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필화수입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오필화수입법
Remove ads

오필화수입법(간체자: 五笔画输入法, 병음: wǔ bǐhuà shūrù fǎ)은 중국어 입력법 중 하나로 한자를 서법상 가로(一), 세로(丨), 삐침(丿), 파임(丶), 꺽음(乛)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해당 한자의 획순에 맞추어 입력하는 방법이다.

1부터 5 까지의 각각의 키에는 특정한 종류의 획들이 지정되어 앞서 말한 가로, 세로, 삐침, 파임, 꺽음의 다섯가지 획들이 지정되어 있다. 어떤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선, 해당 문자의 첫 네개의 획을 입력하고 문자의 마지막 획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또한 마지막 획을 입력한 뒤 * 또는 0 을 입력함으로써 4개 또는 그 이하의 획수를 가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몇몇 오필 체계는 획 입력이 끝났슴을 알리도록 하는 선택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몇 오필 체계는 4개 이상의 획을 필요로 한다.

사용자는 반드시 일치하는 문자 목록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해야한다. 해당 목록은 입력한 획들이 많으면 많을 수록 더 정확해 진다. 획입력 순서가 맞지 않으면 사용자는 원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없다.

오필체계는 발음이나 병음에 대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배우기 쉬운 입력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각각이 문자는 단 하나의 획순만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획순이 틀렸는지 알아차리기 힘들게 만든다.

오필 체계 입력기는 스마트폰 입력기 중에서 구글의 병음 입력기에서 하나의 부분으로써 지원하고 있다.

Thumb
중국 휴대폰에서 오필화수입법이 적용된 예. 1~5의 버튼에 획들이 적혀있다.
Remove ads

구성 획

자세한 정보 획, 번호 ...

한자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예) 川
  2. 위에서 아래로 쓴다.
    예) 三, 言, 高
  3.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예) 十, 古
  4. 삐침을 먼저 쓰고 파임을 나중에 쓴다.
    예) 人
  5. 좌우 모양이 같을 때에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예) 小, 水
  6. 몸과 안으로 된 글자는 몸을 먼저 쓴다.
    예) 用, 同, 問
  7. 상하로 꿰뚫는 세로획은 맨 나중에 쓴다.
    예) 中, 車
  8. 오른쪽 위의 점은 맨 나중에 쓴다.
    예) 犬
  9. 착받침과 민착받침을 제외한, 모든 받침은 가장 처음에 쓴다. 착받침과 민착받침은 맨 나중에 쓴다.
    예) 道, 起, 勉
  10.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예) 友
  11.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예) 右, 有
Remove ads

예시

丿+丶
丨+乛+一
一+丨
一+丨+丿+丶
丨+乛+丿+丶
一+丿+乛+丶
丿+丿+乛+丶
丶+丶+一+丶+乛+丿+乛
丶+丶+乛+一+丿+乛+丿+丿+丿+丶
一+丿+丶
一+丨+丨+乛+一+一+一+丨+乛+丨+一+丨+乛+一+一+乛+丨
乛+一+乛+一+乛
丨+乛+一+丨+乛+一+一+乛+丿+丶+一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