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원한 적들의 더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원한 적들의 더비(그리스어: Ντέρμπι των αιωνίων αντιπάλων)는 모든 전투의 어머니(그리스어: Μητέρα των μαχών) 로도 알려진 그리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두 축구 클럽들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간의 아테네 수도권 지역 더비 경기이다. 두 클럽과 두 팬들간의 관계는 치열하며, 그에 따라, 이 더비는 그리스 수도권은 물론 그리스 전국의 가장 명성높으며 전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고전 더비가 되었다.[1][2]

간략 정보 정보, 다른 이름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문화적 구도

그리스의 가장 성공적인 두 클럽들 간의 라이벌 구도는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지역적 차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908년에 창단된 파나티나이코스아테네 중심을 연고로 하며, 전형적인 그리스 수도의 상류층을 상징했다. 한편, 1925년에 창단된 올림피아코스는 아테네 수도권의 항구 도시인 피레아스를 연고로 해, 인근 노동층 지역의 지지를 받는다. 두 도시 모두 고전 고대의 유서 깊은 도시로 그리스 역사상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도시들이다. 아테네는 고대 그리스 문명의 요람으로 불리며, 피레아스의 전략적 잠재성을 이점으로 삼아 이후에 하나의 지역으로 묶이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아테네에 가파른 인구상승과 구역 확장을 통해 피레아스를 포함한 인근 지역을 편입하여 하나의 큰 수도권을 형성했다.

연고지에 따른 두 클럽 지지자들의 계층 차이는 두 팬들간의 적개심에 더욱 불을 붙였다. 올림피아코스는 초반에 거둔 성공으로 피레아스인들이 파나티나이코스 지지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류층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큰 대리 만족을 느끼게 했다. 더 나아가서,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 전국의 팬들을 모아 자신들을 사회 및 정치적 불이익의 희생양이라는 생각에 빠지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구도는 과거로 한정되 있었는데, 두 클럽간 수년 동안 분리시켰던 사회적 격차가 시간이 지나면서 옅어졌다. 현재, 두 클럽의 팬층은 모든 사회 계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팬들간의 구도

올림피아코스와 파나티나이코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들로, 두 팀 모두 국내 경기와 국제 경기에서 팀을 추종하는 대규모의 팬층이 존재한다. 두 팀들 사이어 축구 훌리건이 최근에 매우 흔히 발생하며, 이 행위는 좌석 부수기, 싸우기, 폭죽 터뜨리기, 거리 난동부리기로 나타난다.[3] 두 클럽들 간의 증오감이 매우 강해서 수 많은 폭력 사태가 아테네 수도권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였는데, 특히 더비 경기 전후로 이 현상이 두드러졌다. 2007년 3월 29일, 22세의 파나티나이코스 팬인 미할리스 필로풀로스가 아테네 근교의 마을이자 그날 올림피아코스와 파나티나이코스 간의 여자 배구 경기가 계획되었던 파이아니아에서 경기 전 두 클럽들간의 훌리건 패싸움 도중 칼에 찔려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이 사태는 그리스 전국의 분노를 샀고, 대규모 경찰 수사가 서포터들 사이에서 진행되었으며, 그리스의 모든 체육 활동이 2주간 정지되었다.[4][5]

축구 라이벌 구도

두 클럽은 서로 우승컵을 놓고 싸우는 클럽들로, 국내 최고의 성공적인 축구 클럽의 지위를 지니며, 전체적으로 그리스 최고의 클럽으로 손꼽힌다. 두 클럽 모두 축구부가 항상 팬들로부터 가장 인기를 많이 끌었고, 처음 맞대결을 할때부터 서로 적개심을 가지게 되었으나, 두 클럽간의 라이벌 구도는 농구, 배구, 그리고 수구로도 확장이 된다. 국내에서, 올림피아코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으로 총 41개의 우승 트로피를 획득한 파나티나이코스와 크게 대조되게 71개의 공식 우승컵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대 전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한편, 파나티나이코스는 유럽대항전에서 더 좋은 성적을 냈다. (아직 유러피언컵 우승을 거둔 그리스 팀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의 최고 업적은 8강에 1998-99 시즌에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한차례 8강에 오르고, 컵위너스컵에서도 1992-93 시즌에 8강에 멈춘 것에 대비했을 때 1971 유러피언컵 결승전에 진출하고, UEFA 챔피언스리그 4강도 2번 (1984-85 시즌, 1995-96 시즌) 진출했고, 같은 대회에서 두번 또 (1991-92 시즌, 2001-02 시즌) 8강으로 올라갔다.

