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픈 놀리지 재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오픈 놀리지 재단(Open Knowledge Foundation, OKF)은 콘텐츠와 데이터를 포함하여 정보를 무료로 홍보하고 공유하는 글로벌 비영리 네트워크이다.[1] 2004년 5월 20일 루퍼스 폴록에 의해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서 설립되었다.[2] 잉글랜드와 웨일스에 보증 유한 개인 회사로 등록되어 있다.[1] 2016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이 조직은 Open Knowledge International로 불렸으나,[3] 2019년 5월에 Open Knowledge Foundation으로 다시 돌아오기로 결정했다.[4]

간략 정보 오픈 놀리지 재단, 약칭 ...
Remove ads

목표

오픈 놀리지 재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1]

  • 오픈 놀리지의 개념을 홍보한다. 오픈 놀리지가 무엇이며 왜 좋은 아이디어인지 알린다.
  • OKCon과 같은 오픈 놀리지 행사를 개최한다.
  • Open Economics 또는 Open Shakespeare와 같은 오픈 놀리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 오픈 놀리지 프로젝트, 커뮤니티 및 자원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잠재적으로 보금자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KnowledgeForge 서비스와 CKAN이 있다.
  • 영국, 유럽 및 국제 수준에서 오픈 놀리지 문제에 대해 활동한다.

인물

레나타 아빌라 핀토는 2021년 10월 오픈 놀리지 재단의 CEO로 합류했다.[5] 2019년 2월부터 2020년 8월까지는 캐서린 스틸러가 CEO였으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의 CEO가 되기 위해 떠났다.[6]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파벨 리히터가 위키미디어 도이칠란트의 전무이사를 역임한 후 오픈 놀리지 재단의 CEO 역할을 맡았다.

오픈 놀리지 재단 자문 위원회는 오픈 액세스, 공공 데이터, 오픈 콘텐츠, 오픈 사이언스, 데이터 시각화, 디지털 권리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2015년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7]

  • 앤드류 스토트
  • 베키 호그
  • 벤자민 마코 힐
  • 캐롤리나 로시니
  • 크리스토퍼 코빈
  • 다니엘 디트리히
  • 데니스 파르페노프
  • 피터 머레이-러스트
  • 쇠렌 아우어
  • 글린 무디
  • 하네스 가서트
  • 린 M. 콤스-허드
  • 조던 S. 해처
  • 조 월시
  • 마크 서먼
  • 마요 푸스터 모렐
  • 냇 토킹턴
  • 피터 콜파르트
  • 한스 로슬링
  • 존 노턴
  • 나이젤 섀드볼트
  • 파나기오티스 바미디스
  • 피터 슈버
  • 야소다라 코르도바
Remove ads

네트워크

2018년 현재 오픈 놀리지 재단은 11개의 공식 지부와 여러 국가에 38개의 그룹을 두고 있다.[8] 2022년 11월, 오픈 놀리지 네트워크는 두 개의 새로운 프로젝트와 함께 다시 시작되었다.[9]

또한 19개의 실무단을 지원한다.

  • 로비 투명성
  • 오픈 액세스
  • 오픈 서지
  • 오픈 정의
  • 오픈 디자인 및 하드웨어
  • 오픈 개발
  • 오픈 경제
  • 열린교육
  • OpenGLAM
  • 공공 정부 데이터
  • 오픈 인문학
  • 오픈 언어학
  • 오픈 제품 데이터
  • 오픈 사이언스
  • OpenSpending
  • 오픈 지속 가능성
  • 오픈 운송 (프로젝트)
  • 개인 데이터 및 개인 정보
  • 퍼블릭 도메인

운영

요약
관점
바르셀로나 현대 문화 센터에서 오픈 놀리지 재단 전 직원인 마이클 바우어와의 인터뷰[10]

오픈 놀리지 재단의 많은 프로젝트들은 기술적인 성격을 띤다. 가장 두드러진 프로젝트인 CKAN은 전 세계 여러 정부에서 자국이 보유한 데이터의 공개 카탈로그를 호스팅하는 데 사용된다.[11]

이 조직은 반독립적인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호스팅함으로써 목표를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조직화 방식은 초기 프로젝트 중 하나였던 KnowledgeForge라는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에서 암시되었으며, 이는 KForge 플랫폼에서 실행된다. KnowledgeForge는 분야별 실무단이 오픈 놀리지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더 넓게 보면, 프로젝트 인프라는 기술적 측면과 대면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 이 조직은 가상 토론을 위해 수십 개의 메일링 리스트를 호스팅하고, 실시간 통신을 위해 IRC를 활용하며, 행사도 개최한다.

