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올해의 과학자상 (1985-1998, 2011-현재) |
비고 |
과학기술인상 (1999-2005) |
정보통신인상 (1999-2005) |
의학의료인상 (1999-2005) |
과학인상 (2006-2010) |
1985년[1] |
윤한식(한국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섬유 및 고합성분자 연구실장) |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난 신물질 아라미드 펄프를 개발 및 미국물질 특허를 획득 |
1986년 |
이원영(연세대학교 의대 교수) |
|
1987년 |
김영길(한국과학기술원) |
|
1988년 |
박종세(도핑컨트롤센터 소장) |
|
1989년 |
박상철(서울대학교 의대 생화학연구실) |
|
1990년 |
홍주봉(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식물학 전공) |
담배잎에서 당뇨병치료에 쓰이는 인슐린을 추출하는데 성공, 국내 유전공학발전에 기여한 공로 |
1991년 |
이진효(한국전자통신연구소 기억소자개발사업본부장)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차세대 수직구조 D램 핵심소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공로[2] |
1992년 |
김수태(서울대학교 의대 일반외과) |
1969년 신장이식수술, 1980년 간암절제수술, 1988년 간이식수술 등을 각각 국내 최초로 성공시켰으며 7월에는 장기이식 중 가장 어려운 생체 부분 간이식수술에도 성공하여 이식이과학(移植外科學)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3] |
1993년 |
박건유(한국과학기술연구원 CFC대체기술센터 박사) |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프레온가스의 대체물질인 수소불화탄소(HFC-134a)를 국내 최초로 개발한 공로[4][5] |
1994년 |
이동영(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포항가속기연구소장) |
지난 5년간 제3세대형 포항 방사광가속기의 설계.제작을 지휘한 공로를 인정 |
1995년 |
수상자 없음 |
|
1996년 |
전길남(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교수) |
정보화를 앞당기는데 크게 기여한 인터넷 엑스포를 열어 성공적으로 운영 |
1997년 |
권오대(포항공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
극소전류 작동이 가능한 마이크로 암페어(1백만분의 1 암페어)급 반도체 레이저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 광컴퓨터 및 광교환기 개발에 한걸음 다가서는 계기를 마련[6] |
1998년 |
임지순(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1월 세계 최초로 `꿈의 반도체'로 불리는 탄소반도체이론을 발표한 연구결과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보다 집적도가 1만배이상 높은 초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탄생 가능성[7] |
1999년 |
황우석(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8] |
안철수(안철수연구소 소장) |
이현철(연세대학교 의대 교수) |
|
- 황우석: 2월과 3월 우량 젖소의 자궁세포를 이용한 복제젖소 '영롱이'와 우량 한우의 귀세포 핵을 이용한 복제한우 '진이'를 잇따라 출생
- 안철수: 멜리사, CIH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렸을 때 치료백신을 제공하고 사전 주의보를 발표, 막대한 피해를 줄이는데 기여[9]
|
2000년 |
이영욱(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 |
박병엽(팬택 대표이사 부회장) |
|
|
- 이영욱: 세계수준의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천체물리학 연구수준을 도약시키는데 기여
- 박병엽: 이동통신단말기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해외시장 진출로 견실한 경영실적을 평가받은 공로[10]
|
2001년 |
류성언(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기태(삼성전자) |
이현철(연세대학교) |
|
|
2002년 |
배석철(충북대학교 교수) |
이경준(KTF 사장) |
박귀원(서울대 의대 교수) |
|
- 배석철: 세계 최초로 위암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발견[11]
|
2003년 |
조준명(㈜크리스탈지노믹스) |
노용만(한국정보통신대학교 교수) |
조윤애(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교수) |
|
- 조준명: 세계 최초로 생리활성 단백질 효소인 PDE-5 작용원리를 밝힌 공로
- 노용만: 인터넷상 유해 정보를 차단하는 핵심 영상인식기술을 개발
- 조윤애: 사시환자 수술완치율을 높이는 데 공헌[12]
|
2004년 |
이상열(경상대학교 환경생명과학연구센터 소장) |
권순철(케이티 기간망본부 기간전송담당 상무) |
송재훈(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장 교수) |
|
- 이상열: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셀에 다운증후군 발병요인을 규명한 논문을 게재[13]
|
2005년 |
김경규(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김영균(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김동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
|
2006년 |
|
|
|
이상엽(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
|
2007년 |
|
|
|
이지오(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
|
2008년 |
|
|
|
서영준(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
2009년 |
|
|
|
장규태(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
|
2010년 |
|
|
|
박종오(전남대학교 로봇연구소 소장) |
|
2011년 |
박완철(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
|
2012년 |
김세광(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조기술센터 박사) 김종열(한국한의학연구원 정책연구센터장) 한동근(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최호남(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서비스센터장) |
|
2013년 |
박종오(전남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이상엽(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민경찬(연세대학교 수학과 교수) 김승환(포항공과대학교 교수) (故)강관형(포항공과대학교) (故)서갑양(서울대) |
|
2014년 |
이융남(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박형주(포스텍 수학과 교수) 성영철(포항공과대학교 융합생명공학부) |
- 이융남: 10월 몽골 고비사막에서 티라노사우루스보다도 큰 손 화석으로 관심을 모았던 '데이노케이루스 미리피쿠스(Deinocheirus mirificus)'의 실체 규명
- 박형주: 2014 세계수학자대회
- 성영철: 자궁경부 전암 치료 DNA 백신을 개발한 공로
|
2015년 |
김진수(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자/서울대 화학부 교수) 오준호(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교수) 방영주(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수) |
|
2016년 |
김빛내리(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한호성(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
|
2017년 |
임명신(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故)찰스 서((전) (영어) 기초과학연구원(IBS) 미생물공생연구단장)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 |
|
2018년 |
악셀 팀머만(Axel Timmermann)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 박남규(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
|
2019년[14] |
김일두(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묵인희(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 이진한(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
|
2020년[15] |
고규영(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장) 김범태(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바이러스) 융합연구단장) 장혜식(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
2021년 |
석상일(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이준이(부산대학교 기후과학연구소 교수) 최재욱(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홍정주(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책임연구원) |
|
2022년 |
고정환(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정수종(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수) 허준이(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고등과학원 수학부 석학교수) |
|
2023년 |
김하일(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교수) 선양국(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교수) 한상욱(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정보연구단 단장) |
|
2024년 |
김창영(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백민경(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조일주(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