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남대학교

대한민국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의 사립 종합대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남대학교(嶺南大學校, Yeungnam University)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대구광역시 남구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이다.[2] 대구대학청구대학이 1967년 12월에 통합되어 출범했다.[3] 상징은 천마(天馬)[4]이며, 교육목표[4]는 창학정신에 제시된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민족의 대학’, ‘세계 속의 대학’으로서의 사명을 다하는 데 두고 있다.[4] 약칭으로 ‘영대’라고 부르거나, 영문약칭으로 ‘YU’라 부르기도 한다.[1]

간략 정보 표어, 종류 ...
Remove ads

영남대의 청학정신

요약
관점

창학정신

대구대학 창학정신(1947-1967)

해방과 더불어 애국, 애족하는 인사들에 의해서 발의되었으며,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위하여 구국경세의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건학하였다. 경북도내 각계 각층의 독지가들이 희사한 재산을 기반으로 하여 세워졌으며,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각 분야의 인재를 양성, 배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학 스스로가 지역문화의 각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5]

청구대학 창학정신(1950-1967)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의 맥을 이은 해방 후의 청년운동이 모태가 된 청구대학은 대중대학강좌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 야간대학의 효시로 볼 수 있다. 청구대학은 애국애족의 독립정신을 기초하여 배움의 길을 찾던 근로청년들에게 고등교육의 길을 열어 민족문화를 수호, 발전시킬 인재를 길러낼 목적 아래 발족하였다.[6]

영남대학교 창학정신(1967~)

영남대학교는 지성의 전당으로서 애국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교육과 생산교육을 추진함으로써, 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 민족중흥의 새 역사 기여함을 창학정신으로 삼는다.[7][8]

천마(天馬)

신라 화랑의 자취가 남아있는 압량벌에 ‘민족의 대학’이라는 건학 이념을 기치로 설립된 영남대학교가 자리 잡았다. 영남대학교의 상징인 천마 속에는 약동하는 힘과 비약하는 화랑의 기상이 응집되어 있고 ‘민족의 대학’, ‘세계속의 대학’으로 나아가려는 창학정신과 교육목표가 표출되어 있다. 뒤로 힘차게 벋은 말갈기는 불굴의 기백과 진취성을 나타내며, 우주를 상징하는 둥근 모양은 무궁한 가능성과 원만성을 나타낸다. 구름 위를 질주하는 듯한 장엄한 모습의 천마를 통해서 거침없이 미래로 뻗어 나아가려는 천마인의 진취적인 기상이 표현된다.[9]

교명의 유래

영남은 태백, 속리, 덕유, 지리산과 죽령, 조령, 추풍령 등과 같은 태산 준령의 남쪽 즉 “嶺之南”이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영남의 중앙부에는 낙동강이 관류하며 좌우에서 흘러오는 지류들이 합류되면서 통일성과 일체감을 가진 특색있는 하나의 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이곳은 신라⦁가야문화의 본 고장인 동시에 불교, 유교문화와 동학사상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이곳을 기반으로 한 신라가 민족통일의 대업을 성취하면서 한국사의 주류가 영남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원효와 퇴계, 수운 등 우리 역사의 큰 흐름을 바꾼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그래서 영남은 향토지명이라기보다 민족문화의 발전과 창달을 사명으로 하고 있는 장소를 뜻하기도 한다. 즉 민족문화가 가지는 전통과 창조적 정신을 새로이 구현하여 문화창조에 이바지하는 장소라는 의미인데 교명을 “영남”이라 택하였으며 이는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의 설립취지와도 부합한다.[10]

구성원 현황(2025년 4월 기준)

  • 재적생 현황 - 학부 : 27,952명 • 대학원 : 2,805명 (일반석사: 873명, 특수·전문대학원: 1,181명, 박사: 585명, 석·박사통합: 166명)
  • 졸업생 현황 - 학부 : 246,098명 • 대학원 : 37,461명 (일반석사: 16,189명, 특수·전문대학원: 16,428명, 박사: 4,587명, 석·박사통합: 257명)

표어

  • 시선은 미래로, 도전은 세계로[11]

Y형 인재

  • Y는 영남대학교의 영문 이니셜 Y를 표현한 것이며, Y의 이미지는 두 팔 벌려 세계와 미래를 향해 환호하는 천마인을 상징한다. 두 팔이 향하는 하늘은 글로벌을, 딛고 있는 땅은 로컬을 타나낸다. 또한 인성을 몸통으로, 창의성과 진취성을 겸비한 것을 의미한다. 영남대학교는 21세기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에 부합하는 Y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새로운 인재 육성 패러다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11] ‘Y형 인재론’은 영남대학교 제13대 총장인 이효수 교수의 PDR System Theory의 Humanware 개념[12]과 MIT McGregor 교수의 XY 이론[13]에 기초한 인적자원개발 개념이다.[14]
Remove ads

역사

대구대학

  • 1947년 3월 최준에 의해서 대구문리과대학 개교
  • 1947년 9월 22일 재단법인 대구대학 설립, 대구대학으로 개편
  • 1948년 9월 대봉동으로 교사 이전 (현 대구중)
  • 1950년 4월 부설 초급대학 설립
  • 1951년 4월 포정동 청구대학으로 교사 이전
  • 1952년 부설 초급대학 폐지
  • 1952년 5월 남산동 대구향교로 교사 이전
  • 1954년 12월 대명동으로 교사 이전 (현 영남대의료원)
  • 1958년 대학원 설치
  • 1959년 3월 재단법인 문파교육재단과 통합, 병설 대구여자학숙 설립
  • 1961년 1월 병설 대구여자학숙을 대구대학에 통합
  • 1962년 병설 여자초급대학 설립(대구여자학숙의 부활)
  • 1964년 제121 ROTC 설치인가

