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완도군의 농어촌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완도군의 농어촌버스는 전라남도 완도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수업체로는 고금여객, 금일여객, 노화교통, 보길여객, 소안여객, 신지여객, 완도교통, 청산여객, 생일마을버스가 있다.
간략 정보 관리 주체, 차적지 ...
완도교통에서 운행하는 버스 | |
관리 주체 | 완도군청 지역경제과 |
---|---|
차적지 | 전라남도 완도군 |
운행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
노선 수 | 48 |
차량 수 | 31 |
웹사이트 | 완도군의 농어촌버스 안내 |
닫기
요금
운수 업체
2015년 11월 기준이다.[1]
노선
자세한 정보 노선, 운행업체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완도 ~ 남창 | 완도교통 | 완도 | ↔ | 남창 | 대가용, 불목, 원도, 달도 | 왕복 15회 | |
완도 ~ 남창 | 완도 | ↔ | 남창 | 망석, 정도, 화흥, 삼두, 원동, 달도 | 왕복 13회 | ||
완도 ~ 망석 | 완도 | ↔ | 망석 | 망남 | 왕복 4회 | ||
원동 ~ 교인 | 원동 | ↔ | 교인 | 망축, 초평, 용계 | 왕복 4회 | ||
완도 ~ 신지,동고 | 완도 | ↔ | 신지,동고 | 송곡, 내정 | 왕복 9회 | ||
대가용 ~ 중리 | 대가용 | ↔ | 중리 | 장좌, 대야, 대창, 황진 | 왕복 4회 | ||
망석 ~ 망축 | 망석 | ↔ | 망축 | 석장, 화개, 대신, 갈문 | 왕복 4회 | ||
완도 ~ 남창 | 신완도교통 | 완도 | ↔ | 남창 | 대가용, 불목, 원동, 달도 | 왕복 3회 | |
완도 ~ 남창 | 완도 | ↔ | 남창 | 망석, 정도, 화흥, 삼두, 원동, 달도 | 왕복 3회 | ||
장용 ~ 사동 | 장용 | ↔ | 사동 | 상득암, 하득암, 관중, 관산, 신기, 우두, 천동 | 왕복 6회 | ||
장용 ~ 당목 | 장용 | ↔ | 당목 | 해동, 어두 | 왕복 5회 | ||
장용 ~ 당목 | 장용 | ↔ | 당목 | 해동, 어두, 가사 | 왕복 2회 | ||
어두 ~ 가교,회관 | 어두 | ↔ | 가교,회관 | 당목, 고금(우도, 사동, 득암) | 왕복 1회 | ||
어두 ~ 고금,석치 | 어두 | ↔ | 고금,석치 | 당목, 고금(우도, 사동, 득암) | 왕복 2회 | ||
감목 ~ 감목 | 금일여객 | 감목 | ↔ | 감목 | 구동, 신평, 궁항, 용항, 동성, 동성항, 신평, 구동 | 왕복 4회 | |
감목 ~ 소랑 | 감목 | ↔ | 소랑 | 구동, 신평, 궁항, 용항, 동성, 동성항 | 왕복 2회 | ||
감목 ~ 일정항 | 감목 | ↔ | 일정항 | 화전, 척지, 도장, 일정 | 일정항 방면 8회 운행 감목 방면 9회 운행 |
||
감목 ~ 소랑도 | 감목 | ↔ | 소랑도 | 구동, 신평, 월송, 동백, 사동 | 왕복 10회 | ||
감목 ~ 일정항 | 감목 | ↔ | 일정항 | 화전, 일정 | 일정항 방면 5회 운행 감목 방면 4회 운행 |
||
이목 ~ 이목 | 노화교통 | 이목 | ↔ | 이목 | 포전, 소당, 도청, 염등, 미라, 삼마, 북고, 산양, 신목, 신리, 양하 | 4회 | 순환 버스 |
이목 ~ 이목 | 이목 | ↔ | 이목 | 충도, 석중, 천구, 동고, 구목, 양하리, 대당, 포전 | 4회 | 순환 버스 | |
이목 ~ 당산 | 이목 | ↔ | 당산 | 잘포리 | 왕복 4회 | 첫차 학생통학 | |
이목 ~ 이목 | 이목 | ↔ | 이목 | 충도, 석중, 천구, 동고, 구목, 산양, 북고, 미라, 삼마, 염등, 도청, 포전 | 2회 | 서→동 방향 순환 버스 | |
이목 ~ 이목 | 이목 | ↔ | 이목 | 포전, 소당, 대당, 염등, 미라, 삼마, 북고, 산양, 신목, 신리, 구목, 동고, 천구, 충도 | 2회 | 동→서 방향 순환 버스 | |
