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목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에서는 역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목록을 나열한다.
2003년~2005년
2003 KTF EVER
2003 네오위즈 피망
2004 SKY 프로리그 1라운드
- 리그기간 : 2004년 4월 17일 ~ 2004년 7월 17일
- 특이사항
- 2004년 당시 최대규모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 예선전이 없이 모든 팀들이 참여.
- 최초로 광안리에서 결승 진행(이후 프로리그의 여름시즌은 광안리(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결승 진행)
- 광안리 결승전 입장 관객 추산 수: 약 10만명
- 경기방식
- 11개팀이 풀리그를 치러 1,2위 팀이 결승직행
- 프로리그 일정을 맞추기 위해 비방송경기 (방송에 나가지 않는 경기. 단, 현장을 찾으면 관람가능한 경기) 도입
- 1라운드 최하위팀 2라운드 탈락
- 우승: 한빛 스타즈 (4 : 3), 준우승: SK텔레콤 T1, 3위: SG패밀리, 4위: 슈마 GO
- 결승전 MVP : 김선기, 나도현
2004 SKY 프로리그 2라운드
2004 SKY 프로리그 3라운드
2004 SKY 프로리그 그랜드파이널
Remove ads
2005년~2007년
2005 SKY 프로리그 전기리그
2005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2005 SKY 프로리그 그랜드파이널
2006 SKY 프로리그 전기리그

- 특이사항
- SK Telecom T1 오버 트리플 크라운 달성 (2005 전기리그, 후기리그, 그랜드 파이널, 2006 전기리그)
- 양 방송사 동일 경기 동시생중계 전면 시행, 팀플레이 1경기로 축소(3경기마다 한번 팀플레이 진행)[7전4선승제에선 2경기]
- 온게임넷 전 프로게이머 출신 김정민 해설 영입
- KTF 매직엔스가 5월 8일 팬택 EX를 상대로 최초로 프로리그 50승 달성
- 광안리 결승전 입장 관객 추산 수: 약 4만명
- 우승: SK텔레콤 T1 (4 : 1), 준우승: MBC게임 히어로, 3위: CJ 엔투스, 4위: KTF 매직엔스
- 결승전 MVP: 고인규
2006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2006 SKY 프로리그 통합챔피언전
Remove ads
2007년 ~ 2008년 상반기
2007 신한은행 프로리그 전기리그

2007 신한은행 프로리그 후기리그
- 특이사항
- 전기리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 시즌.
- 팬택 EX가 모기업의 부도로 위메이드에 인수되며 위메이드 FOX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여 합류했다.
- 공군이 서울로 숙소를 이전하여 보다 원활한 환경에서 프로리그에 참여하게 됐다.
- 프로리그 공식맵을 담당하는 MMAT(가칭)에서 7월초 신규 맵제작자를 모집하여 김응서(Earthattack), 우상희(Str18-02)씨가 선정되었으며 각각 Blue Storm과 Katrina가 후기리그 공식맵으로 채택되는 기쁨을 안았다.
- 공식맵으로는 사상 최초로 2중 미네랄 배치의 특징을 가진 맵(백마고지)과 5인용 맵(황산벌)이 등장했다.
- 우승: 르까프 OZ (4 : 2), 준우승: CJ 엔투스, 3위: MBC게임 히어로, 4위: 온게임넷 스파키즈
2007 신한은행 프로리그 통합챔피언전
2008 신한은행 프로리그
- 특이사항
-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를 통합
- 온게임넷이 주훈 전 SK Telecon T1 감독을 해설로 영입
- 팀플레이 공식맵 역사상 최초로 블리자드 맵 사용(헌터스)
- 공식맵 역사상 최초로 미네랄 2겹 맵 사용(한니발)
- 프로리그의 상징이던 파란색별이 프로리그 로고에서 쇠퇴함
- 개막전 : (온게임넷)SK Telecom T1 vs KTF MagicNs (MBC게임)MBCgame Hero vs Lecaf OZ
- 프로리그 역사상 최초로 정규시즌 지방투어 실시 (2008년 6월 21일)
- SK Telecom T1 vs STX SouL (MBC게임 중계,광주 염주체육관)
- 팀플레이가 도입된 마지막 시즌
- 광안리 결승전 입장 관객 추산 수: 약 3만명
- 역대 프로리그 결승 축하공연 인원 중 최다인원(소녀시대 (9명))