청구대학

  • 1948년 9월 최해청에 의해서 대구문리과전문학원 야간부로 종로에서 개교
  • 1950년 3월 포정동으로 교사 이전
  • 1950년 4월 25일 재단법인 청구대학 설립, 청구대학으로 개편
  • 1953년 주간부 설치
  • 1955년 문화동으로 교사 이전 (현 노보텔)
  • 1960년 효목동에 공학관 준공
  • 1961년 대학원 설치
  • 1962년 병설 실업초급대학 설립
  • 1963년 병설 공업고등전문학교 설립 (현 경일대학교)
  • 1964년 효목동으로 본부 이전
  • 1964년 제122 ROTC 설치인가

영남대학교

  • 1967년 12월 22일 박정희에 의해서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을 통합해 학교법인 영남학원 설립, 영남대학교로 개편. 이사장 이동형 선생 취임
  • 1968년 초대총장 신기석 박사 취임. 경산에 105만여평 학교 부지 마련
  • 1969년 경산 캠퍼스 건립 기공식
  • 1972년 대학교 본부 및 전체 기구를 경산 캠퍼스로 이전
  • 1974년 중앙도서관 22층 준공
  • 1975년 전자계산소 준공
  • 1981년 박근혜 이사를 앞세워 영남대학교 정관 제1조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 정신에 입각하여’라는 내용으로 개정했다.[15]
  • 1983년 5월 영남대학병원 개원 (1986년 5월 영남대 의료원으로 승격)
  • 1989년 박물관 신축 건물 개관
  • 1996년 지역협력연구센터(RRC) 개설
  • 2001년 경북지역 환경기술개발센터 개설, 영남대학교 i-Campus 정보인프라시스템 개통
  • 2002년 최첨단 멀티미디어지원센터 개설, 인터넷 방송국 개국, 모바일 캠퍼스 구축
  • 2003년 의과학 연구소 신설
  • 2004년 영남대학교 UI 글씨체 개정
  • 2005년 '독도연구소' 전국대학 최초설립, (2월) 중앙도서관 리노베이션 준공
  • 2008년 향토생활관, 천마아트센터 개관
  • 2009년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개원, 의학전문대학원 개원
  • 2009년 영남대학교 재단정상화
  • 2010년 의과대학 증/개축, 여성 ROTC 시범대학 선정
  • 2011년 YU-EU센터 개원, 융복합연구클러스터(CRC)준공
  • 2012년 영남대학교 정관에서 교주 박정희를 설립자 박정희로 변경
  •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장학재단 주관 "다문화 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영남권역거점대학 선정
  •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2012학년도 한국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사업 1위’에 선정
  •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의 ‘공학교육 거점대학’에 선정
  • 2012년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 국가인적자원개발(HRD)컨소시엄 사업 ‘영남권 허브 대학’ 선정
  • 2012년 상경관 및 공대IT관 증축, 전력용량증설, CRC신축 준공
  •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선정
  • 2012년 봉화군과 향토생활관 협약 체결
  •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선정
  • 2012년 영남대-금융 4개기관(한국자산관리공사, 미소금융중앙재단, 신용회복위원회, 신용보증재단 중앙회)간 협약 체결
  • 2012년 고용노동부 주관 ‘창조캠퍼스’ 지원대학 2년 연속 선정
  • 2012년 미국 Southern Oregon University와 상호학점교류에 관한 특별협정 체결을 통한 ‘1+3 글로벌 학위과정’ 개설
  • 2012년 베트남국립대학-호치민(VNU-HCM)과 교류협력 체결
  •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개통. (영남대역)
  • 2013년 2월 1일 제14대 총장 노석균 교수(화학공학) 취임.
  • 2013년 9월 10일 영남대학교 현재 UI 사용 개시
  • 2013년 12월 27일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회 한국대학평가원 '2013 대학기관평가인증'획득
  • 2014년 2월 4일 2012학년도 기준 학생 1인당 교육비투자 대구경북 종합사립대 1위(2013년 8월 대학알리미 기준)
  • 2014년 2월 5일 영남대 의대, 한국의학교육평가원 ‘2013년 의학교육 평가인증’획득
  • 2014년 2월 23일 캄보디아 교육부 '우수봉사단' 선정
  • 2014년 3월 1일 정치행정대학 경찰행정학과 신설
  • 2014년 4월 2일 시가총액 10대기업 임원배출 전국10위
  • 2014년 4월 11일 '2014 대한민국 참교육대상'(‘글로벌혁신경영’ 부문) 수상
  • 2014년 4월 29일 영남대학교병원 권역 호흡기 전문질환센터 개원
  • 2014년 5월 7일 영남대 로스쿨, 제3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2위
  • 2014년 5월 14일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정 2013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전자공학과·정보통신공학과 최우수 선정
  • 2014년 6월 20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선정
  • 2014년 7월 8일 영남대 창업보육센터 준공식 개최
  • 2014년 7월 14일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이 박정희새마을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 2014년 7월 29일 아이티 정부 공무원 '아이티 경제발전 전략 및 새마을운동' 연수
  • 2014년 8월 12일 영남대 국립국제교육원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 한국어연수기관' 선정
  • 2014년 8월 28일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와 글로벌 산학협력 MOU 체결
  • 2014년 8월 28일 동아일보 '2014 청년드림대학' 선정 결과 취업, 창업 지원역량 최우수 대학 선정
  • 2014년 9월 1일 2014 중앙일보 대학평가 영남대 경영학부 '우수' 평가
  • 2015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최상위 A등급
  • 2016년 제5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100%, 2년 연속 전국 1위
  • 2016년 교육부 프라임사업(산업연계교육활성화 선도대학) 대형 유형 선정(450억, 3년)
  • 2017년 고용노동부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운영대학 선정
  • 2017년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사업) 선정
  • 교육부 2016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건축(시공) 분야 ‘최우수’ 대학
  • 2017년 코스닥 상장법인 CEO 배출 ‘전국 6위’
  • 신용보증기금과 전문 인력 교류 및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 2017년 라이덴랭킹 국내 종합순위 15위, 수학·컴퓨터공학 분야 세계 37위 및 국내 1위
  • 2017년 영남대-영남이공대 인적·물적 자원 공동활용 협약체결
  • 2017년 베트남 호치민기술교육대와 자동차공학 인재 육성 MOU 체결
  • 2017년 영남대 유새(YUSAE)팀, 2017 한국자동차공학회(KSAE)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바하(BAJA) 부문 1위