이목 ~ 당산 | 이목 | ↔ | 당산 | 노화초등학교, 이목, 잘포 | 왕복 1회 | ||
이목 ~ 보길,청별 | 이목 | ↔ | 보길,청별 | 왕복 4회 | |||
완도터미널 ~ 동고 | 신지여객 | 완도터미널 | ↔ | 동고 | 가용, 강독, 물아태, 송곡, 임촌, 명사십리, 신리, 내정, 대푱, 신기, 신상, 월부, 가인, 동촌 | 왕복 9회 | |
대평 ~ 내동 | 대평 | ↔ | 내동 | 신기, 신상, 월부, 양지 | 왕복 1회 | ||
대평 ~ 삼마 | 대평 | ↔ | 삼마 | 신기, 신상, 월부, 양지, 내동, 양천 | 왕복 1회 | ||
대평 ~ 방죽포 | 대평 | ↔ | 방죽포 | 신기, 신상, 월부, 양지, 내동, 월부, 가인, 동촌, 동고 | 왕복 1회 | ||
대평 ~ 삼마 | 대평 | ↔ | 삼마 | 신기, 신상, 월부, 양지, 내동, 월부, 가인, 동촌, 동고, 방죽포, 양천 | 왕복 3회 | ||
당목 ~ 가교 | 고금여객 | 당목 | ↔ | 가교 | 가래, 장용, 덕동, 석치, 청용, 교성, 가교회관 | 왕복 3회 | |
당목 ~ 마량 | 당목 | ↔ | 마량 | 가래, 장용, 덕동, 석치, 청용, 교성, 가교회관 | 왕복 1회 | ||
어두 ~ 마량 | 어두 | ↔ | 마량 | 당목, 장용, 덕동, 석치, 청용, 교성, 가교회관 | 왕복 3회 | ||
석치 ~ 가교 | 석치 | ↔ | 가교 | 청용, 청학, 월장, 진등, 교성, 고금대교, 가교회관 | 왕복 10회 | ||
당목 ~ 상정 | 당목 | ↔ | 상정 | 해동, 가래, 장용, 덕동, 석치, 대곡 | 왕복 8회 | ||
어두 ~ 상정 | 어두 | ↔ | 상정 | 당목, 해동, 가래, 장용, 덕동, 석치, 대곡 | 왕복 1회 | ||
석치 ~ 상정 | 석치 | ↔ | 상정 | 대곡, 회룡 | 왕복 5회 | ||
석치 ~ 용초 | 석치 | ↔ | 용초 | 봉명, 칠인 | 왕복 4회 | ||
석치 ~ 석치 | 석치 | ↔ | 석치 | 신장, 내동, 충무, 세동, 항동 | 편도 2회 | ||
석치 ~ 석치 | 석치 | ↔ | 석치 | 신장, 내동, 충무, 윤동, 덕동(보건지소) | 편도 3회 | ||
석치 ~ 봉성 | 석치 | ↔ | 봉성 | 장중, 봉암, 장항 | 왕복 5회 | ||
석치 ~ 척찬 | 석치 | ↔ | 척찬 | 도남, 부곡 | 왕복 10회 | ||
석치 ~ 청학 | 석치 | ↔ | 청학 | 청학입구, 먹골 | 왕복 3회 | ||
신지,송곡 ~ 완도중학교 | 신지,송곡 | ↔ | 완도중학교 | 가용리, 5일시장, 중앙시장, 축협, 군청 | 왕복 7~9회 | 장날에 2회 증회 운행 | |
도청 ~ 상서 | 청산여객 | 도청 | ↔ | 상서 | 당리, 읍리, 청계, 신풍, 양지, 중흥, 신흥, 동촌 | 왕복 8회 | |
도청 ~ 권덕 | 도청 | ↔ | 권덕 | 구장 | 왕복 2회 | ||
도청 ~ 진산 | 청산마을버스 | 도청 | ↔ | 진산 | 지리, 국화 | 왕복 5회 | |
도청 ~ 권덕 | 도청 | ↔ | 권덕 | 구장 | 왕복 2회 | ||
도청 ~ 도청 | 나비야청산가자 | 도청 | ↔ | 도청 | 당리, 읍리, 범바위, 신흥해수욕장(목섬), 진산리(갯돌밭), 지리해수욕장 | 유동적 운행 | |
보길,청별 ~ 노화,동천 | 소안농협 | 보길,청별 | ↔ | 노화,동천 | 노화이목 | 왕복 12회 | |
청별 ~ 예송 | 보길여객 | 청별 | ↔ | 예송 | 월송 | 왕복 5회 | |
청별 ~ 백도 | 청별 | ↔ | 백도 | 월송, 통리, 여항, 중리 | 왕복 5회 | ||
청별 ~ 보옥 | 청별 | ↔ | 보옥 | 부황, 정동, 정자, 선창 | 왕복 5회 | ||
청별 ~ 부용 | 청별 | ↔ | 보옥 | 부항 | 왕복 4회 | ||
청별 ~ 이목 | 청별 | ↔ | 이목 | 왕복 4회 | |||
서성 ~ 용출 | 생일마을버스 | 서성 | ↔ | 용출 | 굴전리 | 왕복 5회 | |
서성 ~ 금곡 | 서성 | ↔ | 금곡 | 유촌리 | 왕복 5회 | ||
닫기
Remove ads
갤러리
- 소안여객에서 운행하는 버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