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이 접근하기 힘든 사각지대에 운행되고 있으며, 완주군에서 직영으로 운영한다. 2021년 6월 이서 지역을 시작으로 2022년 2월에는 상관, 소양, 구이 지역에 확대되었으며, 2024년 2월 27일에는 삼례 지역에 마을버스 운영이 예정되어 있다. 또한 2024년 하반기에는 용진, 봉동, 고산 지역에도 마을버스가 운행될 예정이다. 완주군의 마을버스 애칭은 부름부릉 마을버스이다.
마을버스 시간표: https://www.wanju.go.kr/index.9is?contentUid=ff8080818b024d8e018b274f757a2cbd
이서 지역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일일 운행 횟수 |
비고 |
이서20 |
이서회차지 |
↔ |
원마다리 |
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모고지 - 애통리 - 송삼마을 - (산정리 - 송삼마을) - 신흥리 - 원마다리 |
8.5회 |
오전시간대 이서 방향 차량은 산정리 경유 오후시간대 원마다리 방향 차량은 산정리 경유 |
이서21 |
이서회차지 |
↔ |
모산(본선) 용지(분선) |
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모고지 - 애통리 - 불노리 - 부교마을 - 모산종점 - (마교마을 - 용지중 - 용지종점) |
7.5회 |
일 2회 용지까지 연장 |
이서22 |
이서회차지 |
↔ |
원동마을 |
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혁신에코르3단지 - 혁신에코르2단지 - 지사울공원 - 해교리입구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농원삼거리 - 반교리 - (← 대농 ← 정농마을 ←) - 원동 |
9회 |
일 3회 이서23번 지원운행 |
이서23 |
이서회차지 |
↔ |
대농 |
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혁신에코르3단지 - 혁신에코르2단지 - 지사울공원 - 해교리입구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농원삼거리 - 정농마을 - (← 원동 ← 반교리 ←) - 대농 |
8.5회 |
일 3회 이서22번 지원운행 |
이서24 |
이서회차지 |
↔ |
구암마을 |
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모고지 - 애통리 - 신흥마을 - 서둔마을 - 동둔마을 - 구암 |
8.5회 |
막차 시간에는 구암마을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애통리에서 중간 종료한다. |
이서25 |
이서회차지 |
↔ |
대문안 |
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여차마을 - (돌꼭지 - 새금동 - 원금평 - 신정) - 삼태동 - 대문안종점 |
9회 |
양방향 일 4회 신정마을 경유 막차 시간에는 신정, 대문안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돌꼭지에서 중간 종료한다. |
이서26 |
이서회차지 |
↔ |
앵곡 (콩쥐팥쥐마을) |
이서회차지 - 신지산 - 콩쥐팥쥐마을 |
6회 |
|
이서27 |
이서회차지 |
↔ |
삼례역 |
이서회차지 - 혁신에코르3단지 - 국립농업과학원 - 한국식품연구원 - 한국전기안전공사 - 갈동마을 - 호남제일문 - 여의동우체국 - 비비정 - 삼례터미널 - 전북하이텍고등학교 - 삼례역 |
7.5회 |
전주 지역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다. |
닫기
삼례 지역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일일 운행 횟수 |
비고 |
삼례30 |
삼례역 |
↔ |
둔산코아루2차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서여마을-삼례주공-농원종점-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원수계리-중앙공원-현대자동차출고장-뷰텍 |
8회 |
오전 시간대 삼례 방향 농원 경유 오후 시간대 둔산리 방향 농원 경유 |
삼례31 |
삼례역 |
↔ |
둔산코아루2차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학동마을-원구암-청등마을-신정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원수계리-중앙공원-배매산-새완주병원 |
8회 |
|
삼례32 |
삼례역 |
↔ |
비봉종점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배매산-새완주병원-둔산코아루1차-둔산코아루2차-백제대-비봉 |
8회 |
삼례 방향 첫차는 전주공고까지 운행 비봉 방향 첫차는 삼례터미널 출발 |
삼례33 |
삼례역 |
↔ |