  • 2017년 영남대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관 에너지인력양성사업 1단계(2015~2017) 평가에서 전체 90여 개 추진 과제 중 최우수과제로 선정
  • 2017년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18위’
  • 2017년 (재)대구경북디자인센터와 우수 창업인재 양성 및 지역 디자인 교육지원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경산시와 지역사회 발전과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2017년 영남대 청정기술연구소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1단계(2014년 9월~2017년 8월)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 획득
  • 2017년 DGIST와 기술수요 정보공유 플랫폼 구축을 위한 MOU 체결
  • 2017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베트남 호찌민기술대학교(HUTECH,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Technology)와 현지 기업인 메콩링크(Mekong Link)와 글로벌 창업가 양성 및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3자간 업무협약 체결
  • 2017년 영남대 천마인재학부 2017년 행정고시 합격자 3명(재경직 1명, 일반직 2명) 배출
  • 2017년 생명·나노·로봇공학 등 중심 ‘청색기술 산학융합추진단’ 발족
  • 2018년 드론·로봇·3D프린터 활용 제품제작 실습 ‘매이커스랩(Makers_Lab)’ 개소
  • 2018년 영남대 국제학생회 창립
  • 2018년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과 전문 인력, 시설, 교육 콘텐츠 등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달성군과 도시디자인·경관 발전 위한 정책연구, 학술행사, 인적교류 등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강의실 PC - 학생 스마트폰’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출결시스템’ 자체 개발
  • 2018년 영남대 공학교육혁신센터, 산업통산자원부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선정
  • 2018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36회 회장기 전국레슬링대회 단체 우승
  • 2018년 대구FC엔젤클럽과 지역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산시와 ‘외국인 유학생과 함께하는 SNS통상프로그램 운영’ 협약 체결
  • 2018년 필리핀 로스바뇨스대학교와 학술교류 협약 체결
  • 2018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정유석유화학 분야 ‘최우수’ 선정
  • 2018년 영남대 법학전문대학원 변호사시험 누적 합격률 비수도권 1위
  • 2018년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와 교류 협약 체결
  • 2018년 캄보디아 웨스턴턴대학교와 국제교류 협약 체결
  • 2018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수학·컴퓨터공학 분야 세계 50위 및 국내 1위, 생명과학·지구과학 분야 국내 7위, 사회과학·인문학 분야 국내 15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19위
  • 2018년 한국에너지공단과 학생 인턴십 및 취업 지원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고신뢰성 기계부품 설계 전문인력 양성 사업 선정 코스닥 CEO 배출 대학 순위 전국 7위, 비수도권 대학 1위(코스닥협회 2018년 코스닥 상장법인 사업보고서 기준)
  • 2018년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한길산업과 지역 및 산업 발전을 위한 협약 체결
  • 2018년 로봇관(지하1층, 지상3층, 연면적 3,462.71㎡), 자동차관(지상 3층, 3,934.89㎡) 개관
  • 2018년 한국경제신문 및 글로벌리서치가 분석한 2018 이공계 대학 평가에서 전국 20위, 비수도권 종합사립대 1위
  • 2018년 탄자니아·케냐·우간다 국제협력기구 르블락(LVRLACC, Lake Victoria Region Local Authorities & Counties Cooperation)과 국제개발 협력과 교류 증진을 위한 협약 체결
  • 2018년 제23회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개최 및 영남대 YUSAE팀 종합 우승
  • 2018년 국내 500대 기업 CEO 배출대학 전국 8위, 비수도권 사립대학 1위(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 CEO 464명 분석 결과)
  • 2018년 영남대 제52회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우승
  • 2018년 교육부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
  • 2018년 행정안전부 주관 카리브해 지역 4개국 9명 중견 공무원 대상 새마을연수 실시
  • 2018년 지역 5개 대학(영남대, 대구가톨릭대, 대구한의대, 경일대, 대신대), 경상북도, 한국국학진흥원과 외국인 유학생 연수 프로그램 공동 운영을 위한 협약 체결
  • 2018년 THE 세계대학순위 ‘국내 14위’
  • 2018년 지역 4개 대학(영남대, 경북대, 안동대, 한동대) , 경북도의회와 교류·협력 증대를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2018년 약학대학 신축 기공식 개최(규모: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9,429.21㎡ , 총 공사비: 145억 원, 2020년 5월 완공 예정)
  • 2018년 러시아 국립 노보시비리스크 국가연구대학교(Novosibirsk State University) 및 국립 노보시비르스크 과학기술대학교(Novosibirsk State Technical University)와 국제교류협력을 위한 MOU 체결
  • 2018년 의성군과 지역사회협력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베트남 국립 호치민기술사범대학교(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와 교류 협약 체결
  • 2018년 아프리카 3개국 국제협력기구인 ‘르블락’(LVRLACC, Lake Victoria Region Local Authorities & Counties Cooperation)과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와 국제개발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3자간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29회 추계전국대학레슬링대회 종합우승, 3년 연속 종합우승
  • 2018년 주한 잠비아 대사관, GSDN과 잠비아 대학의 새마을경제개발학과 설립과 현지에서의 새마을운동 전파를 위한 3자간 업무 협약 체결
  • 2018년 영남대 ‘대기측정·공기청정 기술’, ㈜굿에어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
  • 2018년 대경권 4개 기관(①영남대학교 경북빅데이터센터(경상북도 빅데이터센터), ②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빅데이터센터(대구광역시 빅데이터센터), ③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빅데이터센터, ④대구경북연구원 공간빅데이터센터) 빅데이터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2019년 유산(酉山) 민경갑(1933~2018) 화백의 그림에 노산(鷺山) 이은상(1903~1982) 시인이 지은 ‘낙동강’ 시를 일중(一中) 김충현(1921~2006) 서예가의 글씨로 마무리한 24m 대작 <낙동강천리도>(1970년) 복원