- [결승전: 2008년 8월 9일 - 삼성전자 칸 VS 온게임넷 스파키즈]
- 우승: 삼성전자 칸 (4 : 1), 준우승: 온게임넷 스파키즈, 3위: SK텔레콤 T1, 4위: STX SouL
2008년 하반기 ~ 2011년 상반기
2008-2009 신한은행 프로리그
- 특이사항
- 연간 5라운드제 단일리그 도입
- 로고가 다시 변경됨
- 3라운드(위너스리그)는 7전 4선승제 팀리그 방식 도입(승자연전방식)
- 3라운드 성적으로만 별도 4강 플레이오프로 라운드 우승 팀 결정
- 엔트리 예고제 그대로 유지(단, 3라운드는 선봉 선수만 공개)
- 종족 별 의무출전규정 신설 (단 3라운드는 제외)
- 팀플전의 쇠퇴
- 로스터 인원 12명으로 축소
- 플레이오프 6강체제 첫 시도
- 한빛 스타즈가 웅진그룹에 인수되어 '웅진 스타즈'로 재 창단
- 과거의 공식맵인 네오 레퀴엠, 레이드 어설트 2 재사용(레이드 어설트 2는 29일 경기부터 러시아워3로 교체)
- 4라운드에 사용한 맵인 배틀로얄을 종족밸런스 붕괴(저그 VS 저그)로 5라운드부터는 황혼의 그림자로 교체
- 광안리 결승전 1차전 입장 관객 추산 수:: 약 5천명 (사상 최저)
- 광안리 결승전 2차전 입장 관객 추산 수:: 약 4만명
- 위너스리그 우승: CJ 엔투스 (4 : 3), 준우승: 화승 OZ, 3위: KTF 매직엔스, 4위: SK텔레콤 T1]
- 통합우승:SK텔레콤 T1 1차전:(4 : 0) 2차전:(4 : 3), 준우승:화승 OZ, 3위: CJ 엔투스, 4위: 삼성전자 칸, 5위: STX SouL, 6위: 하이트 스파키즈
- 결승전 MVP: 정명훈
2009-2010 신한은행 프로리그
- 특이사항
- 개막일 :2009년 10월 10일
- 개막전: 온게임넷: SKT T1 vs 웅진스타즈, MBC게임: KT 롤스터 vs 이스트로
- 위너스리그 개막일 :2010년 1월 24일
- 위너스리그 개막전: 온게임넷: 이스트로 vs CJ 엔투스, MBC게임: 공군 ACE vs 웅진 스타즈
- MBC게임 해설위원이던 강민 해설위원이 온게임넷 해설로 이적으로 인한 중계진 변경
- 포스트시즌 방식 일부 변경
- 위너스리그 우승: KT 롤스터, 준우승: MBC게임 히어로, 3위: 웅진 스타즈, 4위: STX SouL]
- 통합우승:KT 롤스터 (4 : 2), 준우승:SK텔레콤 T1, 3위: STX SouL, 4위: 위메이드 FOX, 5위: MBC게임 히어로, 6위: CJ 엔투스
- 결승전 MVP: 이영호
2010-2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 특이사항
- 개막일 :2010년 10월 16일
- 개막전: 온게임넷: KT Rolster vs SKT T1, MBC게임: 공군 ACE vs 웅진 스타즈
- 위너스리그 개막일 :2011년 1월 8일
- 위너스리그 개막전: 온게임넷: KT Rolster vs SKT T1, MBC게임: CJ 엔투스 vs 위메이드 폭스
- 기존 5라운드 단일리그방식에서 6라운드 단일리그 방식으로 변경
- 기존 위너스리그 3라운드 단일라운드에서 3,4라운드로 라운드수 확대
- 위너스리그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KT 롤스터, 3위: 화승 OZ, 4위: CJ 엔투스]
- 통합우승:KT 롤스터 (4 : 3), 준우승:SK텔레콤 T1, 3위: CJ 엔투스, 4위: 웅진 스타즈, 5위: 삼성전자 칸, 6위: STX SouL
- 결승전 MVP: 이영호
Remove ads
2011년 하반기~2012년 하반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
Remove ads
2012년 하반기~2016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Remove ads
역대 결승전 결과
- 2012년 5월부터 스타크래프트 II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17번 째 시즌 때는 스타크래프트와 병행하여 결승전을 치루게 되었고, 18번째 시즌부터 21번째 시즌까지는 스타크래프트 II로만 결승전을 치렀다.
- 그랜드 파이널, 통합챔피언전은 별도로 치뤄진 경기로 하위 문단으로 기재.
- * 표시는 해체된 팀을 의미함. (종목 폐지전 존재했던 팀은 제외)
역대 결승전 기록실
최다 우승팀
최다 진출팀
최다 우승 감독
그랜드 파이널, 통합챔피언전 기록
위너스리그 기록
- 역대 결승전
- 통산 최다 올킬 : 김택용 (5회)
- 포스트 시즌 올킬 (결승 포함) : 3회
- 역올킬(포스트 시즌 포함) : 4회
- 통산 최다 연속 올킬 : 김택용 (3회)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