옹호

오픈 놀리지 재단은 OER과 같은 유사 분야에서 활동하는 조직들과 활발한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12]

오픈 놀리지 재단은 개방성 용어와 관련된 일부 모호성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인 오픈 놀리지 정의[13]와 오픈 소프트웨어 서비스 정의[14]를 발표했다. 또한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ODbL) 개발을 지원했다.[15]

기술 외적으로도 오픈 놀리지 재단은 폭넓게 개방성을 옹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보고서 초안 작성 지원, 협의 촉진[16][17] 및 가이드 제작[18]이 포함된다.

오픈 놀리지 재단의 설립자 중 한 명이자 현 이사회 비서인 루퍼스 폴록은 영국 정부공공 부문 투명성 위원회에 소속되어 있다.[19]

프로토타입 펀드는 오픈 놀리지 재단 독일의 프로젝트로, 독일 연방 교육 연구부 (BMBF)의 자금 지원을 받는다. 이 펀드는 혁신적인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독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위한 낮은 진입 장벽의 지원 프로그램이다.

기술

스페인어 지리 데이터 프로젝트 배너
Thumb
OpenGLAM 로고

재단은 오픈 소스 기술 사용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Git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GitHub에서 호스팅된다. 일부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20]

  • CKAN: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하는 도구이다. 정부가 데이터를 빠르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21]
  • Datahub[22]: 인터넷에서 유용한 데이터 세트들을 커뮤니티가 운영하는 카탈로그이다. 데이터 유형(및 사용 조건)에 따라 Datahub는 데이터 사본을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호스팅하고, 일부 기본적인 시각화 도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 Frictionless Data[23]: 데이터 출판을 위한 표준 및 도구 모음이다.
  • 오픈 서지: 서지 자료를 작업하고 출판하기 위한 도구를 카탈로그화하고 구축하려는 노력으로 폭넓게 해석되며,[24][25] 특히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저작물과 퍼블릭 도메인 계산기에 중점을 둔다. Bibliographica, Public Domain Works, Open Shakespeare[26], Open Text Book[27]더 퍼블릭 도메인 리뷰[28] 프로젝트가 그 예이다.
  • OpenGLAM[29]: GLAM(갤러리, 도서관, 기록보관소, 박물관)이 보유한 디지털 문화유산에 대한 자유롭고 개방적인 접근을 장려하는 이니셔티브이다.[30] OpenGLAM은 DM2E (유로피아나로 디지털화된 원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로부터 공동 자금을 지원받는다.[31]
  • 오픈 경제학[32]
  • 오픈 놀리지 포럼[33]
  • 정보 접근성 이니셔티브
  • 오픈 지리 데이터[34]
  • 오픈 데이터 라이선싱 가이드
  • "데이터 얻기" — 데이터 세트를 얻는 방법에 대한 질문과 답변 웹사이트.
  • POD - 제품 오픈 데이터

행사

다른 관련 조직과의 많은 협력은 재단이 주최하는 행사를 통해 이루어진다.[35] 주요 행사는 오픈 놀리지 콘퍼런스 (OKCon)로, 2007년부터 가끔 개최되었다.[36] 데이터 시각화[37] 및 자유 정보 네트워크 인프라[38] 분야에서도 다른 행사가 조직되었다.

오픈 놀리지 재단은 매년 국제 오픈 데이터 데이를 지원한다.

판톤 원칙 및 펠로우십 (과학 분야의 오픈 데이터)

2010년 판톤 원칙 (과학 분야 오픈 데이터)은 오픈 놀리지 재단 사람들의 큰 기여를 받았으며, 2011년 조나단 그레이와 피터 머레이-러스트는 OSF로부터 소피 커쇼와 로스 마운스 두 명의 펠로우십을 위한 자금을 성공적으로 확보했다. 2013년 OKF는 CCIA[39]로부터 3명의 펠로우십을 위한 후원을 받았으며, 이들은 로즈마리 그레이브스[40], 샘 무어, 피터 크라커에게 수여되었다.[41]

기타

Thumb
D-CENT 로고

오픈 놀리지 재단은 Apps for Europe[42]와 2013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진행된 7개국 데이터를 공유하고 정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유럽 프로젝트인 D-CENT를 지원한다.[43]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