  • 2019년 대구경북학연구소, 융합혁신전략연구소 신설
  • 2019년 부속 외국어교육원을 기초교육대학 산하로 편입
  • 2019년 의학전문대학원 및 임상약학대학원 폐원
  • 2019년 영남대-이화여대-숙명여대-기술보증기금, 4개 기관 U-테크밸리 업무협약 체결
  • 2019년 영남대-경산시, ‘고대 압독국 문화유산 연구ˑ활용 프로젝트’ 업무협약 체결
  • 2019년 영남대 경북빅데이터센터-경산경찰서, 빅데이터 활용 업무협약 체결
  • 2019년 영남대 레슬링부, 회장기전국레슬링대회 ‘2년 연속 종합우승’
  • 2019년 영남대-GSDN-에티오피아 SNNPR 새마을개발 협력 MOU 체결
  • 2019년 영남대 의대, 교수 국제학술지 게재실적 ‘전국 5위’
  • 2019년 영남대 ‘세포 배양 기술’ ,(주)이셀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 2019년 교육부 주관 ‘201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바이오의약 분야 최우수대학 선정
  • 2019년 제8회 변호사시험 영남대 로스쿨 합격률, 전국 2위
  • 2019년 (주)한국호머 이종우 회장, 50억 상당 부동산 발전기금 기탁
  • 2019년 영남대, 교육부 주관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선정
  • 2019년 영남대병원, ‘라오스 공안부 현대식병원 건립사업’ 계약 체결 및 조인식 개최
  • 2019년 영남대병원, 대구권 권역응급의료센터 선정
  • 2019년 교육부 주관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 500대 기업 CEO 배출 ‘전국 9위‘
  • 2019년 대구시와 경상북도 주관 ‘휴스타(Hustar) 혁신아카데미’ 선정(미래자동차분야)
  • 2019년 '경산시-지역 5개대학’(영남대,경일대,대구가톨릭대,대구대,대구한의대) 「일본 수출규제 대응 전담팀」 구성 협력 간담회, 영남대 레슬링부 제45회 대통령기 레슬링대회 ‘종합우승’
  • 2019년 대구시와 경상북도 주관 ‘휴스타(HuStar) 혁신대학사업’ 선정(물분야)
  • 2019년 학산배 전국장사씨름대회 단체전 ‘준우승’
  • 2019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행정안전부,경북도,경산시 ‘경산시 청년연구인력 지원사업’ 추진
  • 2019년 한국연구재단 주관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과제 선정(청색기술 기반 연구과제)
  • 2019년 기계관 ‘삼익 THK 라운지’ 준공
  •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17위’
  • 2019년 영남대 의대, 교수 1인당 SCI급 논문 실적 ‘전국 3위’ ‘YU진로취업센터’ 개관
  • 2019년 교육부, 인사혁신처 주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3회 연속 인증, 영남대, 합천군,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합천지부 ‘합천 원폭자료관 기록물 전산화’ 지역협력 협약 체결
  • 2019년 영남대 ‘스마트 글라스 기술’, ㈜티엠비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
  • 2019년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金8, 銀1, 銅4’ 획득
  • 2019년 영남대 로스쿨, ‘배기원도서관’ 개관
  • 2019년 YU 산학협력 엑스포’ 개최
  • 2019년 경상북도-영남대 컨소시엄,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협약
  • 2019년 천하장사씨름대축제 대학부 단체전 ‘우승’
  • 2019년 영남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준공식 개최
  • 2019년 ‘영남대 생명응용과학대학-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인재 육성 협약 체결
  • 2019년 추계전국대학레슬링대회 4년 연속 ‘종합우승’
  • 2019년 ‘미백 화장품 제조 기술’, ㈜위즈메디와 기술이전 계약체결, 유도부, 제주컵 국제유도대회 ‘금·은’ 획득
  • 2019년 '천연물 의료소재 핵심연구 지원센터’ 개소
  • 2019년 교육부 ‘2019 대학기관평가인증‘ 획득
  • 2020년 영남대 의과대학 (재)한국의학교육평가원 ‘2019년도 의학교육 평가인증’ 통과 및 4년 인증 획득
  • 2020년 영남대 의과대학–대구지식재산센터 지역 의료기술 성장 동력 발굴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MOU 체결
  • 2020년 (재)환동해산업연구원와 해양바이오 전문가 양성을 위한 MOU 체결
  • 2020년 캄보디아 왕립예술대학교(Royal University of Fine Arts)와 국제학술교류협정 체결
  • 2020년 캄보디아 웨스턴대학과 2+2 새마을학 복수학위제 시행을 위한 합의각서(Memorandum of Agreement) 체결
  • 2020년 'MW(메가와트)급 태양광 발전 R&BD 실증센터‘ 준공
  • 2020년 도전학기제 시행, 스마트워터시스템융합전공(선발인원 40명) 신설
  • 2020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2019 대학기업가센터 지원사업 성과평가 S등급 선정(2년 연속 최우수대학)
  • 2020년 상경대학 항공운송학과(계약학과, 정원 20명) 신설
  • 2020년 영남대병원, 미국 뉴스위크 ‘2020년 세계 최고 병원(World’s Best Hospitals 2020)’ 조사에서 영남권 1위 선정
  • 2020년 영남대 경북빅데이터센터,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주관 ‘2020년 지역거점 AI 교육 운영 사업’ 선정
  • 2020년 영남대 GTEP사업단,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무역협회 주관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단(GTEP사업단) 성과평가에서 ‘전국 1위’ 선정
  • 2020년 영남대 신소재공학부와 식품공학과, 교육부 및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19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최우수대학’ 선정
  • 2020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교육부 ‘창업교육 거점대학’ 선정
  • 2020년 영남대 로스쿨 제9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1위(로스쿨 9기 입학인원 기준)
  • 2020년 독도자생식물원 기공식 개최
  • 2020년 경산시와 ‘건강증진대학 만들기’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선정(화학공학부 주관, ‘수소산업 융복합 인력양성’ 사업)
  • 2020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20년 경북 봉화군과 영농형 태양광 발전 보급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2020년 영남대 세포배양연구소, 2020년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선정
  •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A등급 획득
  •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2020년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선정
