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390~290만 년전 멸종된 화석 고인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학명 : Australopithecus afarensis)는 멸종된 사람족 종으로, 현재에는 뼈 화석이 발견되어 있다. 약 390만 년전부터 290만 년전까지 지구 상에 생존했다. 많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의 종과 현존하는 사람속(Homo)의 공통 조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간략 정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생물 분류ℹ️ ...
Thumb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Thumb
루시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상과: 사람상과
과: 사람과
아과: 사람아과
족: 사람족
속: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종: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A. Afarensis)
학명
Australopithecus Afarensis
[출처 필요]
닫기

대표적인 화석들

아파렌시스의 화석은 여러 개체가 발견되었으나, 가장 잘 알려진 화석은 루시(Lucy)라는 이름의 화석이다. 1974년, 에티오피아의 아파르 지역에서 고인류학자 도널드 조핸슨이 이끄는 탐사 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밤에 쉴 때 조사단 캠프에서 테이프레코더로 자주 틀며 감상하던 곡인 비틀즈의 노래 '루시 인 더 스카이 위스 다이아몬드'(Lucy in the Sky with Diamonds)의 제목에서 따와서 '루시'라는 이름을 붙여주게 되었던 것이다. 이 화석은 직립보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인간의 조상이다. 루시의 발견으로 직립보행을 가능하게 한 요인이 두뇌 발달이 아니라, 도구제작능력이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 루시의 유골이 온전한 상태로 발굴되자 340~290만 년 전에 초기 인류가 직립보행을 했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없이 명확해졌다.[1]

직립보행

대표적인 화석중 하나인 루시(Lucy)의 앞발, 혹은 손에는 앞서 나타난 인류의 직계 조상들의 주먹보행의 흔적이 남아있지만 루시 자체는 명백한 직립보행을 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인류의 직계 계통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2][3]

루머

루시가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을 때에는 창조주의를 주장하는 사이비과학 반과학 운동가들에 의해 무릎뼈가 2-3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거나 루시가 주먹보행을 했다는 루머가 퍼진 적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며, 이들이 인용한 논문들에서는 루시가 직립보행을 했음을 이야기 했으며, 뼈의 발견 위치 역시 동일한 곳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이는 전부 루머로 밝혀졌다.[4]

루시의 유골은 완벽한 무릎뼈를 가지고 있지 않다. 루시와는 다른 개체의 다른 화석이 이곳으로부터 2-3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던 것을 가지고 이 두가지 화석을 혼동해 이러한 잘못된 주장을 하는 것이다.[5]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