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예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예부(禮部)는 육부의 한 부서로 예의 및 음악과 제사 및 연회와 외교, 교육과 과거에 대한 사항을 담당하던 부서이다. 부서 장관은 예부상서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기부터 신해혁명 시기까지 존재하였으며, 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에 설치되어 조선시대 무렵에 예조로 교체되었다.

고려

  • 사의서(司儀署) : 고려시대 의례의 진행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1]
    • 봉선고(奉先庫) : 선왕(先王)과 선후(先后)의 제사때[2] 사용하는 제기(祭器)와 여러 에 보낼 제수를 두던 창고[3]
    • 혜민국 : 백성의 질병을 고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4]
    • 앙암사 : 태조 왕건이 지정한 원찰.[5]
    • 갈양사 : 고려 왕실의 원찰.
    • 봉업사 : 태조의 진영을 봉안.
    • 평나산 : 국조 계 설화[6]에서 산신제 제당이 위치한 산[7]
    • 소도독사 : 춘추로 향축을 내려 치제한 당나라 소정방의 사당.[8]

고려는 주요 섬들에 외교관 신분인 사신이나 상업을 위한 편의 시설을 갖추어 놓고 해로의 거점으로 활용하였다.[11]

  • 제포궁, 풍포관 : 강화도 승천포구에 원나라의 사신을 맞이하는 궁궐, 사신들의 숙소[12]
  • 사신관 : 교동도 남산포구에 사신들의 객관
  • 경원정 : 자연도(지금의 영종도)에 있던 송나라 사신을 영접한 객관[11]
  • 안흥정 : 태안 마도에 있던 송나라 사신을 영접한 객관[11]
  • 군산정 : 군산도(지금의 선유도)에 있던 송나라 사신을 영접한 객관[11]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