  • 2020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 순위 국내 13위, 수학·컴퓨터공학(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6년 연속 국내 1위, 세계 78위), 생명과학·지구과학 분야 국내 9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24위
  • 2020년 영남대학교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설립 인가
  •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4단계 BK21(두뇌한국21)사업' 12개 연구단(팀) 예비선정
  • 2020년 제25회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개최
  • 2020년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 언택트 실기대회 개최
  • THE(Times Higher Education) 세계대학평가 ‘국내 17위’
  • 2020년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와 우수 인력 양성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0년 육상부, 2020 예천전국대학·일반육상경기대회 ‘金1, 銀5’ 획득
  •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4단계 BK21(두뇌한국21)사업' 12개 연구단(팀) 최종선정
  • 2020년 QS 아시아권 대학평가 ‘국내 26위’
  •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실 안전 유공 기관’ 선정
  • 2021년 영남대병원 외과계 집중치료실 및 수술실 리모델링 개소식
  • 2021년 제16대 총장 최외출 박사 취임
  • 2021년 영남대 건축학부, 교육부 및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20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최우수학과' 선정(2020년, 2016년, 2012년 선정)
  • 2021년 영남대-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 대학교 연구실 화학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1년 영남대-총학생회-교수회-직원노동조합-총동창회, 대학 생존위기 극복과 지속발전을 위한 공동협력선언식 개최
  • 2021년 영남대-경상북도-(재)새마을세계화재단, 새마을운동 경험 공유를 위한 상호 업무협약 체결
  • 2021년도 신·편입 유학생 멘토링교수단 위촉식 개최
  • 2021년 영남대 로스쿨, 제10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2위(로스쿨 10기 입학인원 기준)
  • 2021년 교육부 ‘2021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3개 강좌 신규 선정 (2021학년도 2학기, 총 11개 K-MOOC 강좌 교양 교과목 운영)
  • 2021년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주관 ‘2021 대학운동부 평가 및 지원사업’ 선정(야구, 축구, 유도, 씨름, 레슬링, 육상)
  • 2021년 영남대-(재)대구문화재단-(재)TBC문화재단, 지역 문화예술발전 및 다문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상호 업무협약 체결
  • 2021년 영남대-타지키스탄(Tajikistan) 산업신기술부,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국제협약 체결
  • 2021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 순위 국내 14위, 수학·컴퓨터공학(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7년 연속 국내 1위), 생명지구과학 분야 국내 8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23위
  • 2021년 교육부 ‘2021년도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선정(정보통신연구소·생활과학연구소)(2021학년도 기준, 총 7개 대학중점연구소 확보)
  • 2021학년도 영남대학교 학부(과) 소개 영상 공모전 시상식 개최(64개 학부(과)/219개 팀/657명 참여, 출품작 공식 유튜브 채널 탑재)
  • 2021년 영남대-(재)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 독도 영토주권 강화 교육 및 대외홍보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1년 영남대 산학협력단, 경상북도 도시재생지원센터 개소
  • 2021년 영남대 건축학부, 국토교통부 주관 ‘2021년도 건축설계 인재육성사업’ 선정(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사업비 수주)
  • 2021년 영남대 씨름부, 제58회 대통령기전국장사씨름대회·제50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단체전 우승’ 및 '개인전 금1, 은1, 동2' 획득
  • 2021년 영남대 출판부·교원 발간 도서 7종, 대한민국학술원 ‘2021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 2021년 영남대-한국교통대-한라대-홍익대 공학교육혁신센터, 디지털 트윈 기반, ‘2021 공동 융합 신기술 설계캠프 및 UCC 경진대회(자율주행자동차)’ 개최
  • 2021년 '이종우 과학도서관‘ 증축 및 리노베이션 준공식
  • 2021년 THE(Times Higher Education) 세계대학평가 ‘국내 18위’
  • 2021년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선정
  • 2021년 영남대 씨름부, 제35회 전국 시도대항장사씨름대회 ‘금1 은2 동2’ 획득
  • 2021년 "대학 현안 공유를 위한 정책설명회” 온라인 생중계 개최
  • 2021년 영남대 산학협력단, 온라인 쇼핑몰 ‘영남상회(http://영남상회.com)’ 오픈
  • 2021년 1000대 기업 CEO 배출 대학 ‘비수도권 사립대 1위, 전국 12위’
  • 2021년 영남대-대구광역시, 2021년 휴스타(HuStar) 물산업 혁신대학 참여기업 박람회 개최
  • 2022년 30대 그룹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배출 대학 ‘비수도권 사립대 1위, 전국 9위’
  • 2022학년도 입학식 개최
  •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2022년 고부가가치식품개발사업’ 선정
  • 2022년 영남대-경북여성정책개발원, 여성전문인력 양성 및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상호교류 협약 체결
  • 2022년 NEW 비전선포식 개최
  • 2022년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선정
  • 2022년 교육부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중심대학 선정
  • 2022년 개교 75주년 기념 글로벌 포럼 개최(지구촌 공동 번영을 위한 교육의 역할)
  • 2022년 개교 75주년 개교기념식 및 지역민과 함께하는 기념음악회 개최, 영남대학교 역사관 개관 및 개교 75주년 기념 사진전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전국 E-Sports 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글로벌 페스티벌(외국인 유학생 체육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글로벌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사랑의 헌혈 캠페인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천마가족 모교 방문 트레킹 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오페라 ‘라 보엠’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고문헌전시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디자인미술대학 교수전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천마 트레킹 & 플로깅 행사 개최
