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공신회맹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오공신회맹축
Remove ads

오공신회맹축(五功臣會盟軸)은 조선시대의 회맹문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7호이다.

간략 정보

개요

《오공신회맹축》은 조선 세조 2년(1456) 11월 14일에 왕세자와 개국공신(開國功臣)·정사공신(定社功臣)·좌명공신(佐命功臣)의 친자식과 맏아들의 자손들, 정난공신(靖難功臣)·좌익공신(佐翼功臣)과 그 자식들이 북단에 모여 동맹할 때 작성한 회맹문이다.

개국공신은 조선 태조 이성계를 도와서 나라를 세우는 데 공로가 있는 정도전 등 43명에게 내린 공훈이고, 정사공신은 태조 7년(1398)에 일어난 제1차 왕자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제2대 정종 때 의안대군 등 17명에게 내린 공훈이며, 좌명공신은 제2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이 태종으로 왕위에 오르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로서 태종 1년(1401)에 46명에게 내린 공훈이다. 정난공신은 수양대군과 한명회 등이 주동하여 황보인·김종서 등의 무리를 죽이고, 그들이 반역을 모의하였다고 모함한 사건이 일어낫을 때 단종이 김종서 등을 죽이는 데 공을 세운 43명에게 준 공훈이다. 좌익공신은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세조로 왕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들로서 세조 1년(1455)에 모두 44명에게 내린 공훈이다.

이 공신록의 내용은 오공신과 그 자손에게 내려준 나라의 은혜를 잊지 말고 동심협력하여 국은을 갚기에 힘쓸 것과 왕에게 충성을 다하고 공신 자손간에도 단결하고 협력할 것을 신명에 맹세한 것이다.

이 공신록의 크기는 세로 54cm, 길이 620cm의 두루마리로 되어 있는데, 앞부분 약 4.5행(88자)이 훼손, 탈락되어 있다. 탈락된 내용은 《세조실록》(世祖實錄)에 실려 있어 복원할 수 있었다.

이 문서의 맨 앞부분에는 199자로 된 회맹문이 있고, 바로 이어 회맹에 참가한 왕자와 공신 자손의 군호·공신호·직함·성명과 수결이 있다. 양녕대군을 포함한 3대군과 9군, 226명의 공신 이름이 기재되어 있으며 178명이 수결을 하였다.

이 문서는 현존하는 공신회맹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서, 당시 오공신과 그 자손들의 동향 및 조선 초기의 정치인물들을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Remove ads

외부 링크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