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완주군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완주군의 행정 구역은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완주군의 면적은 820.98km2[1]이며, 인구는 2014년 3월 말을 기준으로 87,311명, 36,435세대이다.[2]
행정 구역
Remove ads
역사
- 685년 : 신라 신문왕 완산주를 설치하였다.
- 900년 : 견훤이 무진주(현 광주광역시)에서 올라와 전주를 점령하고 이곳을 수도로 삼아 백제를 다시 건국했으며, 이는 후백제가 멸망하는 936년까지 지속되었다.
- 고려는 후삼국통일을 완료한 후 전주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했다.
- 1005년 : 전주에 절도사를 두었다.
- 1018년 : 안남대도호부를 다시 설치했다.
- 1022년 : 전주목이 설치되어 12목의 일원이 되었다.
- 1355년 : 원의 사신을 잡아 가둔 죄로 부곡으로 강등되었다가 한 해가 흐른 뒤에 환원되었다.
- 1392년 : 전주유수부가 설치되었다.
- 1403년 : 전주부로 개칭되었다.
- 1896년 : 전라북도의 수부(首部)가 전주에 설치되었다.[3]
- 1914년 4월 1일 : 전주부와 고산군이 통합되어 전주군이 설치되었다.(20면)
- 20면 - 전주면, 초포면, 용진면, 상관면, 난전면, 우림면, 이동면, 조촌면, 봉동면, 이서면, 삼례면, 소양면, 구이면, 고산면, 삼기면, 비봉면, 운선면, 화산면, 동상면, 운동하면
- 1930년 7월 1일 : 전주군 이동면 노송리 등을 전주면으로 편입.[4]
- 1931년 4월 1일 :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하였다.[5](1읍 19면)
- 1935년 3월 1일 : 우림면·난전면이 우전면으로, 운선면·운동하면이 운주면으로 합면하고, 삼기면이 고산면과 화산면에 편입·폐지되었다.[6](1읍 16면)
- 1935년 10월 1일 :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전주군은 완주군으로 개칭되었다.[7](16면)
- 1940년 11월 1일 : 이동면 4개리, 조촌면 1개리가 전주부에 편입되고, 이동면이 폐지되었다.[8](15면)
- 1956년 7월 8일 : 삼례면이 삼례읍으로 승격하였다.[9](1읍 14면)
- 1957년 11월 6일 : 초포면·우전면 일원, 조촌면·용진면·상관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10](1읍 12면)
- 1966년 10월 26일 : 운주면 경천출장소를 설치하였다.[11]
- 1973년 7월 1일 :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전주시 우아동으로, 익산군 왕궁면 온수리 화산마을이 삼례읍 삼례리에 편입되었다.[12] 봉동면이 봉동읍으로 승격하였다.[13](2읍 11면)
- 1981년 6월 30일 : 군청사를 전주시 경원동3가[14]에서 전주시 인후동2가로 이전하였다.[15]
- 1983년 2월 15일 : 상관면 대성리, 색장리와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전주시로 편입되었고, 이서면 원동리와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일부가 조촌면에 편입되었다.[16]
- 1985년 10월 1일 : 조촌면이 조촌읍으로 승격하였다.[17](3읍 10면)
- 1987년 1월 1일 : 조촌읍이 전주시에 편입되었다.[18](2읍 10면)
- 1989년 1월 1일 :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 용복리, 중인리, 원당리, 석구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19]
- 1989년 4월 1일 : 운주면 경천출장소가 경천면으로 승격하였다.[20](2읍 11면)
- 1990년 8월 1일 : 이서면 상림리, 중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 1994년 12월 26일 : 김제군 용지면 금평리(金坪里)가 이서면에 편입되었다.[21] 이서면에 금평리가 이미 있었기 때문에 금계리(金溪里)로 개칭하였다.
- 2012년 6월 7일 : 완주군청을 전주시에서 완주군 용진면으로 이전하였다.
- 2015년 10월 1일 : 용진면이 용진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10면)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