양팀 수상 실적

자세한 정보 수상, 대회 ...
Remove ads

통계

역대 전적

자세한 정보 올림피아코스 승, 무승부 ...

기록

  • 알파 에트니키 출범 이전 최다 점수차 승리
  • 알파 에트니키 출범 이후 최다 점수차 승리
  • 컵 최다 점수차 승리
  • 알파 에트니키 최다 연승 행진
    • 올림피아코스: 5승, 1996년 12월 8일 – 1999년 5월 8일
      • 홈: 4승, 1966년 2월 5일 – 1970년 5월 11일
      • 원정: 3승, 1997년 4월 6일 – 1999년 11월 21일
    • 파나티나이코스: 3승, 1977년 4월 11일 – 1978년 12월 31일
      • 홈: 2승, 1977년 4월 11일 – 1978년 2월 12일
      • 원정: 2승, 1970년 5월 11일 – 1972년 2월 20일
  • 컵 최다 연승 행진
    • 올림피아코스: 3승, 1965년 7월 14일 – 1969년 7월 9일, 1953년 5월 3일 – 1960년 8월 7일
      • 홈: 6승, 1939년 3월 26일 – 1969년 7월 9일
      • 원정: 2승, 1966년 6월 26일 – 1968년 7월 21일, 1995년 2월 22일 – 현재
    • 파나티나이코스: 3승, 1977년 6월 8일 – 1983년 4월 13일, 1985년 2월 6일 – 1988년 5월 8일
      • 홈: 4승, 1977년 6월 8일 – 1990년 4월 4일
      • 원정: 1승
  • 알파 에트니키 최다 무패 행진
    • 올림피아코스: 11경기, 1980년 5월 11일 – 1985년 11월 7일
      • 홈: 10경기, 1996년 12월 8일 – 2007년 3월 4일
      • 원정: 8경기, 1980년 11월 2일 – 1988년 11월 6일
    • 파나티나이코스: 7경기, 1987년 11월 8일 – 1991년 3월 10일
      • 홈: 7경기, 1960년 2월 14일 – 1966년 11월 6일
      • 원정: 5경기, 1987년 11월 8일 – 1992년 12월 13일
  • 컵 최다 무패 행진
    • 올림피아코스: 18경기, 1932년 11월 13일 – 1977년 6월 8일
      • 홈: 10경기, 1965년 7월 14일 – 1985년 2월 20일
      • 원정: 8경기, 1932년 11월 13일 – 1977년 6월 8일
    • 파나티나이코스: 4경기, 1985년 2월 6일 – 1990년 3월 22일
      • 홈: 7경기, 1977년 6월 8일 – 1995년 2월 22일
      • 원정: 3경기, 1992년 3월 11일 – 2008년 1월 16일
  • 역대 관중 기록(스피로스 루이스)
    • 74,452 올림피아코스 – 파나티나이코스 (0–0), 1984년 11월 18일
    • 74,252 올림피아코스 – 파나티나이코스 (2–1), 1987년 2월 16일
    • 74,146 파나티나이코스 – 올림피아코스 (1–1), 1985년 3월 31일
    • 73,700 파나티나이코스 – 올림피아코스 (1–2), 1986년 3월 16일
    • 73,525 파나티나이코스 – 올림피아코스 (1–1), 1986년 9월 20일
Remove ads

역대 경기 기록

요약
관점

1959-60 시즌 이후 리그

자세한 정보 올림피아코스 – 파나티나이코스, 파나티나이코스 – 올림피아코스 ...