  • 2022년 영남대 육상부, 제77회 전국대학육상경기선수권대회 ‘금2, 은1, 동2’ 획득
  • 2022년 영남대-(주)포스코플랜텍,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2년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기초연구실지원사업’ 선정, 독도자연생태온실 준공(전국 최초 독도자생식물 종자 생육 및 배양)
  • 2022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 순위 국내 6위, 수학·컴퓨터공학(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8년 연속 국내 1위), 생명지구과학 분야 국내 7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16위
  • 2022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47회 KBS배 전국레슬링대회 ‘단체종합우승’ 및 ‘금1, 은4, 동5’ 획득
  • 2022년 에티오피아 웨라베대학교(Werabe University)와 새마을경제개발학과 설립 및 새마을운동연구센터 개소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2년 100대 최고경영자(CEO) 배출 대학 ‘비수도권 사립대 1위, 전국 7위’
  • 2022년 비즐리 UN WFP 사무총장 명예박사 학위 수여
  • 2022년 영남대 출판부·교원 발간 도서 4종, 대한민국학술원 ‘2022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 2022년 말라위 농업부와 새마을운동을 통한 말라위 농업 발전과 농촌개발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2년 영남대-경북대학교, 학술 교류 업무협약 체결
  • 2022년 고용노동부 ‘제13회 Best of CHAMP Day 우수 사례 발표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 2022년 영남대-LS e-Mobility Solutions, 인재양성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 2022년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金4·銀8·銅5’ 획득
  •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16위’
  • 2022년 'YU 사회공헌단’ 출범
  • 2022년 '2023 중앙일보 대학평가 국제학술지' 논문당 피인용 순위 전국 2위
  • 2022년 캄보디아 임차일리 부총리 명예박사 학위 수여
  • 2022년 영남대-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사회공헌 문화 확산 업무협약 체결
  • 2023학년도 정시모집 5.96대 1, 역대 최고 경쟁률 기록
  • 2023년 대기업 상장사 CEO 배출 대학 ‘10위’
  • 2023년 영남대-한국재정정보원, 대구·경북 지역인재 육성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벤처스타트업 아카데미’ 사업 주관대학 선정
  • 2023년 영남대-(재)수성미래교육재단, 지역 미래 교육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학년도 신입생 입학식 개최
  • 2023년 의과대학 국제학술지 ‘JYMS(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스코퍼스 등재
  • 2023년 '삼성전자 C-Lab Outside 경북·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경산지점’ 개소
  • 2023년 기부자 예우 공원 ‘천마아너스파크((Chunma Honors Park)’ 조성
  • 2023년 산학협력단-대구 서구청-다이텍연구원, 첫걸음 과학기술인 인큐베이팅 센터 조성 및 인재육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혐약 체결
  • 2023년 영남대-헝가리 국가기록원, 국제 학술 교류를 위한 협약 체결
  • 2023년 천마가족 모교방문 트레킹 대회 개최
  • 2023년 씨름부, 제1회 대한체육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 ‘단체전 우승’ 및 ‘ 개인전 금1,은2,동1’ 획득
  • 2023년 유도부, 제14회 청풍기전국유도대회 ‘단체전 우승’
  • 2023년 교육부 ‘2023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3개 강좌 신규 선정, (2023학년도 1학기, 총 13개 K-MOOC 강좌 교양 교과목 운영)
  • 2023년 영남대-한국항공우주산업(주), 항공우주산업분야 산학협력과 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SW중심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23년 씨름부, 제15회 대학장사씨름대회 ‘대학부 단체전 우승’
  • 2023년 육상부, 제77회 전국대학대항육상경기대회 ‘여자대학부 종합우승’
  • 2023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순위 국내 8위, 수학·컴퓨터(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9년 연속 국내 1위), 생명·지구과학 분야 국내 9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17위
  • 2023년 영남대-베트남 국립 호치민기술대와 2+2 편입학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협약 체결
  • 2023년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 명예박사 학위 수여
  • 2023년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연차평가 최고등급 ‘우수(A)’ 달성
  • 2023년 영남대-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정보기술대학과 2+2 복수학위제 시행을 위한 협약 체결
  • 2023년 유도부, 2023 하계 전국 남·여 대학유도연맹전 ‘단체적 우승’ 및 ‘개인전 금1,은1,동1’ 획득
  • 2023년 최외출 총장, 캄보디아 정부 공인 웨스턴대 명예교육학박사 학위 취득
  • 2024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전년대비 상승한 6.18대 1 기록
  • 2023년 의과대학 국제학술지 ‘JYMS(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dence)’ ESCI 등재
  • 2023년 '라이프로그용 멀티모달 언택트센싱 선도연구센터’ 개소
  • 2023년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금4,은6,동9’ 획득
  • 2023년 영남대-경북신용보증재단, 상호 교류 증진과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로스쿨, 2024년 신규 검사임용시험 합격률 전국 1위(입학정원 대비 재학생 합격자 기준)
  • 2023년 영남대-SK오션플랜트-영남이공대, 해상 풍력·미래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영남대-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지역사회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CSV·ESG 포터상 프로젝트 효과성 부문’ 수상
