이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평을 집성한 병서이다. 전 13권 13책.
한국의 전쟁사를 따로 정리한 《동국병감》(東國兵鑑)을 비롯하여 세조(世祖)의 《병장설》 등과 함께 전사와 전쟁 일반론에 대한 인식을 전해 준다.
개요
조선 초기에는 한국의 지세에 맞는 전술을 개발하고 역대의 전쟁사를 정리하여 각종 병서(兵書)가 편찬되었다. 태조 때 정도전은 앞선 시기의 병서를 참고한 《진법》(陣法)를 편찬하였으며, 문종(文宗) 때에는 김종서(金宗瑞)의 주도하에 고조선(古朝鮮)에서 고려(高麗) 말에 이르는 전쟁사를 정리하여 《동국병감》이 편찬되었다. 《역대병요》는 고대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기간의 주요 전투를 전략적인 측면에서 정리한 저술이었다.
《역대병요》는 단종(端宗) 1년(1453년)에 완성되었으나, 처음 《역대병요》가 편찬된 것은 세종 32년(1450년)으로, 세종은 정인지 등에게 명하여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들의 평을 집성하도록 하고, 몸소 '역대병요'라는 이름을 붙였다.
문종 1년(1451년) 어명에 따라 김구(金龜), 김말, 김담, 서거정 외 6인 등이 원전을 확인하고 발음에 대한 주를 보완하고, 수양대군이 주관하여 단종 1년(1453년)에 완성하였다. 이때 수양대군은 단종에게 청하여 편집에 공로가 많은 신하들에게 가자(加資)하게 하였다고 한다. 참여 집현전 학사로는 김담, 권람, 정인지, 하위지, 김증 등이 알려져 있다.
세조 2년(1456년) 내용이 번다하다는 이유로 원본을 간략히 줄엿무신들에게 교육할 것을 명하였는데, 그해에 이석형이 전라도관찰사로 있으면서 도사 조매(趙枚) 및 광주목사 송휴명(宋休明)과 함께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세조 7년(1461년) 세조가 다시 이석형 등에게 수교를 명하였다는 기록이나, 조선 중기 선조 연간에도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후로도 계속해서 중요하게 읽혀진 듯하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식년 무과 복시에서 사서오경 가운데 하나, 무경칠서 가운데 하나, 《통감》, 《병요》, 《소학》, 《장감박의》, 무경(武經) 가운데 하나, 《경국대전》 등 총 4책에 대하여 강서 시험을 봐야 하였다. 다만 경국대전을 제외하고는 책을 선택하는 것은 응시자의 자원에 따르되, 일종의 오픈북인 임문고강(臨文考講)을 하였다.
Remove ads
구성
중국의 전설적인 임금인 황제 헌원씨가 치우와 벌였다는 탁록 전투에서 시작하여 조선의 태조 이성계의 전적까지를 수록하였다.
권3에는 백등산 포위전을 비롯한 중국 한(漢) 왕조 초기의 전적을, 권4에는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전적부터 제갈량과 조위의 싸움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권5에서는 제갈량의 싸움부터 남북조 시대 초기까지의 싸움을 수록하였다. 권6은 낙질이다. 권7에는 양 무제부터 당(唐) 왕조 초기에 이르는 전적을, 권8에는 당 초기에서 고종의 돌궐 경략에 이르는 기사를, 권9에는 당의 안사의 난 등을 수록하였으며, 권10에는 당 왕조 말기의 기사를, 권11에는 당말오대의 혼란기에서 송 태조의 전적에 이르기까지와 거란의 고려 침공 등을 수록하였다. 권12는 낙질이다.
권13에는 몽골족의 원(元) 왕조(대원 울루스)의 성립과 남송(南宋)의 멸망 과정에서 있었던 전투들과, 원 왕조의 일본 원정 기도에 이르기까지의 중국에서 벌어졌던 전적들이 정리되어 있으며, 이어 고려가 거란을 격파한 내용, 이성계의 홍건적 토벌 등을 수록한 뒤에 다시 명(明) 왕조가 원 왕조를 정벌한 기사가 실려 있다. 그 뒤에 다시 이성계가 왜구, 나하추, 여진족 등의 외적을 물리친 기사 11편이 실려 있다. 대개 병략의 요점이 되는 기사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며, 간간이 후대 인물들의 논평을 싣기도 하였다.
말미에는 간행을 지휘한 이석형, 조매, 송휴명과, 감교를 맡은 조호지, 교정을 맡았던 인물들의 관직과 이름을 수록하고, 각수 등 24명의 이름을 실었으며, 간기(刊記)를 밝혔다.
Remove ads
참고 문헌
- 심승구 집필 〈병요〉, 원창애 외 6인 지음 《조선 시대 과거 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년, pp.99~100쪽
![]() |
이 글은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