지암마을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후와리-상와리-송정마을-유리마을-상신마을-신서마을-고천마을-갈리마을-신덕마을-동촌마을-신상마을-봉동회차지-낙평리-봉동주공-봉동농협-봉동전통시장-완주경찰서-마그내다리-하이트맥주-서당리-구만리-운곡마을-완주군청 |
8회 |
|
삼례34 |
삼례역 |
↔ |
지암마을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하구미리-상구미리-배을마을입구-신중리-봉동신기마을-봉동농협-봉동전통시장-낙평네거리-봉동주공-마그내다리-하이트맥주-서당리-구만리-운곡마을-완주군청 |
8회 |
|
삼례34-1 |
삼례역(본선) 해전(분선) |
↔ |
지암마을 |
(해전-후상-후정-삼례역-)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하구미리-상구미리-배을마을입구-신중리-봉동신기마을-봉동농협-봉동전통시장-완주경찰서-낙평리-봉동주공-마그내다리-하이트맥주-서당리-구만리-운곡마을-완주군청 |
8회 |
왕복 3회 해전리 발착 |
삼례35 |
삼례역 |
↔ |
고산터미널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하구미리-상구미리-배을마을입구-신중리-봉동신기마을-봉동농협-봉동전통시장-완주경찰서-낙평리-봉동주공-마그내다리-용복마을-완주국민체육센터-학다리마을-율소리-신덕마을-고산신기마을-봉곡-어우가름재-어우리-율곡리-원산마을-서봉마을-고산고입구-고산농협-고산터미널 |
7회 |
|
삼례36 |
삼례역 |
↔ |
고산터미널 |
삼례문화예술촌-삼례시장-삼례터미널-삼례읍행정복지센터-완주군청소년수련관-완주군공설운동장.별산리-석전리-삼봉지구-완주소방서-하구미리-상구미리-배을마을입구-신중리-봉동신기마을-봉동농협-봉동전통시장-낙평네거리-봉동주공-낙평리-마그내다리-용복마을-완주국민체육센터-학다리마을-율소리-신덕마을-고산신기마을-봉곡-어우가름재-어우리-율곡리-원산마을-서봉마을-고산고입구-고산농협-고산터미널 |
7회 |
고산방향 막차는 국민체육센터 종착 |
닫기
상관 지역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일일 운행 횟수 |
비고 |
상관70 |
상관로컬푸드 |
↔ |
민목리 |
상관주민센터 - 상관농협 - 상원신마을 - 수월마을 - 대판마을 - 모정마을 - 원의암마을 - 의암마을 - 계월리 - 민목리 |
8회 |
민목리 출발 첫차와 상관 출발 막전차는 정수리를 경유한다. 상관 출발 막차는 정수리로 가는 승객이 있을 경우, 정수리를 경유하고 민목리를 경유하여 소양까지 연장운행 한다. |
상관76 |
상관주민센터 |
↔ |
어두마을 |
상관주민센터 - 상관농협 - 한일장신대 - 어두마을 |
3회 |
|
상관77 |
상관로컬푸드 |
↔ |
대흥마을 |
상관주민센터 - 상관농협 - 상원신마을 - 수월마을 - 마치삼거리 - (대판마을 - 원의암마을 - 의암마을 - 계월리 - 민목리) - 전통춤전수관 - 용정리 - 마치신덕마을 - 마치마을 - 정수리 - 대흥마을 |
7.5회 |
막차 1회 민목리 경유 |
닫기
소양 지역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일일 운행 횟수 |
비고 |
소양50 |
소양회차지 |
↔ |
봉동주공아파트 |
소양 - 소양작은도서관 - 소양면행정복지센터 - 죽절리 - 단암사 - 마월리 - 용교 - 상삼마을 - 하이삼거리 - 구억정미소 - 구억마을 - 소양교 - 용진 - 운교마을 - 봉서로 상운리 - 도계마을 - 원간중리 - 두억마을 - 신봉마을 - 지암마을 - 완주군청 - 구만리 - 서당리 - 하이트맥주 - 용진원주아파트 - 용진대영아파트 - 완주국민체육센터 - 봉동신진맨션아파트 - 봉동전통시장 - 낙평네거리 - 봉동주공아파트 |
6회 |
|
소양82-1 |
상망표 |
→ |
앞멀 |
상망표 - 하망표 - 소양 - 소양행정복지센터 - 소양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마수마을 - 전북교통문화연수원 - 송광사.송광초교 - 백운암마을 - 오성리 - 오성풍류학교 - 위봉산성 - 위봉마을 - 위봉폭포 - 지향마을 - (입석 - 학동 - 다자미) - 수만마을 - 단지 - 앞멀 |
7.5회 |
일부 시간대 학동 경유 |
소양82-2 |
상망표 |
← |
앞멀 |
앞멀 - 단지 - 수만마을 - 지향마을 - 위봉폭포 - 위봉마을 - 위봉산성 - 오성풍류학교 - 오성리 - 백운암마을 - 송광사.송광초교 - 전북교통문화연수원 - 마수마을 - 전북체육고.마수리 - 인덕마을입구 - 소양 - 소양행정복지센터 - 소양 - 하망표 - 상망표 |
7회 |
일부 시간대 학동 경유 |
소양83 |
소양회차지 |
↔ |
거인마을 |
소양회차지 - 소양 - 소양행정복지센터 - 소양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신원리 - 해월리 - 화심 - 새터 - 하리 - 대승리입구 - 대승리 - 중리 - 상리 - 중리 - 대승리 - 대승리입구 - 원암골 - 밤티마을 - 사평리 - 연동 - 신사봉 - 솔바우농원 - 원사봉 - 묵계 - 거인마을 |
7회 |
막전차는 상리까지만 운행 막차는 거인마을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에만 상리까지 운행 |
소양84 |
일임리 |
↔ |
