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Z → AUS , NZL 오스트랄라시아(ANZ)는 오스트레일리아(AUS)와 뉴질랜드(NZL)를 대표하여 참가하였다. 1908년 및 1912년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 BOH → TCH → CZE , SVK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TCH)가 건국되기 이전, 보헤미아(BOH, 현 체코의 일부)의 선수들은 1900·1908·1912년 올림픽 경기에 참가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20년에서 1992년까지 참가하였으며, 1994년부터는 각각 체코(CZE)와 슬로바키아(SVK)로 나뉘어 참가하고 있다.
- BWI → BAR , JAM , TRI 바베이도스(BAR), 자메이카(JAM), 트리니다드 토바고(TRI) 선수들은 1960년에 서인도 연방(BWI)으로 참가하였다. 서인도 연방은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존재하였고, 1964년부터 세 국가는 각각 독립적으로 올림픽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 SAA , EUA , GDR , FRG → GER 독일(GER)은 1896년부터 1952년까지, 그리고 1992년부터 현재까지 참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분단된 독일은 1952년 대회에서 독일(GER)과 자를란트(SAA)로 나뉘어 참가했다. 자를란트는 1957년 1월 1일 독일연방공화국(서독)으로 흡수되었고, 자를란트 선수들은 독일을 대표하여 참가하기 시작했다. 동독은 1952년 경기에 선수들을 보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당시 IOC가 동독(독일민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를 국가가 아닌 지역을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1956년부터 1964년까지 독일은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EUA)으로 서독과 동독이 함께 참가하였다. IOC가 동독 올림픽 위원회를 완전히 인정한 1968년부터 1988년까지 동독(GDR)과 서독(FRG)은 별개의 팀으로 참가하게 된다.
- MAL , NBO → MAS 1963년 말레이시아(MAS)의 건국 이전, 말라야(MAL)와 북보르네오(NBO)는 1956년 대회에 따로 참가했으며, 말라야는 1960년 대회에도 참가하였다.
- AHO 네덜란드(NED)의 자치령이었던 네덜란드령 안틸레스(AHO)는 1952년부터 2008년까지 독자적으로 참가하였다. 2010년에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되면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는 2011년에 IOC 회원 자격을 상실했다.
- RU1 → URS → EUN → RUS 러시아 제국(RU1)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900년, 1908년, 1912년 대회에 참가하였다. 소련(URS)는 1952년부터 1988년까지 참가하였다. 소련의 붕괴 이후 독립 국가 연합은 연합 선수단(EUN)이라는 이름 아래 1992년 대회에 참가하였다. 또한 러시아(RUS)와 기타 12개 국가들은 1994년 대회부터 별개로 참가하고 있다.
|
- SRB , YUG → IOP , SCG 세르비아(SRB, 1912년, 2006년~현재)는 1912년 처음 경기에 참가하였다. 유고슬라비아(YUG, 1920~1992년 동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1920년부터 1936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1929년까지 정식 명칭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이었다.)으로 참가하였다. 해체 이전 모든 경기(1948년부터 1992년 동계)에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였다.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부터 별개로 참가하고 있으며,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관련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제재로 인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없어서 독립 참가 선수단(IOP)으로 1992년 대회에 참가하였다. 마케도니아는 1996년부터 독자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세르비아 공화국과 몬테네그로 공화국으로 구성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SCG, 1996~2006)은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참가하였다. 1912년 첫 참가 이후 96년 만인 2008년 대회부터 세르비아는 별개로 참가하고 있으며, 몬테네그로 역시 2008년 대회부터 독자적으로 올림픽에 참여하고 있다.
- YAR , YMD → YEM 1990년 예멘 통일 이전 북예멘은 예멘 아랍 공화국(YAR)으로 1984년과 1988년 대회에 참가하였고, 남예멘은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YMD)으로 1988년 대회에 참가하였다. 예멘(YEM)은 통일 이후 1992년부터 참여하고 있다.
- ROC → CHN , TPE 중화민국(ROC)은 1932년, 1936년, 1948년 대회에서 타이완을 포함한 중국(당시 CHN)으로 참가하였다. 국공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CHN)과 중화 타이베이(TPE)는 별개의 국가로 참가하고 있다.
- ZZX ZZX는 초기 올림픽(1896~1904)에 존재하였던 다국적 혼성 선수단에 사용된 특별 코드이다. 혼성 선수단이 획득한 메달은 각 개별 국가로 합산되지 않는다.
- IOA IOA는 IOC가 인정하지 않는 NOC의 선수들을 위해 사용된 특별 코드이다. 2000년 대회에서는 동티모르의 선수단이 개인 선수단(IOA)으로 참가하였다. 2012년 대회에서는 세 명의 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와 한 명의 남수단 선수가 독립 선수단(IOA)으로 참가하였다. 2016년 대회에서는 쿠웨이트의 선수단이 독립 선수단(IOA)으로 참가하였다.
- OAR OAR은 IOC가 2018년 동계 대회에 참가한 러시아 출신 선수들을 위해 사용된 특별 코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