  • 2023년 영남대-경북연구원, 상호 교류 증진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영남대-한국부동산원, 지역사회 발전과 사회공헌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대학기관평가인증 ‘ALL PASS’ 획득
  • 2024년 영남대-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 국제사회 및 지역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대구교통공사 지역사회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고용노동부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 선정
  • 2024년 영남대-42경산,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국립금오공대, 양 대학 상호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경북교육청, 상호협력적 학교현장 실습학기제 운영 기반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 공공기관·대학 협력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 동문 13명, 22대 국회 입성
  • 2024년 영남대-국립금오공대,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대학 선정
  • 2024년 영남대-발레오SA,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 씨름부, 대한체육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 2연패 달성
  • 2024년 영남대-호주 로열멜버른공과대학교, 교육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우즈베키스탄 투린폴리텍대, 교육 프로그램 및 2+2 공동 학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개교 77주년 개교기념식 개최
  • 2024년 개교 77주년 기념 글로벌 페스티벌(유학생 한마음 체육대회)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글로벌 페스티벌(Born to be a K-Pop Star)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글로벌 새마을 포럼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Can do spirit 함양 걷기 대회 개최, 개교 77주년 ‘육영수, 그 시절의 아카시아’ 뮤지컬 공연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Global YU Culture Festival’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새마을 정신 한국어말하기 대회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트레킹 체육대회’ 개최
  • 2024년 지방시대 대응 지역혁신 동반성장 포럼 개최
  • 2024년 세계 혁신대학 랭킹 리더십 분야 국내 3위, 세계 35위, 사회적책임 분야 국내 3위, 세계 37위
  • 2024년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주관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 선정
  • 2024년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에서 개최
  • 2024년 교육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및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사업’ 선정
  • 2024년 라이덴랭킹 첫 ‘국내 TOP5’ 진입
  • 2024년 산학협력단-경북권역재활병원, 경북권역재활병원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과기정통부 주관 ‘차세대 반도체용 R&D 인프라 고도화 및 기초·원천 혁신 연구 사업‘ 선정
  • 2024년 영남대-타지키스탄 농업부, 타지키스탄 농업 선진화를 위한 교육 및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타지키스탄 보흐타르주립대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협력과 2+2 공동 학위 프로그램 운영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영남대-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국제기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2+2 공동운영과정 편입학 운영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 2025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6.2대 1 기록
  • 2024년 의과대학, ‘질병관리청장 표창’ 수상
  • 2024년 U.S. News 세계 대학평가 국내 13위 기록
  • 2024년 설립자 박정희 선생 동상 제막식 개최
  • 2024년 최외출 총장, ‘2024 대한민국 CEO 명예의전당 글로벌 부문’ 수상
  • 2024년 영남대-르완다대학교, 새마을학 공유 위한 양해각서 체결
  • 2024년 지방시대 대응 지역혁신 동반성장 추계포럼 개최
  • 2024년 영남대-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첨단 바이오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천마지문 터널분수 광장’ 리모델링 준공
  • 2024년 영남대-대구가정법원, 전문 인력 양성과 법률 문화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CSV·ESG 포터상 프로젝트 상생성 부문’ 수상
  • 2025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전년대비 상승한 5.28대 1 기록
  • 2025년 'AI스마트교육센터' 개소
  • 2025년 고용노동부 주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에서 8년 연속 ‘우수’ 등급 획득
  • 2025년 영남대,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11년 연속 정부 인증
  • 2025년 영남대학교-우즈베키스탄 제약기술대학교, 인적 교류 및 교육ㆍ연구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 체결
  • 2025년 영남대학교 2008년 대학정보공시제도 시행 이후, 17년만에 신입생 등록률 100% 달성
  • 2025년 영남대 RISE 사업 7개 과제 선정, 경북권 최대 규모 525억 원 규모 사업비 확보
  • 2025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43회 회장기 전국레슬링대회 단체 종합우승 쾌거
  • 2025년 영남대학교-몽골국립문화예술대학교, 음악 예술 교육의 발전과 공동 연구를 위해 교류 협약 체결
  • 2025년 영남대 레슬링부, 헤럴드경제·코리아헤럴드배 전국레슬링대회 석권
  • 2025년 영남대-한국행정연구원, 선진국 시대 국제개발협력사업 공동 기획 및 추진 위해 상호 교류 및 협력협약 체결
  • 2025년 영남대-한국뇌연구원, 뇌과학 기반 협력 위한 업무협약
  • 2025년 개교 78주년 개교기념식 개최
  • 2025년 영남대, 대구ㆍ경북 최다 ‘2025 국가직 지역인재 7급’ 배출
  • 2025년 영남대-한국경제인협회 국제경영원, 청년취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2025년 영남대, 교육부 ‘2025~202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Remove ads