인덕마을 |
일임리 - 일임교 - 승덕마을 - 삼태마을 - 토정마을 - 명덕리 - 소양서초교 - (평리마을) - 단암사 - 죽절리 - 소양 - 소양작은도서관 - 소양행정복지센터 - 인덕마을입구 - 용연마을 - 전북체육고.마수리 - 봉덕교삼거리 - 마수마을 - 전북교통문화연수원 - 대흥리 - 송광사 - (완주대대) - 인덕마을 |
9회 |
각 방향별 완주대대 경유 1회 인덕마을 방향 평리마을 경유 2회 일임리 방향 평리마을 경유 4회 |
소양85 |
용문사 |
↔ |
응암 |
용문사 - 반곡삼거리 - (원신원) - 신원삼거리 - 신원리 - (천지마을 - 삼중리 - 삼중새터 - 두목마을 - 신촌새터 - 원신촌마을 - 월평 - 월상리) - 화심온천 - 화심교회 - (상리) - 화심 - 해월리 - 신왕리 - 왕정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용안마을 - 인덕마을입구 - 소양 - 소양행정복지센터 - 죽절리 - 단암사 - 명덕교 - 신교리 - 율곡 - 갈전 - 신봉마을 - 응암 |
8회 |
응암 방향 원신원 경유 4회, 월상리 경유 2회, 상리 경유 1회 응암방향 원신원 경유 2회 막차는 일임리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명덕교에서 중간 종료한다. |
소양86 |
분토 |
↔ |
월상리 |
분토 - 상분토 - 하분토 - 죽절리 - 소양행정복지센터 - 소양 - 인덕마을입구 - 용안마을 - 전북체육고.마수리 - 왕정리 - 신왕리 - 해월리 - 화심 - 화심교회 - 화심온천 - 신원리 - (신원삼거리 - 반곡삼거리 - 용문사) - 천지마을 - 삼중리 - 삼중새터 - 두목마을 - 신촌새터 - 원신촌마을 - 월평 - 월상리 |
8회 |
분토방향 용문사 경유 2회 분토 출발 막차는 승객이 없을 경우, 죽절경로당에서 중간 종료한다. 소양 출발 막차는 약암, 상리, 용문사, 월상리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화심에서 중간 종료한다. |
소양87-1 |
다리목 |
→ |
약암 |
다리목 - 다리경로당 - 원암마을 - 봉덕마을 - 전북체육중 - 전북체육고.마수리 - 인덕마을입구 - 용안마을 - 소양 - 소양행정복지센터 - 소양 - 용안마을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왕정리 - 신왕리 - 해월리 - 화심 - 약암입구 - 원화심마을 - 유상마을 - 성지동 - 약암 |
8회 |
|
소양87-2 |
다리목 |
← |
약암 |
약암 - 성지동 - 유상마을 - 원화심마을 - 약암입구 - 화심 - 해월리 - 신왕리 - 왕정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인덕마을입구 - 용안마을 - 소양 - 소양행정복지센터 - 소양 - 용안마을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전북체육중 - 봉덕마을 - 원암마을 - 다리경로당 - 다리목 |
8회 |
|
닫기
구이 지역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일일 운행 횟수 |
비고 |
구이90 |
전북도립미술관 |
↔ |
원안덕 탑선 |
도립미술관 - 상학 - 하학 - 구이중 - 구이면사무소 - 구이초교 - 동성마을 - 성덕교 - 마음마을 - 교동마을 - 구이신기마을 - 대덕마을 - 재실마을 - 매산교 - (장파마을 - 마치마을 - 탑선) - 안덕신기마을 - 원안덕마을 |
10.5회 |
원안덕 출발 후 탑선을 경유하거나, 그 반대 순서로 운행하기도 한다. 막차 시간에는 원안덕이나 탑선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대덕마을에서 중간 종료한다. |
구이91 |
전북도립미술관 |
↔ |
막은댐 |
도립미술관 - 상학 - 하학 - 구이중 - 구이면사무소 - 구이초교 - 동성마을 - 성덕교 - 마음마을 - 교동마을 - 구이신기마을 - 대덕삼거리 - 대덕마을 - 소모마을 - 정자리 - 정자리삼거리 - 신정리 - 원백여 - (상용마을 - 노정마을 - 초당골 - 막은댐 - (마암리 - 운암교 - 마암초교 - 여우치 - 하운암) - ((가는정이 - 장작골)) |
11회 |
일부 시간대 하운암 또는 장작골 출발 막차 시간에는 막은댐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정자마을에서 중간 종료한다. |
구이92 |
전북도립미술관 |
↔ |
막은댐 |
도립미술관 - 상학 - 하학 - 구이중 - 구이면사무소 - 구이초교 - 동성마을 - 성덕교 - 마음마을 - 교동마을 - 구이신기마을 - 대덕삼거리 - 대덕마을 - 소모마을 - 정자리 - 정자리삼거리 - 대모 - 상용마을 - 노정마을 - 초당골 - 막은댐 - (마암리 - 운암교 - 마암초교 - 여우치 - 하운암) - (가는정이) |
10회 |
하운암 출발 1회 도립미술관 방향 원백여 경유 1회 가는정이 출발 1회 막차 시간에는 대모나 막은댐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정자마을에서 중간 종료한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