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연습곡 Op. 10, 2번 (쇼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쇼팽의 연습곡 Op. 10, 2번(Étude Op. 10, No. 2)은 프레데리크 쇼팽이 1829년에 작곡해 1833년에 프랑스, 독일, 영국 등지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이 곡은 오른손의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3, 4, 5번 손가락으로 반음계를 연주하는 곡으로 상당히 난해한 곡에 속한다. 반면에 왼손과 오른손의 1,2번 손가락은 화음을 연주한다. 쇼팽은 이 곡을 작곡하면서 직접 손가락을 움직여 센 결과 이 곡의 전체 음표는 800개에 달한다고 말했다.
Remove ads
난이도
이 연습곡의 기술적 특징은 오른손의 세 바깥 손가락이 연주할 수 있는 반음계와 같은 손의 첫 번째 손가락과 두 번째 손가락이 연주할 수 있는 짧은 음계이며, 어려운 점은 M.M. 144의 요구되는 템포로 피아노와 레가토에서 이것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쇼팽 이전의 이그나츠 모셸레스와 같은 피아노 작곡가들은 같은 손으로 연주할 수 있는 반주가 있는 반음계를 도입했다. 하지만 반음계는 결코 "약한" 손가락에는 주어지지 않는다. 라이히텐트리트(Leichtentritt)는 쇼팽이 이 에뛰드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쓸모없다고 여겨졌던 17세기 이전의 손가락질 습관을 부활시켰다고 믿는다. 쇼팽에게 있어 이 에뛰드의 기술적 중요성은 그가 다른 어떤 곡에도 적용시키지 않은 그의 손가락의 광범함에 의해 입증된다.
알프레드 코르토는 극복해야 할 첫 번째 난이도는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손가락의 교차"와 "해당 손가락의 연속적인 작용으로 인한 긴장"이라고 말한다. 그는 먼저 모든 음계에서 세 개의 바깥 손가락으로 반음계를 연습할 것을 주장한다. 코르토는 "피지카토" 음표를 "맞기보다는 튕기라"고 권한다.
Remove ads
외부 링크
- 알프레드 코르토의 연주: Op. 10 No. 2
-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연주: Op. 10 No. 2
- 라자르 베르만의 연주: Op. 10 No. 2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