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남자 단식 우승자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역대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남자 단식 우승자들의 목록이다.

역사

호주 오픈 남자 단식 대회는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와 헤이스팅스, 호주퍼스,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시드니, 멜버른에서 개최된 바 있다. 대회는 매년 개최 도시를 바꾸다가 1972년 멜버른에 정착하였으며, 1988년까지는 쿠용 스타디움에서 열렸고 이후 멜버른 파크로 무대를 옮겼다.

코트 표면은 1988년 잔디 코트에서 하드코트로 한 차례 변경되었으며, 마츠 빌란데르가 두 가지 코트에서 모두 우승한 유일한 선수로 기록된다(잔디에서 2회, 하드코트에서 1회).

남자 단식 규칙은 대회 초창기부터 여러 차례 변화가 있었다. 대회는 항상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졌으며, 대부분의 경기가 5세트제였으나 1970년, 1973년, 1974년에는 1회전이 3세트제였고, 1982년에는 3·4회전이 3세트제로 진행되었다. 1905년 이후 모든 세트는 어드밴티지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1971년에는 타이브레이크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첫 네 세트에서만 적용되었으며, 1980년부터 1982년까지는 최종 세트에도 시행되었다.

우승자는 1911년 챔피언이자 호주 테니스 협회 회장이었던 노먼 브룩스를 기리기 위해 제작된 ‘노먼 브룩스 챌린지 컵’의 은도금 모형을 받는다. 해당 트로피는 워릭 화병을 모델로 삼았다.

호주 선수권 시절에는 제임스 앤더슨이 3회(1922, 1924–1925)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했으며, 2연패(1924–1925)로 최다 연속 우승 기록도 가지고 있다. 호주 챔피언십 시절에는 로이 에머슨이 6회(1961, 1963–1967)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세웠으며, 5연패(1963–1967)로 최다 연속 우승 기록도 갖고 있다.

1969년 프로 선수들이 출전하면서 오픈 시대(Open Era)가 열렸고, 이 시대의 최다 우승 기록은 노박 조코비치가 보유하고 있다(2008, 2011–2013, 2015–2016, 2019–2021, 2023 / 총 10회). 조코비치는 또한 최다 연속 우승 기록도 갖고 있으며, 두 차례에 걸쳐 3연패를 달성하였다(2011–2013, 2019–2021). 오픈 시대에서 한 세트도 내주지 않고 우승한 선수는 1971년 켄 로즈월, 2007년 로저 페더러 두 명뿐이다.

Remove ads

목록

아마추어 시대

자세한 정보 연도, 우승자 ...

오픈 시대

자세한 정보 연도, 우승자 ...
Remove ads

통계

챔피언

  • 연도는 도전자 결정전(챌린지 라운드)에서 타이틀을 지켜낸 해를 가진다.
자세한 정보 선수, 아마추어 ...

국가별

자세한 정보 국가 이름, 아마추어 ...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