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가군 (중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가군(永嘉郡)은 남북조 시대에 설치되어 수나라 때까지 설치된 중국의 옛 군으로, 원저우 시와 리수이 시 일대에 설치되었다.
동진~남제
323년(동진 명제 태녕 원년) 임해군에서 온교령 이남에 있던 영녕, 안고, 송양, 횡양 4현이 영가군으로 분리되었다. 454년(유송 문제 효건 원년)부터 459년(유송 효무제 대명 3년),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부터 465년(유송 전폐제 영광 원년)까지 총 7년 동안 일시적으로 동양주가 신설되자 동양주의 속군이 되었다. 유송대 영가군은 5현 6,250호 36,680명을 거느렸다. 영가군으로부터 건강까지 수로로 2,800리, 육로로 2,640리 거리였다.[1]
Remove ads
양 ~ 수
562년(진 문제 천가 3년) 폐지된 동양주가 재설치되면서 동양주로 내속되었다.[2]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정복한 이후,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폐지되었고, 그 땅에는 임해군 땅과 함께 처주(處州)로 분리되었다. 처주는 600년(개황 20년)에 '괄주(括州)'로 개칭되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를 재실시하면서 영가군으로 개명되었다. 수나라의 영가군은 4현 10,542호를 거느렸다.[3]
Remove ads
당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이자통을 점령하면서 지금의 리수이 시일대가 처주(處州)로 분리되었고 622년(당 고조 무덕 5년) 동가주(東嘉州)를 설치했고 영가현, 영녕현, 안고현, 낙성현, 횡양현의 5현을 속현으로 두었고 지금의 리수이 시지역은 괄주로 분리되었다.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동가주가 폐지되면서 속현들이 모두 괄주의 속현이 되었다. 675년(당 고종 상원 2년) 괄주에서 영가현과 안고현의 2개현으로 온주(溫州)를 신설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영가군으로 개명되었고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개하면서 온주로 개명되었다.
본래 강남도에 속했지만 강남동도가 신설되자 강남동도로 편입되었고, 당말에는 절동관찰사(浙東觀察使)가 통치했다. 현의 경우 천보 연간에 4개 현을, 향의 경우 개원연간에 78향, 원화연간에 16향을 두었다.
개원연간에는 37,554호, 천보연간에는 42,814호 241,694명, 원화연간에는 8,414호를 거느렸다.
개원연간에는 면(綿), 모시(紵), 포(布), 상어(鮫魚)가죽 30장(張)을 바쳤지만, 원화연간에는 상어가죽만을 공납으로 바쳤다.[4][5]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