1 경기가 3-2의 상황에서 82분에 중단되었다. 이후, 올림피아코스가 2-0 몰수승을 거두었다.
2 경기가 0-1의 상황에서 82분에 중단되었다. 이후, 올림피아코스가 0-3 몰수승을 거두었다.

우승 플레이오프 경기

시즌
날짜
경기장
관중수
결과
1981–82 1982년 6월 29일 볼로스 시립 경기장 5,819 2–1

그리스 컵

시즌
라운드
회차
날짜
경기장
주심
관중수
경기
결과
승리팀
1932–33 8강 1932년 11월 13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미상 미상 PAO – OCFP 1–6 OCFP
1938–39 8강 1939년 3월 26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일리아디스 미상 OCFP – PAO 2–0(aet) OCFP
1946–47 16강 1947년 3월 9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그리스 일리아디스 12,341 PAO – OCFP 0–0(aet) OCFP
재경기 1947년 4월 30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OCFP – PAO 2–0(w.) 1
1952–53 4강 1953년 5월 3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그리스 기코풀로스 미상 PAO – OCFP 1–2 OCFP
1956–57 4강 1957년 9월 4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네덜란드 호른 미상 OCFP – PAO 1–0 OCFP
1957–58 4강 1958년 7월 20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포르투갈 구베이아 미상 OCFP – PAO 3–0 OCFP
1959–60 결승전 1960년 8월 7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스페인 페레스 미상 PAO – OCFP 1–1(aet) OCFP
재경기 1960년 9월 11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스페인 페레스 미상 OCFP – PAO 3–0
1961–62 결승전 1962년 6월 27일 니코스 구마스 경기장 스위스 메예 28,155 OCFP – PAO 0–0(aet; ab.)
1962–63 8강 1963년 6월 16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서독 크라이틀라인 미상 PAO – OCFP 3–5 OCFP
1963–64 4강 1964년 6월 17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네덜란드 마턴스 미상 PAO – OCFP 1–1(aet; ab.)
1964–65 결승전 1965년 7월 14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이탈리아 피에로니 미상 OCFP – PAO 1–0 OCFP
1965–66 8강 1966년 6월 26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잉글랜드 다냘 23,227 PAO – OCFP 1–2 OCFP
1967–68 결승전 1968년 7월 21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루마니아 벤투 22,318 PAO – OCFP 0–1 OCFP
1968–69 결승전 1969년 7월 9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미하스 미상 OCFP – PAO 1–1(aet; c.t.) PAO
1973–74 4강 1974년 5월 8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프랑스 들로나이 미상 OCFP – PAO 1–0 OCFP
1974–75 결승전 1975년 6월 18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이탈리아 메네갈리 34,430 OCFP – PAO 1–0 OCFP
1976–77 4강 1977년 6월 8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그리스 콜리로풀로스 미상 PAO – OCFP 2–1(aet) PAO
1981–82 32강 1982년 1월 13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그리스 데데스 24,000 PAO – OCFP 3–2(aet) PAO
1982–83 16강 1차전 1983년 3월 9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그리스 푸나르치스 24,000 PAO – OCFP 1–0 OCFP
2차전 1983년 4월 13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카나리스 35,326 OCFP – PAO 4–0(aet)
1984–85 16강 1차전 1985년 2월 6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란드라키스 72,033 OCFP – PAO 0–1 PAO
2차전 1985년 2월 20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바사라스 72,445 PAO – OCFP 2–1
1985–86 결승전 1986년 5월 28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디미트리아디스 72,948 PAO – OCFP 4–0 PAO
1987–88 결승전 1988년 5월 8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부차라스 73,375 PAO – OCFP 2–2(aet; 4–3 pso) PAO
1989–90 4강 1차전 1990년 3월 21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니카키스 13,846 OCFP – PAO 2–1 OCFP
2차전 1990년 4월 4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쿠쿨라스 36,863 PAO – OCFP 3–3(aet)
1991–92 8강 1차전 1992년 3월 11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자케스티디스 23,622 OCFP – PAO 0–0 OCFP
2차전 1992년 4월 8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쿠쿨라스 52,983 PAO – OCFP 1–1(a)
1992–93 결승전 1993년 5월 12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비카스 64,532 PAO – OCFP 1–0 PAO
1994–95 8강 1차전 1995년 2월 22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니카키스 37,529 PAO – OCFP 1–2 PAO
2차전 1995년 3월 1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니카키스 17,226 OCFP – PAO 2–3(a)
1998–99 결승전 1999년 5월 5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두로스 57,783 OCFP – PAO 2–0 OCFP
2000–01 8강 1차전 2001년 2월 7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차가라키스 42,845 OCFP – PAO 1–1 OCFP
2차전 2001년 3월 21일 아포스톨로스 니콜라이디스 경기장 그리스 브리아코스 12,759 PAO – OCFP 1–4
2003–04 결승전 2004년 5월 8일 네아 스미르니 경기장 그리스 카스나페리스 7,500 PAO – OCFP 3–1 PAO
2007–08 16강 2008년 1월 16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카코스 30,147 OCFP – PAO 4–0 OCFP

