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한사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한사전(英韓辭典)은 영어한국어로 풀이한 사전이다.

역사

최초의 영한사전 및 한영사전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집필한 "한영ᄌᆞ뎐" 및 "영한ᄌᆞ뎐"으로 1890년 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1] 이 사전은 처음에는 한영, 영한을 분리하여 간행되었다가 후에 합본되었다.[2] 한영편은 197면, 영한편은 97면으로 간략한 분량이었다.[3] 두 번째 영한사전은 1891년 제임스 스코트가 서울에서 낸 《English-Corean Dictionary》이며, 1914년 조지 하버 존스가 도쿄에서 낸 《An English Korean Dictionary》도 초창기의 영한사전이다.[1]

한편 서재필이 한국인 최초로 영한사전을 쓰려 했지만 미완성으로 끝났으며,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 류형기 목사가 《신생영한사전》(1946),《신생한영사전》(1947)을 펴낸다. 이후 이양하, 권중휘가 《스쿨영한사전》(1949, 850면), 《포켓영한사전》(1954, 1366면)을 펴냈다. 그리고 이외에《제네랄 콘사이스 英韓辭典》(1954,영어연구회,理想社)[4],《스타영한사전》(1957,영어연구회,이상사)이 있었으며[5], 민중서관의 《포켓영한사전》은 1950, 60년대에 가장 대표적인 영한사전이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영어사전은 《영조소사전》(1961)이며, 이어 《영조사전》(1972), 《영조대사전》(2002)이 나왔다. 《영조대사전》은 25만 표제어를 3천여 쪽에 걸쳐 싣고 있으며, 한자를 완전히 배제한 것이 특징이다. 《조영대사전》은 2002년에 출판되었다.[1]

Remove ads

종류

현재 대한민국에서 구할 수 있는 중사전만 표시하였다.

자세한 정보 사전명, 출판사 ...
Remove ads

영영한사전

  • 롱맨 영영한사전 (2판, 금성출판사)
  • 옥스퍼드 영영한사전 (교학사)
  • 엣센스 영영한사전 (민중서림)
  • 프라임 영영한사전 (두산동아)
  • 콜린스 코빌드 영영한사전
  • Merriam-Webster CORE Dictionary (현대영어사 윤선생영어교실, 2012년 발행)

온라인 영어사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