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래된 신문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최초의 신문은 1605년 신성로마제국 슈트라스부르크에서 발행된 『렐라티온 알러 퓌르네멘 운트 게덴크뷔르디겐 히스토리엔』이다. 여기서 신문이라 함은 다음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인쇄매체를 말한다.[1]
- 대중성(Publicity): 일반 대중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정기성(Periodicity):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행되어야 한다.
- 시의성(Currentness): 발행시기 기준 최신의 정보를 다루어야 한다.
- 범용성(Universality): 다양한 주제를 두루 다루어야 한다.
17세기
자세한 정보 연도, 실물 ...
연도 | 실물 | 제호 | 언어 | 발행처 | 비고 |
---|---|---|---|---|---|
1605년[2] | ![]() |
『렐라티온 알러 퓌르네멘 운트 게덴크뷔르디겐 히스토리엔』 Relation aller Fürnemmen und gedenckwürdigen Historien →모든 고상하고 기억할 만한 내력들의 보고 |
독일어 | 신성로마제국 슈트라스부르크 | 요한 카롤루스가 발행. 세계 최초의 주간지.[3] |
1609년[2] | ![]() |
『아피자 렐라티온 오더 차이퉁』 Avisa Relation oder Zeitung →아피자 보고 혹은 신문 |
독일어 | 신성로마제국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국 볼펜뷔텔 | |
1610년[2] | ![]() |
제호 불명 | 독일어 | 신성로마제국 스위스 바젤 | |
1615년[2] | ![]() |
제호 불명 | 독일어 | 신성로마제국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
1617년[2] | ![]() |
제호 불명 | 독일어 | 신성로마제국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베를린 | |
1618년[2] | ![]() |
『쿠란터 외위트 이탈리엔, 두위칠란트 엣 체테라』 Courante uyt Italien, Duytslandt, &c.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 공화국 홀란트 백국 암스테르담 | 사절판 대신 이절판을 사용한 최초의 브로드시트. 1664년 폐간. |
1618년 | ![]() |
『뵈헨틀리헤 차이퉁 아우스 만헐라이 오르텐]]』 Wöchentliche Zeitung aus mancherley Orten |
독일어 | 폴란드 왕국 그단스크 | 폴란드 최고(古)의 신문. 1652년 폐간. |
1620년 | ![]() |
『니우어 테이딩건』 Nieuwe Tijdinghen |
네덜란드어 | 신성로마제국 남네덜란드 안트베르펀 | 1629년 폐간 |
1631년[4][5] | ![]() |
『라 가제트』 La Gazette |
프랑스어 | 프랑스 왕국 파리 | 최초의 프랑스어 신문, 프랑스 최초의 주간지. 1915년 9월 30일 폐간.[4] |
1639년 | ![]() |
『제노바』 Genova |
이탈리아어 | 신성로마제국 제노바 공화국 제노바 | 1649년 폐간. 이탈리아 최고의 신문.[6] |
1640년[7] | ![]() |
『밀라노』 Milano |
이탈리아어 | 신성로마제국 밀라노 공국 밀라노 | 1768년 폐간 |
1642년[8] | ![]() |
『제노바』 Genova |
이탈리아어 | 신성로마제국 제노바 공화국 제노바 | 1684년 폐간 |
1642년[7] | ![]() |
『볼로냐』 Bologna |
이탈리아어 | 교황령 볼로냐 | 1787년 폐간 |
1645년[9][10] | ![]() |
『가제타 엠 퀘 세 렐라탐 아스 누바스 퀘 후베 네스타 에 퀘 비에람 데 바리아스 파르테스』 Gazeta em Que Se Relatam as Novas Que Houve Nesta e Que vieram de Várias Partes |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 최초의 포르투갈어 신문 |
1645년 | ![]() |
『오르디나리 포스트 티덴데르』 Ordinari Post Tijdender |
스웨덴어 | 스웨덴 왕국 스톡홀름 | 현재도 발행되는 신문들 중 가장 오래된 신문. 2007년 이후로는 온라인 발행만 함.[11] |
1650년 | ![]() |
『아인코멘데 차이퉁겐』 Einkommende Zeitungen |
독일어 | 신성로마제국 작센 선제후국 라이프치히 | 최초의 일간지. 티모테우스 리치슈가 발행.[12] |
1656년[13] | ![]() |
『베켈뤼커 쿠란터 판 에우로파』 Weeckelycke Courante van Europa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 공화국 홀란트 백국 하를럼 | 1664년 『오프러흐터 하를럼셔 쿠란트』(Oprechte Haerlemsche Courant)로 제호 변경. 1942년 『하를럼스 다그블라드』에 합병되어 현재까지 발행 중. |
1661년[14] | ![]() |
『라 가제타』 La Gazeta |
에스파냐어 | 에스파냐 왕국 마드리드 | 2008년 12월까지 현존하는 인쇄판 신문 중 가장 오래된 신문. 2009년부터는 온라인 발행만 하고 있음. |
1661년[13] | ![]() |
『메르쿠리우스 폴스키 오르디나리니』 Merkuriusz Polski Ordynaryjny |
폴란드어 |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 크라쿠프 | 1661년 5월 바르샤바로 이전. 1661년 7월 22일 폐간. |
1664년[15][16] | ![]() |
『가제타 디 만토바』 Gazzetta di Mantova |
이탈리아어 | 신성로마제국 만토바 공국 만토바 | |
1665년[17] | ![]() |
『옥스포드 가제트』 Oxford Gazette |
영어 | 잉글랜드 왕국 옥스포드 | 1666년 런던으로 이전, 『런던 가제트』로 제호 변경,[18] 이 이름으로 현재까지 발행 중. |
1666년 | ![]() |
『덴 단스케 메르쿠리우스』 Den Danske Mercurius |
덴마크어 | 덴마크-노르웨이 동군연합 코펜하겐 | |
1674년 | ![]() |
『오르디나리 보헨차이퉁』 Ordinari Wochen-Zeitung |
독일어 | 구스위스 연방 취리히 | 제호 변경의 역사: 『프라이테글리헤 보헨차이퉁』(Freytägliche Wochenzeitung, 1710년), 『보헨틀리헤 프라이탁스차이퉁』(Wochentliche Freytags-Zeitung, 1774년), 『취르허 차이퉁』(Zürcher Zeitung, 1784년–98년), 『취리허 프라이탁스차이퉁』(Züricher Freitags-Zeitung, −1853년), 『취르헤리셰 프라이탁스차이퉁』(Zürcherische Freitagszeitung, −1914년)[19] |
1675년 | ![]() |
『오르디나리 프라이탁스 포스트차이퉁』 Ordinari Freytags Post-Zeitung |
독일어 | 스웨덴 왕국 에스토니아 공국 레팔 | 오늘날의 발트 3국 지역 최초의 신문. 1677년 『오르디나리 도네르스탁스 포스트차이퉁』(Ordinari Donnerstags Post-Zeitung)으로 개칭. 1678년 폐간. |
1677년[20] | ![]() |
『모도나』 Modona |
이탈리아어 | 신성로마제국 모데나 공국 모데나 | 1677년부터 1701년까지 데메트리오 데그니가 발행. |
1686년 | ![]() |
『디에 쿠란텐』 Die Kuranten |
이디시어 | 네덜란드 공화국 암스테르담 | 격주간지. 최초의 이디시어 신문. 1687년 절판. |
1690년 | ![]() |
『베로스 워체스터 저널』 Berrow's Worcester Journal |
영어 | 잉글랜드 왕국 워체스터 | 현재도 발행 중. 현존하는 최고의 신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음. |
닫기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