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CJ ENM 성우극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CJ ENM 성우극회는 투니버스 성우극회 홈페이지 이름이다. 1995년에 설립된 투니버스의 성우들의 극회이다. 투니버스 성우로 각 채널에서의 목소리를 담당하고 있다. 3년간의 전속 기간 후 프리랜서로 활동하게 되었으나, 8기 때부터는 전속 기간이 2년으로 줄었다.
투니버스 성우극회로 시작되었으며, 투니버스가 온미디어로 합병되자 현재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온미디어가 CJ ENM으로 피흡수합병된 이후에도 투니버스 채널에서 주로 활동하기에 현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
개요
1995년 투니버스의 개국과 함께 설립된 성우극회이며 1995년 3월 케이블 방송이 첫 전파되었던 이래 사상 처음으로 설립된 케이블 방송계 성우극회이기도 하다. 당시 케이블의 인지도가 지상파 방송(한국방송, 문화방송, 서울방송(현재의 SBS)[1][2], 교육방송)에 비해서 낮았던 편이라 지상파 방송계 성우극회와는 달리 유명세가 적었던 편이었다. 또한 전문 내용을 위주로 방송하는 케이블 채널의 특성 때문에 지상파 방송 출신 계열 성우들과는 다르게 투니버스의 특성상 애니메이션 참여를 위주로 하였으며 프리랜서가 된 이후에는 지상파 채널에도 투입되어서 다종다양한 매체에 참여하기도 한다. 2002년 대원방송 계열(애니원, 챔프, 애니박스) 개국 이후에는 출신 프리랜서 성우들이 이 곳에서 방송되는 애니메이션에도 출연하고 있으며 2008년 대원방송 성우극회가 설립된 이후에도 대원방송 성우극회 출신 성우들과 출연하고 있다.
Remove ads
특색
- 1995년 1기부터 1997년 3기까지는 성우 숫자가 상당히 적었기 때문에 공채를 1년마다 실시했으나, 1997년 3기 이후로는 공채가 3년으로 늘었으며, 전속 기간 역시 3년이다. 현재 가장 최근의 공채는 2021년에 실시된 11기이다.
- 투니보이스 성우극회로 입사해 전속으로 활동하던 일부 성우들이 KBS, MBC 성우극회로 다시 입사하는 사례가 2000년대 초반[3]까지 빈번했었는데, 그 당시에는 KBS, MBC 성우극회 출신들이 지상파의 외화, 영화 더빙 참여가 더 많았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 채널이 증가하고 지상파 더빙 수요가 급감하면서 투니보이스 성우극회 소속 성우가 타 극회로 옮겨가는 사례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 다만 이번에 뽑은 8기 성우들 중에는 EBS 성우극회 22기 소속이었던 김한신이 EBS 성우극회를 탈퇴하고 새롭게 들어와서, 한신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Remove ads
임원 구성
연혁 및 명단
굵은 글씨는 해당 기수의 최연장자.
Remove ads
이적
퇴직
- 이희수 - 2003년 3월 공채 5기 출신, 2005년 퇴직.
관련 참고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