1 파나티나이코스는 징계 중인 선수를 출전 시킨 것으로 불참 처리되었다.
• 다음 라운드 통과: 올림피아코스 19회, 파나티나이코스 9회

그리스 리그컵

시즌
라운드
회차
날짜
경기장
주심
관중수
경기
결과
승리팀
1989–90 4강 1차전 1990년 5월 9일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그리스 디미트리아디스 8,965 OCFP – PAO 1–1 OCFP
2차전 1990년 5월 23일 스피로스 루이스 그리스 바실라키스 9,371 PAO – OCFP 2–2(a)

• 다음 라운드 통과: 올림피아코스 1회, 파나티나이코스 0회

Remove ads

최다 득점자

자세한 정보 올림피아코스, 리그 ...

1 리그컵 경기 포함.

페널티킥 기록

요약
관점

1959-60 시즌 이후의 알파 에트니키 / 수페르리가 엘라다, 그리스 컵, 그리고 리그컵 경기 포함.

자세한 정보 시즌, 경기 ...
Remove ads

레드카드 기록

요약
관점

1959-60 시즌 이후의 알파 에트니키 / 수페르리가 엘라다, 그리스 컵, 그리고 리그컵 경기 포함.

자세한 정보 시즌, 경기 ...
Remove ads

1959-60 시즌 이후 리그 역대 성적 비교

요약
관점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4 4 4 4 4
5 5 5 5 5 5 5 5
6 6 6
7 7
8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합산: 올림피아코스 성적이 31시즌 더 우수, 파나티나이코스 성적이 24시즌 더 우수.

Remove ads

양팀을 모두 거친 인물

올림피아코스에서 파나티나이코스

  • 그리스 코스타스 파파조글루
  • 그리스 이오안니스 프란치스
  • 그리스 게오르요스 카푸라니스
  • 그리스 게오르요스 델리카리스
  • 그리스 엘레프테리오스 푸파키스
  • 그리스 니코스 사르가니스
  • 그리스 이오안니스 키라스타스
  • 그리스 마이크 갈라코스
  • 그리스 니코스 밤바쿨라스
  • 그리스 스트라토스 아포스톨라키스
  • 그리스 타소스 미트로풀로스
  • 아르헨티나 세바스티안 레토

파나티나이코스에서 올림피아코스

두 팀 지휘봉을 모두 잡아본 감독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스톄판 보베크
  • 그리스 라키스 페트로풀로스
  • 폴란드 카지미에르시 구르스키
  • 오스트리아 헬무트 제네코비치
  • 폴란드 야체크 모흐

같이 보기

  • 영원한 적들의 더비 (농구)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