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소금물

용해된 소금이 상당히 녹아든 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소금물
Remove ads

소금물은 높은 농도의 용해(주로 염화 나트륨)을 포함하는 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염분 스케일에서 소금물은 기수보다 짜지만, 고염수보다는 덜 짜다. 염분 농도는 일반적으로 천분율(퍼밀, ‰) 및 백만분율(ppm)로 표현된다. USGS 염분 스케일은 세 가지 수준의 소금물을 정의한다. 약한 염분의 물의 염분 농도는 1,000 ~ 3,000 ppm(0.1 ~ 0.3%)이며; 중간 염분의 물은 3,000 ~ 10,000 ppm(0.3 ~ 1%)이고; 높은 염분의 물은 10,000 ~ 35,000 ppm(1 ~ 3.5%)이다. 바닷물은 약 35,000 ppm의 염분을 가지며, 이는 물 1리터(또는 킬로그램)당 35그램의 소금에 해당한다. 포화 수준은 명목상 물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1] 20 °C (68 °F)에서 물 1리터는 약 357그램의 소금을 용해할 수 있으며, 이는 질량백분율(% w/w)로 26.3%의 농도이다. 100 °C (212 °F)(순수한 물의 끓는점)에서 물 1리터에 용해될 수 있는 소금의 양은 약 391그램으로 증가하며, 이는 28.1% w/w의 농도이다.

Remove ads

속성

요약
관점
Thumb
물-NaCl 상평형 그림
자세한 정보 NaCl, wt%, 어는점 (°C) ...
  1. 일부 주변 온도에서
  2. 일부 주변 온도에서
  3. 일부 주변 온도 (20°C)에서

100 °C (212 °F; 373 K)에서 포화 염화나트륨 염수는 무게 기준으로 약 28%의 소금이다. 0 °C (32 °F; 273 K)에서 염수는 약 26%의 소금만 포함할 수 있다.[3] 20 °C에서 물 1리터는 약 357그램의 소금을 용해할 수 있으며, 이는 26.3%의 농도이다.[4]

바닷물(무게 기준으로 용해된 소금 3.5%)의 열전도율25 °C (77 °F)에서 0.6 W/mK이다.[5] 열전도율은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6] [7] 염분 함량은 염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200 to 575 °C (392 to 1,067 °F) 범위의 다양한 농도와 온도에서 염수의 밀도 ρ는 다음 선형 방정식으로 근사할 수 있다.[8]

여기서 an의 값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중량 %, a2 ...

전기 분해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수소 가스의 약 4%는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된다. 전기 분해를 통해 생산되는 수소의 대부분은 염소 생산의 부산물이다.

  • 2 NaCl(aq) + 2 H2O(l) → 2 NaOH(aq) + H2(g) + Cl2(g)
자세한 정보 담수, 저염수 ...
Remove ads

고농도 염수

염수(소금물)은 염분의 농도가 올라갈수록 어는점이 낮아진다. 한편 소금(염분)은 물에 녹아드나 물100ml기준(20도)에서 소금은 약34%(34g)를 전후해서 더 이상 용해되기 어렵다.

자세한 정보 염분농도(%), 동결점(C) ...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