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도축산면 도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盈德 務安朴氏 武毅公派 宗宅)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다. 2016년 4월 27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로 지정되었다.[2]
Remove ads
개요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은 영덕군 도곡마을(가마골)에서 뒤편의 야산을 배경으로 전면에 들이 펼쳐진 지점에 남향으로 입지하며,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박의장의 아들 박선이 형인 박유를 위하여 1644년에 초창하였다.[2]
17세기 이후부터 나타나는 안마당의 확장과 사랑채의 돌출, 사당 공간의 높은 독립성 등 배치 유형, 지역의 토착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안채와 사랑채의 공간구성 등에서 17세기 사대부 주거건축 정체와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안채 창문 중간의 설주 흔적이나 사랑 대청의 파련대공 등에서 조선 중기의 건축 기법이 나타난다.[2]
집안과 관계된 문헌자료가 잘 보존되어 있고, 민속적 제례행위가 지속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으며, 문중의 대소사를 이 종택에서 논의하고 문중의 결속을 다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활용되는 등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2]
Remove ads
같이 보기
- 영덕 초수재사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26호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