개설 학과·전공

2017년 3월 현재 영남대학교는 광활한 캠퍼스 위에 다양한 부속기관과 각종 연구소 및 최첨단의 영남대학교 의료원 및 영천병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부의 19개 단과대학(야간강좌개설부 포함), 68개 학부(과), 12개 대학원을 갖춘 사립대학으로 성장하고 있다.

2017학년도 3월 1일자로 영남대학교는 학부에 문과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기계IT대학, 법과대학, 정치행정대학, 상경대학, 경영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생명응용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사범대학, 디자인미술대학, 음악대학, 야간강좌개설부, 기초교육대학, 건축학부, 국제학부를, 대학원에 일반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경영대학원, 환경보건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공학대학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스포츠과학대학원, 임상약학대학원, 박정희새마을대학원을 두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의료원, 도서관, 박물관, 신문방송사, 정보전산원, 건강관리센터, 출판부, 생활관, 고시원, 외국어교육원, 공학교육혁신센터, 천마아트센터, 한국어교육원, 실험동물센터가 있고, 그 외에 부설기관으로 43개의 연구소와 사회교육원, 다문화교육연구원, 영남아메리칸센터 등이 있다.

부설 연구기관

  • 인문과학연구소
  • 기초과학연구소
  • 공업기술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소
  • 자원문제연구소
  • 민족문화연구소
  • 통일문제연구소
  • 환경문제연구소
  • 산․경연구소
  • 의과학연구소
  • 노인학연구소
  • 스포츠과학연구소
  • 약품개발연구소
  • 법학연구소
  • 정보통신연구소
  • 생명공학연구소
  • 장류연구소
  • 조형연구소
  • 학교교육연구소
  • 창업․중소기업경영지원센터
  • 한우연구소
  • 기계기술연구소
  • 방재연구소
  • 생활과학연구소
  • 통계연구소
  • 재료기술연구소
  • 청정기술연구소
  • 광나노기술연구소
  • 중국연구센터
  • 국어문화연구소
  • 농촌개발연구소
  • 독도연구소
  • 섬유패션소재지역협력연구소
  • 건축연구소, 태양에너지연구소
  • 박정희새마을연구원
  • 사이버감성연구소
  • 한국균형발전연구소
  • 단백질센서연구소
  • 한자문화연구소
  • 한국군사문제연구소
  • 고등교육정책연구소
  • 세포배양연구소

부설 교육기관

  • 사회교육원
  • 다문화교육연구원
  • 영남아메리칸센터
Thumb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부속 기관

  • 의료원
  • 도서관
  • 박물관
  • 신문방송사
  • 정보전산원
  • 건강관리센터
  • 출판부
  • 생활관
  • 고시원
  • 외국어교육원
  • 공학교육혁신센터
  • 천마아트센터
  • 한국어교육원
  • 실험동물센터

주요 학생 단체

총학생회

학교 당국과 학생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학생자치기구이다. 총학생회,중앙감사위원회, 대학원총학생회, 총동아리연합회 및 각 단과대 학생회로 구성된다.[16]

동아리

다양한 문화 및 사회봉사 등을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자발적인 사회경험과 친목을 쌓을 수 있는 활동 단체이다. 현지조사연구회, 천마극단, 천마응원단, 상문독서토론회, 탐험대, 산악회 등 90여개의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다.[17]

지킴이

영남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학생자치 야간규찰대이다. 교내 야간순찰을 강화하여 건전한 대학문화 정착과 면학분위기 조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2012년 2학기 현재, 영대지킴이 제30기가 활동하고 있다. 1명의 대장과 20명의 조원 총 2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학기 학교 축제나 행사등에 안전적인 진행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매학기 시작전, 야간 규찰대 모집을 하며, 학교 행정인턴쉽 장학생으로 신청을 한다.

운동부

영남대학교에는 야구, 축구, 유도, 씨름, 레슬링, 육상 등 6개의 운동부가 활동하고 있다. 각 운동부에서 배출한 많은 선수들이 국가대표 등으로 발탁되어 각종 국제대회에서 국위를 선양하고 학교의 명예를 높인 바 있다.[18]

학생홍보대사

1996년 12월 제1기를 시작으로 현재 29기째(2024년)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학생홍보대사는 On/Off-line으로 영남대학교를 대표하는 얼굴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2011년 영남대학교 학생홍보대사 영대사랑은 학생들의 아이디어로 제작한 학교 로고송 보관됨 2017-02-06 - 웨이백 머신 을 제작하여 화제가 되었다.[19]

Remove ads

동문

총동창회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이 합병하여 영남대학교로 발족함에 따라 양 대학의 동창회가 통합하여 이루어진 기구이다. 그 결과 1972년 전국대학동창회 중 최초로 회관건물을 갖게 되었으며, 1995년 완료된 동문명단 전산화 작업은 파악된 모든 동문(전국 최다)에게 동창회보를 발송하는 최초의 동창회가 되게 하였다. 서울, 부산, 마산, 창원, 제주 등 27곳에 동창회지부가 조직되어 있고, 뉴욕, 남가주, 시카고, 워싱턴 D.C., 미국동남부, 인도네시아, 벤쿠버, 토론토, 영국 등 9곳의 해외지부도 결속되어 있다. 또 단과대학별⦁학과별⦁직장별 등의 동창회도 결성되어 있다. 이처럼 동문 상호간의 친목과 우의를 도모하면서 영대인의 긍지를 한껏 자랑하고 있는데, 재단법인 <영대동창장학회>를 설립하여 모교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20]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